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ertificate Data 367

NLE, 허리 손상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유해요인의 주요 평가기법

중량물 취급에서의 유해요인 평가, NLE(NIOSH Lifting Equation)는 반복적 중량물 리프팅 작업에서 물리적 부담을 정량화하여 허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설계 개선의 근거를 제공한다. 따라서, 중량물 취급작업의 합리적인 설계 기준으로 사용되므로, 과중한 부하를 사전에 예측해 허리 손상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이 제시한 중량물 취급작업의 허리 부담 및 권장하중 산출은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무게 20kg의 상자를 40cm 떨어진 거리에서 하루 1회 들어올리는 작업▶ LC = 23, HM ≈ 0.95, VM ≈ 1.0, DM ≈ 0.93, AM = 1.0, FM = 1.0, CM = 1.0▶ RWL(권장무게한계) ≈ 23 × 0.95 × 1.0 × 0..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 적용 사례 예시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은 전문가의 집단 판단을 체계적으로 도출하는 데 적합한 방법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연구문제의 명확한 정의, 신중한 전문가 선정, 통제된 반복 조사 설계, 각 단계에 적합한 통계적 분석 기법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① 문제 정의 및 전문가 선정② 1차 설문조사 → 의견 수렴③ 응답 결과 통계 분석 및 요약 제공④ 피드백 바탕으로 2차 설문 → 재응답⑤ 응답 수렴의 반복(3차 ~ )을 통해 수렴 및 합의 도출 ★ 적용사례 예시 프로세스

인적 오류율 예측기법(THERP)을 활용한 직무실패확률은?

인적 오류율 예측 기법(THERP, Technique for Human Error-Rate Prediction)은 인간 오류를 체계적으로 예측·정량화하는 방법으로 고신뢰성 산업에서 널리 사용된다. 작업자 간 의존성이 존재하는 시스템에서는 단일 오류확률이 아닌 조건부 오류확률을 고려해야 하며, THERP 분석법의 의존성(dependence) 모델을 사용하여 조건부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THERP(인적 오류율 예측 기법)의 의존성 모델을 해석하는 한 가지 방식으로, 조건부 확률을 '의존성에 의한 실패'와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실패'의 합으로 분리하여 계산한다. 1) 의존성에 의한 실패▶ B에 의존할 때, B가 실패해서 A도 실패할 경우 = 0.15 x 1.0 = 0.15 2)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실..

산업재해 지표 [도수율, 강도율, 사망만인율, 연천인율]

산업재해 지표는 재해 발생 현황과 특징을 정량화하여, 조직의 안전수준 평가와 비교를 위한 지표로 활용된다. 주요 지표로는 도수율, 강도율, 사망만인율, 연천인율 등이 있다. ▶ 산업재해 지표 및 해석 예시 예를 들어, A사업장의 도수율이 2로 산출되었다면, 100만 시간당 발생한 재해건수는 2건이다. 동종업체인 A사업장의 도수율은 2, B사업장의 도수율은 0.8이라면, A사업장의 재해 빈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Reaction Time, 종류와 변수

Reaction Time 은 자극이 제시된 시점부터, 반응을 시작하는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 반응시간의 종류 ① 단순반응시간(Simple RT): 하나의 자극에 대해 하나의 반응을 하는 가장 기본적 형태 ② 선택반응시간(Choice RT): 여러 자극에 대해 각기 다른 반응을 요구하는 경우 (정보처리 부담 증가) ③ 판별반응시간(Discrimination RT): 여러 자극 중 특정 자극만 선택해 반응하는 과제 ■ 단순반응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① 자극의 양식: 시각, 청각, 촉각 중 청각 자극이 가장 빠르게 반응하는 경향 ② 자극의 강도 및 지속시간: 강할수록 반응 빠름 ③ 자극 위치: 중심 시야에 가까울수록 빠름 ④ 연령: 반응시간은 20대 초반이 가장 빠르며 이후..

작업을 시작한 후 일정시점에서의 인간신뢰도의 계산

인간신뢰도(Human Reliability)는 사람이 일정 시간 동안 작업을 수행할 때 오류 없이 성공할 확률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지수 분포 모델에 따라 계산되며, 이는 고장률 λ와 작업시간 t에 따라 감소하는 확률함수로 표현된다. 예를들어, 작업자가 50시간에 1회 진공계 검사 과정에서 에러를 범하여 고장률이 0.02로 조사되었다. 300시간 연속으로 생산품의 진공계를 검사할 경우, 에러가 없을 확률은 약 0.25%며, 99.75% 확률로 한 번 이상 실수한다고 볼 수 있다.R(t)는 시간(t)동안 오류없이 작업을 수행할 확률로 지수분포 모델을 사용한다.인간신뢰도는 작업 시간에 따라 급격히 저하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인지적 부담과 관련된 정량지표로 활용된다.

A특성치는 몇 phon일까? 등음량곡선

1. 등음량곡선(equal loudness contour) 인간은 주파수에 따라 소리를 다르게 인지하며, 이를 반영하기 위해 소음계에서는 A, B, C 세 가지 주파수 보정 특성(weighting characteristics)을 사용한다. A 특성은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며, 인체가 평균적으로 느끼는 40 phon 등음량 곡선을 기준으로 보정된 음압 수준이다. 2. 소음계 A, B, C 특성 1) A 특성치: 40 phon 등감곡선 기준으로 저주파를 크게 감쇄하여 인체 청감과 유사한 보정을 제공 2) B 특성치: 70 phon 기준으로 일부 산업적 측정에 사용되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3) C 특성치: 100 phon 기준으로 저주파 감쇠가 적고, 기계음·충격음 등 고음압 소음 측정에 사용

팔꿈치 관절에서 발생하는 반작용력은 얼마일까?

한 작업자가 차량 점검 중 부품을 해체하기 위해 팔을 앞으로 뻗은 상태에서 한 손으로 10kg짜리 장비를 지탱하고 있다. 이때 해당 손은 팔꿈치 관절로부터 30cm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손 자체의 중력 중심은 팔꿈치로부터 14c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손의 무게는 1.3kg이다. 이 상황에서 팔꿈치 관절에 발생하는 반작용력은 얼마인가? ■ 풀이 ▶ 회전력이 아니라, 반작용력 수직 방향 힘 총합을 묻는 문제. ▶ 들고 있는 힘 = 받쳐주는 힘, 10[kg] x 9.8[㎨] + 1.3[kg] x 9.8[㎨] = 98[N] + 12.74[N] = 110.74[N]

에너지대사율 RMR 계산

에너지대사율은 작업을 할 때 기초대사량보다 얼마나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지를 숫자로 표현한다. 이 RMR값이 높을 수록 해당 작업이 육체적으로 더 힘들고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지표는 작업의 강도를 평가하고, 작업자에게 필요한 휴식시간 산정, 작업 부하 조절에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 RMR 3.33은 실제 작업부하가 기초대사량의 약 3.33배에 해당한다는 의미이다. 에너지대사율 RMR 구하기 조건)작업 시 산소 소비량 = 1.5[L/min]안정 시 산소 소비량 = 0.5[L/min]권장에너지소비량 = 5[kcal/min]기초대사량 = 1.5[kcal/min] ■ 작업 시 에너지 소비량 = 작업 시 산소 소비량 X 에너지 소비량 ■ 안전 시 에너지 소비량 = 안정 시 산소 ..

총 작업시간에 포함되어야 하는 휴식시간 산정하기

■ Murrell's method를 적용한 작업 부하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기반의 휴식시간 산정하기 1. 휴식시간 비율2. 휴식시간 계산 조건▶ 작업의 평균 에너지값 = 6kcal/min▶ 총 작업시간 = 1시간(60분)▶ 권장 평균 에너지값 상한 = 4kcal/min 휴식시간 비율 구하기 ▷ 휴식시간의 비율은 작업의 평균 에너지값에서 권장 평균 에너지값(4kcal/min) 상한의 차와 작업의 평균 에너지값에서 휴식 시간 중 에너지소비값(1.5kcal/min)의 비로 구한다.휴식시간 계산 ▷ 따라서 총 작업시간 60분에 포함되어야 하는 휴식시간은 약 27분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