반응형

Certificate Data 344

변압기와 전주가 접촉하며 작업자 감전사 발생

24년 11월 4일 07:50경 충남 홍성군 금마면 인근 전주 철거 작업 현장에서 전주를 지지하는 크레인의 와이어가 인근 변압기와 접촉되며 전주의 아랫부분을 붙잡은 재해자가 감전되어 병원 이송 중 사망했다. 작업자가 충전전로 인근에서 작업할 경우 전압에 적합한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또한 아래와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한다. ① 사업주는 충전전로 인근에서 차량, 기계장치 등(이하 이 조에서 “차량등”이라 한다)의 작업이 있는 경우에는 차량등을 충전전로의 충전부로부터 300센티미터 이상 이격시켜 유지시키되, 대지전압이 50킬로볼트를 넘는 경우 이격시켜 유지하여야 하는 거리(이하 이 조에서 “이격거리”라 한다)는 10킬로볼트 증가할 때마다 10센티미터씩 증가시켜야 한다. 다만, 차량등의 높이를 낮춘 ..

정전 발생 대비 키트 구성품은?

You need to prepare for a power outage 1. 의료 기기를 사용하거나 필수 의약품을 냉장 보관하는 경우 휴대용 충전기나 배터리를 포함하여 필요에 맞는 대체 전원을 보유해야 한다. 2. 손전등, 라디오 배터리를 새것으로 준비하고, 전원이 필요한 장치에 대한 충전 방법을 가진다.3. 안전 호루라기는 정전으로 인해 구조가 필요할 때 구조대원이 당신을 찾을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서울교통공사 감전사고... 전기설비관리예규,전기작업안전내규 위반

정부가 서울교통공사에 3억 6천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1) ’ 24년6월 9일(일) 01:36분경 서울 3호선 연신내역 전기실 고압배전반 스티커 부착 작업을 수행 중 감전으로 인해 작업자 1명이 사망했다. 2) 이 사고는 전기실내 배전반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 범위 내 모든 전기설비에 단전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서울교통공사 전기설비관리예규) 일부만 단전했고, 고전압 전선을 취급할 때에는 고압 절연장갑 등 안전 장비를 착용하여야 하나(서울교통공사 전기작업안전내규) 이를 위반하여 발생했다. 3) 「철도안전법」에 따른 과징금 부과기준 상 철도사고로 인한 1명 이상 3명 미만(참고 1)의 사망에 해당되어 서울교통공사에 3억 6천만 원의 과징금이 부과됐다.

전기차 배터리 교환 사업... 규제 특례로 본격화?

전기차 배터리 교환식 충전 서비스(배터리스왑) → 차량과 배터리의 소유권을 분리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특례 부여. 모빌리티혁신법은 모빌리티의 혁신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기반 조성 및 지원 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새로운 모빌리티 수단ㆍ기반시설ㆍ서비스 및 기술의 도입ㆍ확산을 도모함으로써 국민 이동성의 획기적인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모빌리티 혁신 및 활성화 지원에 관한 법률 (약칭 : 모빌리티혁신법)* 모빌리티 서비스란 모빌리티 수단ㆍ기반시설을 이용하여 사람 또는 물건을 직접 이동하거나 타인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는 이를 위하여 모빌리티 수단ㆍ기반시설을 타인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실증특례 부여 여부 및 실증특례 구역ㆍ기간ㆍ규모를 심의하는데, 국민의 생..

UPS 배터리 폭발! 전기안전관리자 책임?

전기설비 검사 및 점검의 방법·절차 등에 관한 고시에 따르면 '무정전전원장치’란 상용전원의 정전 시 부하 전력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변환장치, 스위치 및 이차전지 등을 조합하여 구성한 전원장치를 말한다.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제3조(안전관리규정의 작성)⑤ 전기안전관리자는 무정전전원장치에 대하여 월차 점검 시 별지 제16호 서식에 따라 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음은 별지 제16호 무정전전원장치 점검기록표에서 배터리 점검 항목 확인사항을 나타낸다. 전기안전관리자는 배터리 과충전 기능 여부 등 배터리 폭발 예방을 위한 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단, 리튬·나트륨계는 20 kWh 초과, 납계·니켈계·바나듐계 이차전지는 70 kWh 초과한 무정전전원장치..

마찰에 의한 정전기 발생현상

개요 Static electricity, 정전기는 정지되어 있는 전기, 즉 전하의 이동이 전혀 없는 전기를 말한다. 하지만 우리 주변 산업현장에서는 아주 적은 전하의 이동은 동반하고 있다는 걸 감안하면, 정전기를 자계효과가 전계효과에 비해 무시할 정도로 아주 적은 전기라고 말할 수 있다.  마찰에 의한 정전기 발생현상 일반적으로 두 물체가 마찰하면 표면에 정전기가 발생된다. 서로 다른 두 물질이 접촉된 후 서로 분리되면서 물질내부에 자유롭게 이동하는 자유전자가 외부 물리적 힘에 의해 표면에서 표면으로 이동하여 한 물체는 (+), 다른 물체는 (-)로 대전되어 전기적인 2중층이 형성된다. 이때 전자가 들어간 쪽은 음전하(-), 전자가 나간 쪽 물체는 양전하(+)를 띤다.

유효접지에서 1선 지락 발생 시 건전상의 전위 변화

유효접지에서 1선 지락 발생 시, 건전상의 전위는 어떻게 변할까? 1. 유효접지1-1) 유효접지는 전력계통에서 1선 지락 고장 시 건전상의 최대 전위상승이 상규 대지전압의 1.3배 이하가 되도록 중성점을 접지하거나 정상시 선간전압의 0.75배 이하가 되도록 중성점을 접지하는 것을 말한다.1-2) Effective Grounding 유효접지는 직접접지 계통에서의 접지방식. 2. 상전압은 Phase와 Ground 간 전압을 의미한다. 정상시 대지에 대해 동일한 220[V]이며, 각 상은 120도 위상 차이를 가진다.★ 만약 1선이 지락 되었다면 지락이 발생한 상은 대지와 직접 연결되었으므로 0[V]가 된다. ★ 건전상의 전압은 1선 지락이 발생했을 때보다 상승한다. 이 경우 건전상의 상전압은 약 √3배가 증..

전기설비 방폭화 기본원리 3가지

전기로 인한 폭발 재해를 방지를 위해서는 전기설비의 방폭구조 설계를 고려해야 한다. 전기설비의 방폭화는 전기설비가 점화원으로 되는 확률을 0에 가깝게 낮춰 가연성 가스, 증기 및 분진으로 인한 폭발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점화원의 방폭적 격리, 점화능력의 본질적 억제, 전기설비의 안전도 증강을 사용한다. 1. 점화원의 방폭적 격리1-1) 압력방폭구조, 유입방폭구조, 충전방폭구조, 몰드방폭구조 등 : 전기설비에서 점화원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주위 가연성 가스 등과 격리하여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1-2) 내압방폭구조 : 전기설비 내부에서 발생한 폭발이 전기설비 주위 가연성 가스 등에 파급되지 않도록 점화원을 실질적으로 격리하는 방법 2. 점화능력의 본질적 억제본질안전방폭구조 : 약전류 회..

블로워 기동방식을 인버터로 변경(소프트스타트보다 경제적)

블로워 motor 인버터 기동은 소프트스타트보다 전력비 절감효과가 크다. 전동기 기동은 직입기동, 와이-델타 기동, 리액터 기동, 소프트스타트 기동, 인버터 기동이 있다. 그중 인버터 기동(VVVF)은 Inverter에 임의의 주파수와 전압을 교류로 변환시켜 전동기를 기동하고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장시간 운전하는 송풍기에 보다 더 경제적인 이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시간당 전력량(kWh)이 100kW에 60Hz 블로워에 인버터로 속도 조절하여 50Hz에는 100kW의 5/6인 83kW 정도만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2승저감토크부하는 인버터의 에너지 절감 원리를 설명해 준다. 1. 풍량은 회전속도에 비례한다. Q ∝ N2. 정압은 회전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H ∝ N의 제곱3. 동력은 회전속도의 세제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