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안전 165

초록색 비상구는 모두에게 보이지 않는다

모두를 위한 안전표지, '생존 UI' 비상구 표지, 소화기 표지, 유도선은 법정 구비물일 뿐만 아니라 위험 인지와 탈출 의사결정을 유도하는 생존 인터페이스(UI)이다. UI가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의미로 전달되지 않으면, 그 설계는 실패이다. 산업안전은 최소요건 준수가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 특성에서도 실패하지 않는 설계를 목표로 해야 한다. 대한민국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은 안전색을 명확히 규정한다. 금지를 뜻하는 색은 ‘빨간색(7.5R 4/14)’이고, 안내를 뜻하는 색은 ‘초록색(2.5G 4/10)’이다. 그러나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 관점에서 이는 심각한 설계 실패일 수 있다. 안전을 위해 법으로 지정된 시스템이 색약자, 고령자, 문맹자 등에게 고위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법이..

Thinking&Making 2025.10.19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MSD(근골격계) 개선 단계

안전·보건 업무를 하다 보니, 근골격계 질환을 막으려면 정확한 절차와 방법이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되었다.작업환경이 제대로 개선되면, 일상에서 약해진 허리도 작업과 맞물려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어깨·허리 통증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공학을 배우는 지금, 파일럿(측정) → 고쳐보기(수정) → 다시 적용(개선)의 개선 단계를 시뮬레이션해 봤다.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MSD 개선 단계(가설)Step구 분내용1스크리닝OWAS / RULA / REBA로 자세 위험 급히 분류2정량화수동 취급 위험: NIOSH 개정 리프팅 방정식(RNLE)로 리프트당 허용중량·LI 산출.정적 자세 : ISO 11226*정적자세 한계)로 허리·목·상지 각도/시간 허용치 점검.수작업 일반: ISO 11228(Part 1/..

건설안전특별법안 제안, 매출액의 3퍼센트 과징금 부과 가능

주요 내용 - 국회입법예고, 건설안전특별법안(문진석의원 등 11인) 가. 발주자는 설계ㆍ시공ㆍ감리자가 안전을 우선 고려하여 해당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정한 기간과 비용을 제공하여야 하며, 민간 공사는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이 적정한지 인허가기관의 장 등에게 검토를 받아야 함(안 제8조). 나. 발주자와 직접 계약을 체결하는 시공자는 해당 현장의 안전관리를 책임져야 하며, 다수 공종의 건설사업자가 사용하는 안전시설물을 직접 설치하여야 하고, 위험 작업이 현장에서 동시 추진되지 않도록 조정하여야 함(안 제15조). 다. 감리자는 시공자가 설계도서, 안전관리계획서 등에 명기된 안전규정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고, 사고가 우려되는 경우 공사를 중지하도록 하는 한편, 시공자가 공사 중지 명령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발..

공기정화설비 청소, 개·보수 작업 시 주지사항

사무실과 같은 실내 업무 공간에서 발생한 가스, 증기, 분진은 물론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유해물질은 공기 중에 떠다니며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공기정화설비 등을 갖춰 가동하며, 주기적으로 청소, 개·보수 작업을 하는 게 중요하다.1. 바깥으로 내보내거나 바깥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끌어들이는 급기ㆍ배기 장치2.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줄이는 여과제나 온도ㆍ습도ㆍ기류 등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냉난방장치3. 그 밖에 이에 상응하는 장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1장 사무실에서의 건강장해 예방에 관한 내용 중, 근로자가 공기정화설비등의 청소, 개·보수 작업을 하는 경우 사업주는 유해성 등을 근로자에게 알려야 한다. ■ 주지사항 1. 발생하는 사무실 오..

컨베이어에 끼인 부품 제거 중... 작동중인 기계에 끼임

6월 25일 08:25경, 경남 창원시의 한 자동차 부품 제조공장에서 재해자가 컨베이어에 끼인 부품을 제거하던 중 탈사기 롤러에 팔이 끼이는 사고가 일어났다.예방대책 1. 방호조치를 철저히1) 컨베이어의 위험 구간에는 견고한 방호울, 덮개 등 방호장치를 설치하고 항상 유효한 상태로 유지2) 작업자의 손이 닿기 쉬운 위치에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하고 그 기능을 주기적으로 점검3) 필요시 안전매트나 광전자식 방호장치 등 추가적인 안전장치 설치도 검토 2. 안전 작업 절차를 수립하고 준수1) 컨베이어 청소, 점검, 수리 등 비정형 작업 시에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고 잠금장치 및 위험 표지판을 부착하는 LOTO(Lock Out Tag Out) 절차를 수립하고 철저히 준수2) 위험성이 높은 작업에 대해서는 안전 작업..

CNC선반 가공 작업 중 노출된 알루미늄봉에 맞아...

25년 6월 18일 11:00경 경남 창원시 소재 차단기 부품 제조공장 내에서 맞음 사고가 발생했다. 재해자가 CNC선반으로 알루미늄봉 절삭 가공 중 회전에 의해 휘어진 가공물에 맞아 사망했다.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맞아 사고를 당한 것으로 보인다. 예방대책 1) 선반으로부터 돌출된 가공물 등의 회전체에 덮개 또는 울을 설치2) 돌출된 가공물의 회전 시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구를 설치

25년 5월 개구부 사고 2건 연달아 발생

사 고일시유형지역5월 17일떨어짐전남 영암군5월 19일떨어짐(14m)경북 영천시 1. 전남 영암군 개구부 추락사고 25년 5월 17일 11:00경, 전남 영암군 선박 제조 사업장에서 작업 중 재해자가 선박 내부 개구부로 떨어져 치료받았으나 사망했다. 2. 경북 영천시 개구부로 떨어짐(14m) 25년 5월 19일 10:39경 경북 영천시 공장의 지붕공사 작업 중 재해자가 지붕 판넬 철거를 하다 개구부로 떨어져 사망했다. □ 안전 작업방법 1. 작업 전 사전파악이 필요하다. 지붕 형태(채광창, 판넬 등), 구조, 노후 상태 파악.2. 덮개, 작업통로용 발판, 안전난간, 추락방호망 등 떨어짐 방지에 필요한 조치 후 작업을 실시한다.3. 안전대, 안전모 등 개인보호구 착용을 지시, 감독한다.

5월 이틀간 중대재해 3건... 감전, 쇄석 맞음, 구조물에 맞음

1. 25년 5월 13일 충북 청주시 감전 사고 09:00경 충북 청주시 건물 지하 저수조 상부에서 호스를 정리하던 작업자가 전선배관에 접촉되며 감전되어 사망했다. □ 습기가 있는 장소에서 전기기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누전차단기 및 접지를 설치해야 하며, 전선의 피복 등 외관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2. 25년 5월 13일 경남 거창군 맞음 사고 10:30경 쇄석 채굴장에서 사용 중인 컨베이어에서 재해자가 선별기로 떨어진 후 낙하하는 쇄석에 맞아 사망했다. □ 기계 설비 메인터넌스를 하는 경우 전원을 차단하고, 추락 위험이 있는 경우 떨어짐 방지조치를 실시해야 한다. 3. 25년 5월 14일 울산 울주군 맞음 사고 15:27경, 공장 철거공사 현장에서 재해자가 천장크레인 해체 작업 중 떨어지는 철제 ..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