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ertificate Data/인간공학 20

인체측정학에서 정적 인체 치수 계측 장비

인체 각 부위에 대한 Static Anthropometric Measuring Tools에는 마틴식 측정기, 캘리퍼스, 줄자, 신장계, 체중계 등이 있다. 1) 마틴식 인체측정기 (Martin Anthropometer): 여러 개의 금속 막대가 연결된 장치이다. 키, 팔 길이, 어깨너비등 인체의 선형 치수(길이·너비·높이 등)를 측정하여, 신체치수 기반 설계(의자, 책상, 장비 높이 등)에 데이터를 제공한다. 2) 캘리퍼스 (Calipers): Sliding Calipers와 Spreading Calipers를 사용한다. Sliding Calipers은 슬라이딩 구조로, 뼈의 폭 또는 짧은 거리(예: 손목 너비, 팔꿈치 폭 등)를 정밀하게 측정한다. Spreading Calipers은 곡면이나 넓은 부위..

올바른 조작판단 환경 조성을 위한 시력 개념 알기

작업자는 시각을 통해 정보를 얻으며, 대부분의 조작 판단도 시각 정보에 기반한다. 이러한 시각 정보의 인지와 해석은 시력(visual acuity)에 의해 좌우된다. 근무자가 장비 상태, 경고 신호, 수치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읽지 못하면 판단 오류와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밀 부품 조립, 의료영상 판독, 교통신호 식별 등의 작업에서는 높은 중심 시력이 필수적이다. 1. 여러 유형의 시력은 주로 망막 위에 초점이 맞추어지도록 모양체 근육(ciliary muscle)에 의한 눈의 조절능력에 달려있다.2. 눈의 조절능력이 불충분한 경우, 초점이 망막(Retina) 앞(근시)이나 뒤(원시)에 맺히게 된다.3. 시력은 세부적인 내용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시세포가 얼마나 세밀하게..

시각적 식별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가장 적은 요소는?

시력, 물체 크기, 밝기, 조도, 휘도비, 대비, 반사율, 노출시간 및 과녁의 이동과 같은 요소들은 물체가 '눈에 보이는지' 즉, '가시성(Visibility)'을 결정하는 근본적이고 선행적인 요소다. 이들 중 어느 하나라도 심각하게 결여되면 물체 자체가 눈에 들어오지 않거나, 충분한 정보가 망막에 형성되지 않아 식별 과정으로 아예 넘어갈 수 없다. 반면, 표적의 형태는 '물체가 보인다'는 전제하에 가시성 확보 후 그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구별하고 인식하는 역할이다. 시식별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가장 적은 요소이다.

결함 원인별 발생 확률에 따른 평균 정보량 계산

한 자동차 제조사에서 최근 출시한 자율주행차의 기능 이상 사례를 분석한 결과, 결함의 주요 원인이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 1) 센서 오류(Sensor failure): 발생 확률 0.62) AI 판단 오류(Algorithm failure): 발생 확률 0.33) 기계적 결함(Mechanical issue): 발생 확률 0.1 이 결함 원인에 대해 기대할 수 있는 평균 정보량은 얼마인가?풀이 평균 정보량은 확률 분포에서 얻을 수 있는 평균적인 정보의 양이다. 예측난이도, 데이터 압축, 리스크 분석, AI 의사결정 등에 지표로 사용되며, 비트 단위로 표현한다. 평균 정보량이 높다는 것은 모르는 것이 많다는 것으로, 추가 정보 수집 및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반대로 정보량이 낮을수록 불확실성이 적고..

근골격계부담작업 5호, 6호 판단 예시

★ 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위 및 유해요인조사 방법에 관한 고시에 규정된 근골격계부담작업 11가지 중 5호, 6호에 대한 설명1.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쪼그리고 앉거나 무릎을 굽힌 자세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근로자가 무릎을 굽힌 상태로 작업하거나 쪼그려 앉아서 하루 누적 2시간 이상 반복·지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경우, 이는 슬관절(무릎 관절), 대퇴사두근, 종아리 근육 등에 과도한 물리적 부담을 주게 된다. 특히 무릎에 체중이 집중되는 자세는 슬개골에 압박력을 증가시키며, 무릎 연골 마모, 활액막염, 점액낭염, 슬개건염 등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작업 중 작업물을 보기 위해 상체를 굽히거나 틀 경우, 요추 및 척추 주변 근육에도 누적 피로가 발생하여 허리통증이나 요추 디스크 손상..

공기정화설비 청소, 개·보수 작업 시 주지사항

사무실과 같은 실내 업무 공간에서 발생한 가스, 증기, 분진은 물론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유해물질은 공기 중에 떠다니며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공기정화설비 등을 갖춰 가동하며, 주기적으로 청소, 개·보수 작업을 하는 게 중요하다.1. 바깥으로 내보내거나 바깥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끌어들이는 급기ㆍ배기 장치2.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줄이는 여과제나 온도ㆍ습도ㆍ기류 등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냉난방장치3. 그 밖에 이에 상응하는 장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1장 사무실에서의 건강장해 예방에 관한 내용 중, 근로자가 공기정화설비등의 청소, 개·보수 작업을 하는 경우 사업주는 유해성 등을 근로자에게 알려야 한다. ■ 주지사항 1. 발생하는 사무실 오..

요구특성효과 [Demand Characteristic Effect]

연구자가 '인간공학적' 시스템을 강조하면 참가자는 특정 배치가 불편하더라도 불편함을 덜 호소할 수 있다. 관리자가 관찰하거나 평가하는 경우, 작업자는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소극적인 퍼포먼스를 보인다. 위 사례와 같이 무의식적으로 업무의 목적을 판단하고, 그에 맞는 태도나 반응을 보이게 되는 현상이 요구특성효과이다. 요구특성효과(Demand Characteristic Effect)는 작업 환경에서 작업자가 관리자의 의도나 기대를 추론하여 그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행동(응답)하는 경향을 말한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와 사용자의 해석이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사용자의 실제 행동을 정직하게 유도하기 위한 설계·평가 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인간공학적 설계 시 요구특성효과는 단순한 방해요인이 아닌, 심리적 환경요소..

플라시보 효과 [Placebo Effect]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란, 실제로는 효과가 없는 중재나 조치를 받은 사람이 긍정적인 기대와 믿음을 기반으로 실제 심리적·생리적 개선 효과를 경험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효과는 인간의 정서·기대·신념이라는 정성적 요인을 통해 성과 향상, 심리 안정, 스트레스 완화 등 긍정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설계 변수이다.■ 적용 예시1) “이 장비는 안전성 테스트를 모두 통과한 설비입니다.”라는 신뢰 기반 메시지는 실제보다 더 신중하고 안정적인 사용 행동을 유도할 수 있음.2) 인터페이스 상 심리적 안정을 주는 컬러, 피드백음, 안내 문구 설계3) "인체공학적으로 피로를 줄이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라는 인지적 기대가 실제 근피로를 감소시키는 효과로 연결될 수 있음 플라시보 효과..

피그말리온 효과 [Pygmalion Effect]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란 타인의 기대가 실제로 개인의 성과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심리학적 현상으로, 기대가 현실을 만든다는 개념을 상징한다. 인간공학은 인간의 능력과 한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시스템 설계에 반영한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인간의 정서적 요인(심리적 기대)이 행동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인간공학의 정성적 요소와도 깊이 연관된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작업자에게 ‘성공할 수 있다’는 명확한 기대와 긍정적 피드백을 주었다. 이때 작업자의 동기 유발, 자기 효능감 증가, 실수 감소, 안전행동 증가 등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시스템 설계 및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 적용할 경우 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긍정적 피드백 메세지 제공 (..

인간-기계시스템의 기본기능 4가지

인간-기계시스템(Human-Machine System)은 인간, 기계, 환경이 상호작용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통합된 시스템이다. 효율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유기적인 정보의 흐름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인간기계시스템의 기본기능 4가지 1. 정보의 감지(수용) 기능1)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자극(정보)을 인간 또는 기계가 받아들임.① 인간은 시각, 청각, 촉각 등을 통해 정보를 수용함② 기계는 센서, 입력장치 등을 통해 데이터를 감지함③ 감지 단계에서의 오류는 전체 시스템 오류로 이어질 수도 있음2) 작업자가 경고음을 듣고 이를 인지함 2. 정보의 보관 기능1) 감지된 정보를 기억하거나 저장하는 기능으로, 이후 판단에 활용됨① 인간은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장기기억(Long-Te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