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nvestment&Action 216

2025년 한국은행 통화정책방향 결정, 기준금리 2.5% 동결(251127)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2.50%로 동결했다. 세계경제는 관세정책 영향으로 둔화하나 미·중 갈등 완화와 재정정책으로 완만한 흐름을 보일 전망이다. 반도체 수출 호조와 내수 회복세로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상향 조정되었었으나, 1,400원대의 높은 환율 변동성과 수도권 집값 상승 및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 불안 요인이 여전하다. 물가는 당분간 2%대 초반을 유지하며 상방 압력이 있다. 총체적으로 성장・물가・금융안정을 동시에 고려해 현 금리를 유지하기로 판단한 것이다. (한국은행의 통화정책방향 결정, 25년 11월 27일 목요일) 한국은행의 금리 동결과 금융 안정 리스크 평가를 보며, 변동성 국면에서도 우량 기업과 지수 추종 ETF 비중을 크게 유지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거시 변수보다 실물 경쟁력과 재무건전..

2025년 종합부동산 납부 대상자로 보는 주식시장

1. 22년 -> 23년도 종합부동산세 과세인원이 128.3만 명에서 49.5만 명으로 감소했다.2. 25년 종합부동산세 과세 고지인원은 62.9만 명으로 전년 대비 약 14.8% 증가했다. 음, 2025년에 종부세 내는 사람이 14.8%나 늘어났다. 이건 집값(공시가격)이 오르면서 세금 부담이 다시 확 늘어난다는 확실한 신호이다. 특히 아슬아슬하게 세금 문턱을 넘은 우리 주변의 중산층 실거주자들, 당장 쓸 돈이 줄어드니까(가처분 소득 감소), 비싼 거 사는 것부터 일단 멈추지 않을까 예상한다. 그래서 2026년 국내 주식시장에서 여행, 외식 같은 소비재나 레저 관련 주식들은 단기적인 위축 요인이 발생할 거고, 이걸 반영시키려는 걸까? 뭐 상승분을 반납할 정도 폭락은 없다. 또는 2026년 한국 주식시장..

Investment&Action 2025.11.26

가전제품 하나 살 때는 괜히 신중해진다

"가전제품 하나 살 때는 괜히 신중해진다." 쿠쿠 밥솥을 사려고 스펙을 비교하고, 가격을 뒤지고, 리뷰까지 읽다 보니 두 시간은 훌쩍 지나 있다.액션캠 보는데 두 시간을 더 썼...팔목이 뻐근해질 만큼 비교했고, 그러다 문득 예전에 내가 주식을 사던 방식이 떠올랐다. 몇십만 원짜리 제품은 그렇게 고민하면서, 왜 그보다 훨씬 큰돈이 들어가는 주식은 뉴스 한 줄에 가볍게 사곤 했는지.그러다 떨어지면 무겁게 붙잡고 끌려다니며 손해를 봤던 기억이 스치고 지나갔다. 생각해 보면 웃기지만, 나름의 이유가 있었었다.손에 잡히는 물건은 조심스러운데, 숫자로만 보이는 주식은 어쩐지 가벼웠다.그래서 더 대충 고르고, 더 빨리 후회했다. 사고파는 마인드가 바뀐 뒤, 모아가는 주식들이 조금씩 쌓여왔다.가전제품 고르듯, 시간을..

Investment&Action 2025.11.24

[주가추이 기록일지] JYP Q3 2025 주가하락 (Lollapalooza Effect)

최근 JYP 주가가 장대 음봉을 만들며 급락하고, 공매도 순보유 잔고수량까지 증가했다.일련의 과정을 지켜보며 투자자로서 향후 유사한 복합 악재 패턴에 대응하기 위한 기록이다.구분항목데이터분석2025년 11월 3일사건 발생일NXT 105,100원-> KRX 88,500원장대 음봉 형성공매도 수량 증가2025년 11월 12일영업실적 공정공시전기실적 대비 -22.9%장 마감 후 공시2025년 11월 19일10:25 기준67,200원주식, 코인 시장 하락추세 이번 주가 흐름은 여러 심리적 요인과 시장 환경이 동시에 작용하였다.극단적인 방향성을 만들어 낸 “Lollapalooza Effect”가 강하게 연계된 사례일까?롤라팔루자 효과란 여러 독립적인 힘이나 인지적 편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수립하여 개별 효과의 합을..

Investment&Action 2025.11.19

25년 Q3 버크셔해서웨이 포트폴리오 (13F 보고서)

"13F Q3 2025 Berkshire Hathaway Inc." 최근 버크셔해서웨이(BRK)의 포트폴리오가 공개되었다. ‘13F Q3 2025’에 따르면, 버크셔해서웨이의 포트폴리오 TOP10에 알파벳(google)이 신규 편입되었다. ‘디지털 독점 인프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는 것일까? 특히 지금은 금리 인하 지연, 고평가 우려에 따른 조정 압력, 그리고 일부 성장 섹터의 'AI 버블 피로감'이 가중되며 시장의 방향성이 더욱 혼란스러운 시기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버크셔의 움직임은 변동성이 높은 순환주를 정리하고, 거시 경제 상황과 무관하게 흔들리지 않는 독점적 해자에 집중하겠다는 태도로 보인다. 우리 개인 투자자들에게도 시장의 소음과 감정을 통제하는 '원칙'이 중요함을 명확히 보여준다..

Investment&Action 2025.11.18

안전경영은 내재가치가 받쳐줄 때 힘을 발휘한다

EHS Today가 선정한 'America’s Safest Companies 2025' 수상 기업들은 KBR과 Albany Engineered Composites(AIN)를 포함한 현장 안전 분야의 최고 기준을 제시하는 선도 기업들이다. 이들은 업계 평균보다 낮은 재해율과 예방 시스템을 구축하여 '안전 우수성'을 공인받았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들 기업의 주가는 최근 52주 동안 지속적인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으며, 이는 안전경영성과와 시장 평가 간의 괴리를 보여준다. 1. 주가 하락의 이유가 ‘안전’은 아니다 이들 기업의 주가 하락은 안전 시스템의 실패가 아닌, 핵심 사업 부문의 위험 요소 때문이다. KBR의 경우 에너지 프로젝트 지연 및 정부 계약의 불확실성, AIN의 경우 매크로 경제 지표와..

Investment&Action 2025.11.14

시장은 폭락! 흔들려야 하나 말아야 하나

어제저녁부터 오늘 아침까지, 
뉴스와 SNS는 “뉴욕 증시 폭락”, “코스피 무너져…” 같은 자극적인 문구로 넘쳐났다. 
이런 문장을 반복해서 읽다 보면, 
머릿속 포트폴리오가 깜빡이고, 
심장 박동도 괜히 빨라진다. 
이건 정상적인 반응이다. 
시장이 요동치면, 우리 몸도 먼저 반응한다. 문제는 그다음이다.
이 하락이 소음(Noise)일까, 아니면 신호(Signal)일까.SDT(Signal Detection Theory)로 보면 
현재 판단이 HIT(P(S/S))일 수도 있고, MISS(P(S/N)), 즉 신호를 잡아내지 못한 상황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순간엔 그걸 알 수 없다.시장 참여자들은 똑같은 불확실성 속에 있다. 그렇다면 지금은 처음에 주식을 산 이유가 크게 변하지 않았다면, 그 이유를 신..

Investment&Action 2025.11.14

아이온큐 2025 3분기 어닝콜 (IONQ) Q3 FY2025 earnings call

IonQ, Inc. (IONQ) Q3 FY2025 earnings call transcript 금일 오전 6시 30분 시작한, 아이온큐 어닝콜에서 3분기 매출이 예상치를 상회하며 전년 동기 대비 222%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이어서 "At the same time, we have our fifth-generation machine available now, our sixth-generation machine coming next year.", 내년 6세대 제품 출시를 예고했다. "We're going to have the most number of qubits next year and in five years from now."또한 6세대 계획 공개와 함께 양자컴퓨팅 시장에서 가장 많은 큐비트로 시장에서..

Investment&Action 2025.11.06

대공황 시그널? 하락장 공포는 매집기회

오늘 투자 시장을 바라보며 아이러니한 심리가 있다. 바로 '하락장인데, 더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이 아쉽다'는 것이다.비트코인(BTC/USD)은 $100,000 아래를 겨우 터치한 후, 반등했다.엔비디아(NVDA), 팔란티어(PLTR) 등 미국 주요 기술주들이 하락세를 보였으나, 차트가 무너지는 형국은 아니다. S&P 500 지수투자는 '미국이라는 거대한 엔진'의 장기적인 성장에 베팅했다는 뜻이다. 이 엔진은 언제나 직선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가끔 연료가 부족할 때도 있고, 기계가 과열되어 잠시 멈추거나 뒤로 움직일 때도 있다.지금 보고 있는 계좌의 숫자는 단순한 'Noise' 주식시장에서 배운 가장 중요한 교훈 중 하나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의 가치이다. 주가가 떨어졌다고 해서 패닉에 빠지거나, ..

Investment&Action 2025.11.05

미국 제조업 지수 발표(2025.11.04.)

2025년 10월 ISM 제조업 지수는 48.7로 8개월 연속 수축을 기록해 제조업 활동이 명확히 약화되고 있다.ISM 물가지수는 61.9에서 58.0으로 하락해 물가 상승 압력이 완화되는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단기적으로는 제조업 약화와 물가 신호의 혼재로 변동성이 커지고 위험회피 심리가 우세해질 가능성이 높다. 제조업 지수 발표 이후 전략 담아봤는데, 그냥 지수추종으로 포트폴리오 담궈두고 일해야겠다.1. 당분간 자본재·소재·산업재 같은 경기 민감 섹터 비중을 줄이고 헬스케어·필수소비재·유틸리티 등 방어 섹터에 무게를 두는 전략2. 중기적으론 제조업·물가 약화가 이어지면 연준의 금리 완화 기대가 강화되어 시장 반등 기대감이 생길 수 있다.3. 반면 서비스업·고용·소비가 견조하게 유지되면 금리 인하 여지가..

Investment&Action 2025.11.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