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ertificate Data/인간공학 44

[인간공학기사 실기] 비행기 엔진시스템의 신뢰도 구하기

시스템 신뢰도(System Reliability) 구하기 ▶ 비행기의 양쪽 엔진이 모두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이 실패하여 추락하는 경우, 병렬 시스템 구조로 해석한다. 오른쪽 엔진의 신뢰도 R1 = 0.7왼쪽 엔진의 신뢰도 R2 = 0.8양쪽의 엔진이 고장나야 에러 발생하여 비행기가 추락 = 병렬 구조(fail-safe 구조) 병렬 시스템의 신뢰도 계산 공식R = 1 - [ ( 1 - R1 ) X ( 1 - R2 ) ] 해설R = 1 - [ ( 1 - 0.7 ) X ( 1 - 0.8 ) ] = 1 - (0.3 x 0.2) = 1 - 0.06 = 0.94 답 : 신뢰도 94%

[인간공학기사 실기] Barnes의 작업장(작업역) 배치의 원칙

Barnes의 동작경제 원칙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자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인간공학적 관점에서 작업 동작과 작업환경을 체계적으로 최적화한 기준이다. → 이 원칙은 크게 인체 사용 원칙, 작업장 배치 원칙, 공구 및 설비 설계 원칙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되며, 반복작업과 표준 동작 설계에 활용된다. 바인즈의 동작경제 원칙 중 작업장(작업역) 배치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Arrangement of the Work Place① There should be a definite and fixed place for all tools and materials.→ 모든 공구와 자재는 정해진 고정 위치에 항상 동일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② Tools, materials, and controls should b..

[인간공학기사 실기] 양립성 정리 - 정의, 종류, 예시

인간공학 기사 실기를 준비하다 보면, 이런 문제가 꼭 나온다.“양립성의 정의와 각 종류에 대해 설명하시오.”딱 보면 암기 문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많은 수험자들이 개념 간 차이를 헷갈려 틀린다.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문제의 정답만이 아니라, 왜 중요한지를 함께 설명한다. 양립성이란, 자극–반응 간 관계가 인간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는 정도를 말한다.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자극들 간의, 반응들 간의, 혹은 자극-반응 조합의 공간적·운동적·개념적 관계가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 것”이다.즉, 기계를 조작할 때 우리가 ‘이렇게 되겠지’ 하고 기대한 대로 실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이 바로 양립성이다. 양립성이 낮으면 사용자는 혼란을 느끼고, 결국 실수하거나 더 느리게 반응하게 된다.작업 효율이 떨어질 뿐 아니..

[인간공학기사 실기] 영상표시장치(VDT) 취급근로자 작업관리지침

"영상표시장치(VDT)를 사용할 때 작업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요?"가장 먼저 확인할 것은 화면과 눈의 관계이다. 작업자의 시선은 수평선보다 아래로 10~15도, 시거리는 40cm 이상이 이상적이다. 그래야 눈의 조절근 피로와 초점 전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화면은 회전 및 경사 조절 가능해야 하며, 문자·도형과 배경 간 휘도비(Contrast)는 작업자가 직접 조절 가능해야 한다. 단색 화면에서는 어두운 배경 + 밝은 황색, 녹색, 백색 글자가 권장되며, 청색·적색 글자는 눈 피로 유발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키보드의 경사는 5도 이상 15도 이하로 조절하고, 작업대 끝면과 키보드 사이는 15센티미터 이상을 확보한다. □ 영상표시단말기 화면은 회전 및 경사조절이 가능할 것 □ 화면에..

[인간공학기사 실기] 기초대사량(BMR)이란?

“기초대사량은 무엇인가요?”기초대사량(BMR)은 사람이 가만히 누워 있어도 호흡과 심장박동, 체온 유지에 쓰는 최소 에너지양을 말한다. 인간공학 기사 실기에서 “생체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 에너지 소비량은?”이라고 물으면 정답은 기초대사량(BMR, Basal Metabolic Rate)이다. 현장에서는 작업 강도, 휴식 설계, 열 환경 기준을 정할 때 개인의 BMR을 기준점으로 삼아 총 에너지 요구량을 추정한다. BMR은 경험식으로 빠르게 구한다. Mifflin – St Jeor, Harris – Benedict, Katch – McArdle가 대표적이다. 제지방량까지 고려한 Katch – McArdle 식, 체중·신장·연령을 기반으로 한 Harris – Benedict 식, 실무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인간공학기사 실기] GOMS모델 및 구성요소

1. GOMS = 목표–연산–절차–선택규칙으로 사용자 수행을 모델링해 시간과 절차를 예측하는 도구이다.2. 목적/효과1. 과업 분해 → 예상 수행 시간, 병목, 불필요 단계를 정량화한다.2. 설계 대안 간 효율성 비교와 절차 단순화에 즉시 활용한다. 3. 4가지 구성요소1. Goals(목표): 사용자가 달성하려는 하위·상위 과업2. Operators(조작): 인지·행동 기본 단위(키 입력, 포인팅, 시각 검색 등)3. Methods(방법): 목표 달성 절차의 연속된 연산자 시퀀스4. Selection Rules(선택 규칙): 복수 방법 중 상황에 맞는 방법 선택 기준

작업영역(Work Area), 사용자의 운동범위에 따른 구분

작업영역에는 정상작업역과 최대작업역이 있다. "The work area has a normal work area and a maximum work area." 작업역은 사용자의 도달 가능 범위에 따라 배치 우선순위를 정하고 작업면의 깊이를 정하는 기준이다. 정상작업역은 아래팔(팔꿈치 회전)만으로 편하게 닿는 구역, 최대작업역은 어깨+아래팔 완전 신전으로 닿는 구역이다. 1) 정상작업영역이란 상박부를 자연스런 위치에서 몸통부에 접하고 있을 때에 전박부가 수평면위에서 쉽게 도달할 수 있는 운동범위이며, 2) 최대작업영역이란 팔 전체가 수평상에 도달할 수 있는 최대운동범위를 말한다.

반응 시간 Reaction Time, 인간 친화적 설계를 위한 지표

1. 반응시간(Reaction Time) ▶ 자극이 제시된 순간부터 반응이 개시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정보처리 속도와 작업 특성 분석 지표로 활용 2. 유형별 비교 단순반응시간은 단 하나의 자극에 대해 단 하나의 반응만 수행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청각 신호가 울리면 버튼을 누르는 작업이 이에 해당한다. 반응 속도는 자극의 양식(시각, 청각, 촉각), 자극의 강도나 대비, 자극의 위치, 연령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청각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시각 자극보다 짧게 나타나며, 세 가지 유형 중 가장 빠른 반응을 보인다. 선택반응시간은 복수의 자극이 주어지고 각 자극마다 다른 반응을 수행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빨간불이 켜지면 좌측 버튼을, 파란불이 켜지면 우측..

조직에 의한 스트레스 요인

직무스트레스는 현대사회가 만들어 낸 대표적인 조직현상들 중 하나다. 직무수행 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현상으로 환경변화, 기술변화, 경쟁 심화, 조직 구조 등은 복잡한 요구를 만들고 있다. 이에 따라 구성원은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어 있다. □ 직무스트레스 요인 분류 1. 작업 요인(Work Factors) (1) 작업 과부하: 물리적·정신적 작업량이 과도 (2) 작업 속도 요구: 짧은 시간 내 많은 작업 처리 압박 (3) 작업 과정 통제 부족(업무 재량도): 작업자가 절차·방법을 결정할 권한 제한 (4) 교대근무: 야간·순환 근무로 인한 생체리듬 교란 (5) 반복·단순 작업: 정신·육체 피로 가중 (6) 근무시간 불규칙성: 잦은 잔업·특근으로 생활패턴 불안정 2. 조직적 요인(Organizatio..

연속적인 임무에서 인간신뢰도 추정

한 공장 제어실의 작업자가 생산 설비의 압력 표시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작업자가 압력 값을 잘못 판독하여 오류를 범할 확률은 평균적으로 100시간에 1회로 일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작업자가 근무를 시작한 후 200시간이 경과했을 때, 무오류로 설비 감시를 수행할 확률(인간신뢰도)은 약 얼마로 추정되는가? 인간신뢰도는 일정 시간 동안 사람이 오류 없이 주어진 임무를 수행할 확률을 말한다. 위 상황에서 작업자가 200시간 동안 한 번도 압력계 판독 오류를 하지 않을 확률은 약 13.5%이다. 단, 장시간 지속되는 모니터링 업무에서 피로누적과 숙련도 변화 반영이 안 되므로 보수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