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7 28

Reaction Time, 종류와 변수

Reaction Time 은 자극이 제시된 시점부터, 반응을 시작하는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 반응시간의 종류 ① 단순반응시간(Simple RT): 하나의 자극에 대해 하나의 반응을 하는 가장 기본적 형태 ② 선택반응시간(Choice RT): 여러 자극에 대해 각기 다른 반응을 요구하는 경우 (정보처리 부담 증가) ③ 판별반응시간(Discrimination RT): 여러 자극 중 특정 자극만 선택해 반응하는 과제 ■ 단순반응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① 자극의 양식: 시각, 청각, 촉각 중 청각 자극이 가장 빠르게 반응하는 경향 ② 자극의 강도 및 지속시간: 강할수록 반응 빠름 ③ 자극 위치: 중심 시야에 가까울수록 빠름 ④ 연령: 반응시간은 20대 초반이 가장 빠르며 이후..

작업을 시작한 후 일정시점에서의 인간신뢰도의 계산

인간신뢰도(Human Reliability)는 사람이 일정 시간 동안 작업을 수행할 때 오류 없이 성공할 확률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지수 분포 모델에 따라 계산되며, 이는 고장률 λ와 작업시간 t에 따라 감소하는 확률함수로 표현된다. 예를들어, 작업자가 50시간에 1회 진공계 검사 과정에서 에러를 범하여 고장률이 0.02로 조사되었다. 300시간 연속으로 생산품의 진공계를 검사할 경우, 에러가 없을 확률은 약 0.25%며, 99.75% 확률로 한 번 이상 실수한다고 볼 수 있다.R(t)는 시간(t)동안 오류없이 작업을 수행할 확률로 지수분포 모델을 사용한다.인간신뢰도는 작업 시간에 따라 급격히 저하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인지적 부담과 관련된 정량지표로 활용된다.

A특성치는 몇 phon일까? 등음량곡선

1. 등음량곡선(equal loudness contour) 인간은 주파수에 따라 소리를 다르게 인지하며, 이를 반영하기 위해 소음계에서는 A, B, C 세 가지 주파수 보정 특성(weighting characteristics)을 사용한다. A 특성은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며, 인체가 평균적으로 느끼는 40 phon 등음량 곡선을 기준으로 보정된 음압 수준이다. 2. 소음계 A, B, C 특성 1) A 특성치: 40 phon 등감곡선 기준으로 저주파를 크게 감쇄하여 인체 청감과 유사한 보정을 제공 2) B 특성치: 70 phon 기준으로 일부 산업적 측정에 사용되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3) C 특성치: 100 phon 기준으로 저주파 감쇠가 적고, 기계음·충격음 등 고음압 소음 측정에 사용

팔꿈치 관절에서 발생하는 반작용력은 얼마일까?

한 작업자가 차량 점검 중 부품을 해체하기 위해 팔을 앞으로 뻗은 상태에서 한 손으로 10kg짜리 장비를 지탱하고 있다. 이때 해당 손은 팔꿈치 관절로부터 30cm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손 자체의 중력 중심은 팔꿈치로부터 14c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손의 무게는 1.3kg이다. 이 상황에서 팔꿈치 관절에 발생하는 반작용력은 얼마인가? ■ 풀이 ▶ 회전력이 아니라, 반작용력 수직 방향 힘 총합을 묻는 문제. ▶ 들고 있는 힘 = 받쳐주는 힘, 10[kg] x 9.8[㎨] + 1.3[kg] x 9.8[㎨] = 98[N] + 12.74[N] = 110.74[N]

Crime and Punishment, 도스토예프스키

소설 속 주인공 라스콜니코프는 사람을 죽였다. 하지만 그가 가장 먼저 부딪친 건 경찰이 아니라, 자기 마음속에 있는 불안과 후회였다.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은 "사람이 잘못된 선택을 한 뒤, 그걸 마주하고 다시 살아가는 과정”을 다룬다. 그리고 이건 우리 모두에게 익숙한 이야기다. 1. 주인공의 심리 변화 2. 행동은 흔적을 남긴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했던 행동에 대해 후회하며 산다.“오늘 점심은 먹지 말걸” 하는 소소한 아쉬움부터,“그날 술만 안 마셨다면, 운전하지 않았다면”“안전장비만 제대로 착용했어도, 저 사고는 막을 수 있었을 텐데.” 같은되돌릴 수 없는 선택 앞에 느끼는 무거운 후회와 책임감까지.삶은 늘 선택의 연속이고, 행동은 흔적을 남긴다.그리고 그 흔적은 때론 지워지지 않는 마음의 ..

Reading&Organizing 2025.07.27

지속 가능한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

지속 가능한 포트폴리오를 떠올리며, 우선 일관된 현금흐름과 규칙적인 재투자의 필요성이 떠올랐다. 한 번의 무너짐으로 자산 회복이 어렵다면, 장기 투자 전략을 재설계하는 편이 낫다. 높은 기대수익률 즉, 하이-리턴 하이-리스크가 아니라, 일관된 현금흐름과 규칙적인 재투자 루틴의 장기적 복리 수익이 보다 더 지속적인 투자 선택이 된다. 이를 위한 한 가지 방법에는 S&P500을 추종하는 ETF와 고배당 성향의 ETF는 이상적인 조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OO는 미국 대형 우량주의 장기적 성장을 복리로 누릴 수 있는 대표 ETF이며, SCHD는 분기 배당을 통해 일정한 현금흐름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합은 두 축을 균형 있게 구성할 수 있게 해 주며, 채권 ETF를 일정 비중 더해 리스크 헤지까지 고..

Investment&Action 2025.07.26

에너지대사율 RMR 계산

에너지대사율은 작업을 할 때 기초대사량보다 얼마나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지를 숫자로 표현한다. 이 RMR값이 높을 수록 해당 작업이 육체적으로 더 힘들고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지표는 작업의 강도를 평가하고, 작업자에게 필요한 휴식시간 산정, 작업 부하 조절에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 RMR 3.33은 실제 작업부하가 기초대사량의 약 3.33배에 해당한다는 의미이다. 에너지대사율 RMR 구하기 조건)작업 시 산소 소비량 = 1.5[L/min]안정 시 산소 소비량 = 0.5[L/min]권장에너지소비량 = 5[kcal/min]기초대사량 = 1.5[kcal/min] ■ 작업 시 에너지 소비량 = 작업 시 산소 소비량 X 에너지 소비량 ■ 안전 시 에너지 소비량 = 안정 시 산소 ..

총 작업시간에 포함되어야 하는 휴식시간 산정하기

■ Murrell's method를 적용한 작업 부하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기반의 휴식시간 산정하기 1. 휴식시간 비율2. 휴식시간 계산 조건▶ 작업의 평균 에너지값 = 6kcal/min▶ 총 작업시간 = 1시간(60분)▶ 권장 평균 에너지값 상한 = 4kcal/min 휴식시간 비율 구하기 ▷ 휴식시간의 비율은 작업의 평균 에너지값에서 권장 평균 에너지값(4kcal/min) 상한의 차와 작업의 평균 에너지값에서 휴식 시간 중 에너지소비값(1.5kcal/min)의 비로 구한다.휴식시간 계산 ▷ 따라서 총 작업시간 60분에 포함되어야 하는 휴식시간은 약 27분이다.

육체적 작업을 하면 우리 몸의 순환기계는 어떻게 반응할까?

현장에서 육체적 작업은 근육을 사용하고, 이는 산소와 영양소의 더 많은 공급과 노폐물의 제거를 위해 순환기계가 반응한다.▶ 심박수 증가 (Increased Heart Rate): 심장은 활동하는 근육으로 더 많은 혈액을 빠르게 보내기 위해 분당 뛰는 횟수 증가. ▶ 일회박출량 증가 (Increased Stroke Volume): 심장이 한 번 박동할 때마다 내보내는 혈액의 양이 증가. ▶ 심박출량 증가 (Increased Cardiac Output): 심박수와 일회박출량의 증가로 인해 분당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의 총량(심박출량 = 심박수 × 일회박출량)이 크게 증가(근육으로의 산소 및 영양분 공급량 증가) ▶ 혈압 상승 (Increased Blood Pressure): 심박출량의 증가와 혈관 수축 등..

Sone은 몇 Phon 일까?

Stevens’s Power Law는 감각의 비선형 특성을 설명하는 법칙으로, sone phon 변환을 설명할 수 있다.■ Phon▶ 음의 크기를 객관적 dB로 나타낸 단위로, 1kHz에서 40dB = 40 phon, 동일한 dB라도 주파수가 다르면 인간이 느끼는 크기가 달라짐▶ Phon은 10 Phon 증가할 때마다 소리가 2배 커지는 것으로 인지 ■ Sone▶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소리의 주관적 크기로, 1 sone = 1kHz, 40 phone의 소리▶ 2 Sone은 1 Sone보다 두 배 더 시끄럽게 느껴지고, 4 Sone은 2 Sone보다 두 배 더 시끄럽게 느껴진다는 특징을 가진다. 8sone은 몇 phon인가?phon 값은 70 pho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