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ertificate Data 370

팔꿈치 관절에서 발생하는 반작용력은 얼마일까?

한 작업자가 차량 점검 중 부품을 해체하기 위해 팔을 앞으로 뻗은 상태에서 한 손으로 10kg짜리 장비를 지탱하고 있다. 이때 해당 손은 팔꿈치 관절로부터 30cm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손 자체의 중력 중심은 팔꿈치로부터 14c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손의 무게는 1.3kg이다. 이 상황에서 팔꿈치 관절에 발생하는 반작용력은 얼마인가? ■ 풀이 ▶ 회전력이 아니라, 반작용력 수직 방향 힘 총합을 묻는 문제. ▶ 들고 있는 힘 = 받쳐주는 힘, 10[kg] x 9.8[㎨] + 1.3[kg] x 9.8[㎨] = 98[N] + 12.74[N] = 110.74[N]

에너지대사율 RMR 계산

에너지대사율은 작업을 할 때 기초대사량보다 얼마나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지를 숫자로 표현한다. 이 RMR값이 높을 수록 해당 작업이 육체적으로 더 힘들고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지표는 작업의 강도를 평가하고, 작업자에게 필요한 휴식시간 산정, 작업 부하 조절에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 RMR 3.33은 실제 작업부하가 기초대사량의 약 3.33배에 해당한다는 의미이다. 에너지대사율 RMR 구하기 조건)작업 시 산소 소비량 = 1.5[L/min]안정 시 산소 소비량 = 0.5[L/min]권장에너지소비량 = 5[kcal/min]기초대사량 = 1.5[kcal/min] ■ 작업 시 에너지 소비량 = 작업 시 산소 소비량 X 에너지 소비량 ■ 안전 시 에너지 소비량 = 안정 시 산소 ..

총 작업시간에 포함되어야 하는 휴식시간 산정하기

■ Murrell's method를 적용한 작업 부하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기반의 휴식시간 산정하기 1. 휴식시간 비율2. 휴식시간 계산 조건▶ 작업의 평균 에너지값 = 6kcal/min▶ 총 작업시간 = 1시간(60분)▶ 권장 평균 에너지값 상한 = 4kcal/min 휴식시간 비율 구하기 ▷ 휴식시간의 비율은 작업의 평균 에너지값에서 권장 평균 에너지값(4kcal/min) 상한의 차와 작업의 평균 에너지값에서 휴식 시간 중 에너지소비값(1.5kcal/min)의 비로 구한다.휴식시간 계산 ▷ 따라서 총 작업시간 60분에 포함되어야 하는 휴식시간은 약 27분이다.

육체적 작업을 하면 우리 몸의 순환기계는 어떻게 반응할까?

현장에서 육체적 작업은 근육을 사용하고, 이는 산소와 영양소의 더 많은 공급과 노폐물의 제거를 위해 순환기계가 반응한다.▶ 심박수 증가 (Increased Heart Rate): 심장은 활동하는 근육으로 더 많은 혈액을 빠르게 보내기 위해 분당 뛰는 횟수 증가. ▶ 일회박출량 증가 (Increased Stroke Volume): 심장이 한 번 박동할 때마다 내보내는 혈액의 양이 증가. ▶ 심박출량 증가 (Increased Cardiac Output): 심박수와 일회박출량의 증가로 인해 분당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의 총량(심박출량 = 심박수 × 일회박출량)이 크게 증가(근육으로의 산소 및 영양분 공급량 증가) ▶ 혈압 상승 (Increased Blood Pressure): 심박출량의 증가와 혈관 수축 등..

Sone은 몇 Phon 일까?

Stevens’s Power Law는 감각의 비선형 특성을 설명하는 법칙으로, sone phon 변환을 설명할 수 있다.■ Phon▶ 음의 크기를 객관적 dB로 나타낸 단위로, 1kHz에서 40dB = 40 phon, 동일한 dB라도 주파수가 다르면 인간이 느끼는 크기가 달라짐▶ Phon은 10 Phon 증가할 때마다 소리가 2배 커지는 것으로 인지 ■ Sone▶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소리의 주관적 크기로, 1 sone = 1kHz, 40 phone의 소리▶ 2 Sone은 1 Sone보다 두 배 더 시끄럽게 느껴지고, 4 Sone은 2 Sone보다 두 배 더 시끄럽게 느껴진다는 특징을 가진다. 8sone은 몇 phon인가?phon 값은 70 phon.

인간-기계 시스템의 기본적인 정보 Flow Chart

인간-기계 시스템(Man-Machine System, MMS)은 인간과 기계가 상호작용하여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정보 흐름 과정이 존재하는 시스템이다. ■ 인간-기계 시스템의 4가지 기능(MMS Functional Capabilities) ▶ 정보의 수용 (Information Reception / Sensory Input) : 감각기관(시각, 청각, 촉각 등)을 통해 외부 자극 또는 시스템 상태 정보를 받아들이는 기능이다.▶ 정보의 저장 (Information Storage) : 단기기억 또는 장기기억을 통해 정보를 일시적 혹은 지속적으로 저장한다.▶ 정보의 처리 및 결정 (Information Processing & Decision-Making) : 수용된 정보를 판단하고, 논리적·감성적으로 분석..

소음의 거리 감쇠 법칙 이용, 소음수준 계산

어느 공장에서 발생한 기계 소음이 20m 거리에서 130 dB(A)로 측정되었다. 이 소음원을 기준으로 100m 떨어진 거리에서의소음 수준은약 얼마인가? 130 - 20 * log10(100/20) = 116dB(A)풀이 소음의 거리 감쇠 법칙을 이용하여 해석하면 되는데, 거리와 소음 수준의 관계는 음압 레벨의 로그 감쇠 법칙에 따라 정해진다. 기준거리 : 20m기준소음 : 130dB(A)바뀐거리: 100m 계산 : 기준소음 - 20*log10(바뀐거리 / 기준거리)계산 : 130 - 20*log10(100/20) = 160dB(A)소음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하므로 거리가 5배 증가 -> 약 14dB(A) 감소되었다. ★ log10(2) = 0.301★ log10(5) = 0.699

인체측정학에서 정적 인체 치수 계측 장비

인체 각 부위에 대한 Static Anthropometric Measuring Tools에는 마틴식 측정기, 캘리퍼스, 줄자, 신장계, 체중계 등이 있다. 1) 마틴식 인체측정기 (Martin Anthropometer): 여러 개의 금속 막대가 연결된 장치이다. 키, 팔 길이, 어깨너비등 인체의 선형 치수(길이·너비·높이 등)를 측정하여, 신체치수 기반 설계(의자, 책상, 장비 높이 등)에 데이터를 제공한다. 2) 캘리퍼스 (Calipers): Sliding Calipers와 Spreading Calipers를 사용한다. Sliding Calipers은 슬라이딩 구조로, 뼈의 폭 또는 짧은 거리(예: 손목 너비, 팔꿈치 폭 등)를 정밀하게 측정한다. Spreading Calipers은 곡면이나 넓은 부위..

올바른 조작판단 환경 조성을 위한 시력 개념 알기

작업자는 시각을 통해 정보를 얻으며, 대부분의 조작 판단도 시각 정보에 기반한다. 이러한 시각 정보의 인지와 해석은 시력(visual acuity)에 의해 좌우된다. 근무자가 장비 상태, 경고 신호, 수치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읽지 못하면 판단 오류와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밀 부품 조립, 의료영상 판독, 교통신호 식별 등의 작업에서는 높은 중심 시력이 필수적이다. 1. 여러 유형의 시력은 주로 망막 위에 초점이 맞추어지도록 모양체 근육(ciliary muscle)에 의한 눈의 조절능력에 달려있다.2. 눈의 조절능력이 불충분한 경우, 초점이 망막(Retina) 앞(근시)이나 뒤(원시)에 맺히게 된다.3. 시력은 세부적인 내용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시세포가 얼마나 세밀하게..

시각적 식별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가장 적은 요소는?

시력, 물체 크기, 밝기, 조도, 휘도비, 대비, 반사율, 노출시간 및 과녁의 이동과 같은 요소들은 물체가 '눈에 보이는지' 즉, '가시성(Visibility)'을 결정하는 근본적이고 선행적인 요소다. 이들 중 어느 하나라도 심각하게 결여되면 물체 자체가 눈에 들어오지 않거나, 충분한 정보가 망막에 형성되지 않아 식별 과정으로 아예 넘어갈 수 없다. 반면, 표적의 형태는 '물체가 보인다'는 전제하에 가시성 확보 후 그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구별하고 인식하는 역할이다. 시식별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가장 적은 요소이다.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