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ertificate Data 389

[인간공학기사 실기] 표준시간 산출방법

"표준시간은 생산하는데 소요된 시간이다." 표준시간은 표준화된 작업조건 하에서 요구되는 숙련도와 적성을 지닌 작업자가 그 기업에서 정상이라고 인정하는 작업속도로 1단위의 작업량을 생산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말한다. 표준 시간은 작업요소를 규정하고 여유율을 반영한 합리적 기준 시간으로서, 생산성·품질·안전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필수 인프라이다. 작업 시간/공정마다 데이터 가용성, 작업특성, 정확도, 비용, 시간, 표준화 수준 등 제약과 목표에 따른 표준시간 산정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 표준시간 산출방법 5가지 1. 실적자료법(historical/actual data)▶ 과거 실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위 작업시간을 추정해 표준으로 삼는 방법.2. 시간연구법(time study method)▶ 스톱워치/영..

[인간공학기사 실기] 서블릭(Therbligs) 동작분석

"서블릭 Therbligs"서블릭은 작업을 수행하는 데 관련된 동작들을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한다. 공정 내에서 개별 동작뿐만 아니라 지연의 순간을 식별하여 불필요하거나 비효율적인 동작을 찾아내고, 찰나의 낭비되는 시간까지 활용하거나 제거하도록 고안되었다.피로와 부상을 유발하는 동작을 줄이는 것이 주요 목표인 인간 공학(Ergonomics) 분야에서 서블릭 시스템은 매우 중요효율적 서블릭은 공정 산출물에 형상·위치·결합·사용 등 실질 변화를 만든 동작을 말하며, 비효율적 서블릭은 결과물에 변화가 없거나, 탐색·판단·대기·재배치처럼 없애거나 줄일 수 있는 동작을 말한다. ■ 서블릭(Therbligs) 내용명칭(English)내용효율성Search물건이 어디에 있는지 눈이나 손으로 찾는 것비효율적Find..

[인간공학기사 실기] 의자 조절식 설계 (앉은오금높이)

좌면이 너무 높으면 오금 부위에 압박이 가해지기 때문에 인간공학적 설계가 필요하다.좌면의 높이는 바른 자세로 앉았을 때, 발이 바닥에 자연스럽게 닿도록 앉은오금높이를 기준으로 설계한다. (이때, 신발의 높이와 여유량을 고려한다.) 좌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라면, 조절식 좌면높이는, 5%ile ~ 95%ile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5%ile = 평균 - (표준편차 X %ile계수) + 신발의 높이 + 여유량95%ile = = 평균 - (표준편차 X %ile계수) + 신발의 높이 + 여유량 문제. 의자의 좌면높이를 결정하는데 앉은오금높이를 기준으로 설계하려고 한다.아래 조건을 응용하여 남녀의 조절식 설계 범위를 구하시오. 조건남자 평균 앉은오금높이 및 표준편차 : 392mm, 20..

[인간공학기사 실기] 동전던지기 정보량 계산

동전을 세 번 던져 앞뒤뒤, 뒤앞뒤, 뒤뒤앞 중 하나가 나왔다.“이 상황이 내게 주는 정보의 양은 몇 비트일까?” "동전을 세번 던져 뒷면이 2번 나오는 경우 정보량 계산"동전을 3번 던져 가능한 모든 순서(표본공간)은 8개이다. 앞앞앞앞앞뒤앞뒤앞앞뒤뒤뒤앞앞뒤앞뒤뒤뒤앞뒤뒤뒤 여기서 뒷면이 2번 나오는 경우는 3가지이다. 앞뒤뒤뒤앞뒤뒤뒤앞 각 순서의 확률은 모두 (1/2)^3 = 1/8 = 0.125 bit동전을 세 번 던지니, 0.125 * 3 = 0.375 bit뒷면이 2번인 경우는 3가지로 0.375 * 3  =  1.125bit답 : 1.125bit 평균정보량 1. 1/8 동전을 3번 던지면 가능한 결과는 8가지 = 각 결과 p = 1/8 2. log2(1 / 1/8) 그 순서 하나가 주는 정보, ..

[인간공학기사] 최소가분시력과 식별거리 계산

문제)작업자의 시력은 0.5다. 작업대에 놓인 링스톤 1.5mm를 식별할 수 있는 거리는? (단, 소수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시오) 인간은 표적을 식별하는 시감각 체계를 갖고 있다.최소가분시력 Minimal Separable Acuity은 눈이 식별할 수 있는 표적에 대한 최소 공간을 말한다.시력은 " 1 / 시각 " 이다. 시력 = 1에 대한 시각의 비로,주어진 작업자의 시력 0.5를 대입하면'0.5 = 1 / 시각' 이다. 시각으로 표현하면 '시각 = 1 / 0.5' 로 나타낼 수 있다. 57.3 x 60 의 의미는? 라디안을 각분(arcminute)으로 바꾸는 상수 1. 57.3 ≈ 180/π : 라디안(rad)을 도(°) 로 바꾸는 환산값2. 60 : 도(°) → 분(′) 로 바꾸는 환산값(1..

[인간공학기사] 소음 노출기준 문제, TWA 및 소음노출지수 계산

'전날 작업 배치표에 기록된 구간별 소음레벨과 체류시간은 이랬죠.' ◻ 90 dB 구간 4시간◻ 95 dB 구간 3시간◻ 100 dB 구간 1시간 총 8시간 작업을 했고, 위와 같이 소음에 노출되었을 때,소음 수준의 평가를 위해 소음노출지수와 TWA를 알아야 한다.1. 소음노출지수 D(%) 계산소음 노출지수 D(%) – “허용시간을 얼마나 넘겼는가/덜 썼는가”로 생각할 수 있다. 음압 수준이 전체 작업교대 시간동안 일정하다면, 다음 공식으로 산출한다.전체 작업시간 동안 서로 다른 소음수준으로 노출될 때 총 소음노출량(D)는 규칙(국내 기준)기준치: 90 dB – 8시간→ 95 dB 허용시간 4시간, 100 dB 허용시간 2시간 D(%) = (C1/T1 + C2/T2 + C3/T3) × 100= (4/8..

[인간공학기사] 정보전달량 구하는 방법 및 의미파악(전달=입력+출력-결합)

전달정보량을 구하고, 그 의미를 알 수 있다.1. 정보전달량은 어떻게 구할까? 1-1. 입력(자극)정보량 H(x) 구하기 1-2. 출력(반응)정보량 H(y) 구하기 1-3. 결합정보량 H(x,y) 구하기 1-4. 정보전달량 T(x,y) 구하기 다음은 신호처리기가 입력 x(빨강, 파랑)을 받아 출력 y(통과, 정지)로 판단한 10회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구 분통과정지합계빨강325파랑505합계8210 이 표를 보고,전달정보량은 0.23bit 임을 알 수 있는데, 출력 y를 보면 입력 x에 대한 불확실성이 0.23비트만큼 감소함을 의미한다.실험에서 주어진 입력정보량이 1bit 였으니, 입력에 담긴 정보의 23%만 유효하게 전달된 셈이다. 출력정보량은 0.72bit 이다.출력의 최대는 1bit(50:50)..

[인간공학기사 실기] 표준시간 계산할 때 외경법? 내경법?

표준시간을 사용한 문제가 주어졌을 때, 내경법과 외경법이 헷갈린다면, 이렇게 해보자. ▷ 근무시간 중에 여유시간이 있을 때는 내경법을(= 근무여유율 10%, 근무시간의 10%를 근무여유율로) ▷ 근무시간 외에 여유시간이 있다면 외경법을 사용한다.(= 정미시간의 10%를 여유로)표준시간을 이용한 문제 : 어느 공정의 정미 시간이 0.9 분이다. 1일 근무시간 8시간 중 근무 여유율 10%를 적용하여(=내경법 기준으로), 하루 기준 생산 가능 수량(개)을 구하라. (1일 총 근로시간=8시간) ★ 근무시간 중 여유시간을 -> 내경법, 아래는 내경법을 사용한 표준시간 구하기 공식이번 문항은 내경법(근무시간 대비 여유율)을 쓰는지, 외경법을 사용하는지, 문제에 제시된 내경법 기준이라는 문구를 확인.수식은, 표준..

[인간공학기사 실기]유해요인조사 언제 해야 하나?

"유해요인조사는 3년에 한 번!"이 한 문장만 외우고 시험장에 간다면, 실제로는 절반만 맞춘 셈입니다.인간공학기사 실기에서는 ‘정기조사’뿐 아니라 ‘수시조사’까지 묻는 문제가 매년 반복됩니다.신설 사업장 최초 1년, 수시조사 1개월 내 검토·실시 정리하면, "산업안전보건법상 유해요인조사"를 하여야 하는 경우는1) 사업주는 근로자 대표 또는 해당 작업근로자를 참여시켜, 매 3년 이내에 정기적으로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한다.2) 신설 사업장은 신설일부터 최초 1년 이내에 실시한다.3) 사업주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경우에는 1개월 이내에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한다.가.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임시건강진단 등에서 근골격계질환자가 발생하였거나 근로자가 근골격계질환으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받은..

[인간공학기사 실기] 유해요인조사 (작업장 상황, 작업조건, 근골격계 질환증상 조사)

인간공학 기사 실기를 준비하면서
‘작업장 상황 조사, 작업조건 조사, 증상 조사’
이렇게 세 가지 항목을 외우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그런데, 실제 조사에서 딱 하나만 물어본다면? 
그리고 그 하나가, “작업 조건이냐? 작업 상황이냐?” 처럼 
헷갈리게 나오면요? 법적 기준이기도 하지만,실제 현장에서 조사를 시작할 때 어떤 관점으로 나눠 조사하는지구조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1) 작업장 상황조사작업장 상황조사 포함항목은 '환경중심'작업설비작업량작업속도업무변화 2) 작업조건 조사작업조건 조사 포함항목 '신체부담중심'반복성부자연스런 자세무리한 힘접촉스트레스 진동 등 3)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 포함항목 '작업자 상태 중심'증상과 징후 현작업(전작업) 작업력 근무형태규칙적인 여가 및..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