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848

[인간공학] 점멸융합주파수 (정신적 피로 평가)

점멸융합주파수(CFF, Critical Flicker Fusion frequency)란? 빛을 일정한 속도로 점멸시킬 때, 깜박임이 인지되지 않고 연속적인 광(continuous light)으로 인식되는 임계 주파수(Hz)이다. "왜 연속적인 광으로 인식되는 임계 주파수를 알아야 하지??" 망막의 시세포(추세포·간상세포)는 자극 후 일정 시간 동안 잔상을 남기는데,점멸 속도가 빨라지면 이 잔상들이 융합되어 연속광으로 보인다.이때 깜박임이 사라지는 한계 주파수가 바로 CFF이다. 인간의 눈과 뇌는 초당 약 50~60Hz 정도의 시각 변화를 연속광으로 인식하는데,디스플레이나 조명이 CFF 이하의 주파수로 점멸하면, 인간은 무의식적으로 깜박임을 감지하고 시각 피로, 두통, 집중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

[인간공학기사 실기] 감성공학 요인분석

요인분석의 원자료를 표준화해 "이 항목이 어떤 요인과 얼마나 강하게(크기) 어떤 방향(부호)으로 함께 움직이는가"를 보여주는 상관계수 형태의 결과표이다. 적재값의 부호는 Factor값이 커질수록 항목 점수가 어느 쪽으로 움직이는가를 뜻한다. 감성어휘FACTOR1FACTOR2FACTOR3우아한 - 촌스러운0.5160.029-0.675널찍한 - 좁은-0.865-0.273-0.123편안한 - 불편한0.890-0.1110.283참신한 - 진부한0.1190.7690.449강한 - 약한0.3670.0280.899요인적재값 = 항목과 요인 점수의 상관계수에 해당, 범위가 -1 ~ +1 - 적재 : 우아한, 널찍한, 편안한, 참신한, 강한+ 적재 : 촌스러운, 좁은, 불편한, 진부한, 약한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적재값|..

집에서 집중이 안 되는 이유, 답은 환경설계

밖에서는 일과 공부에 집중된다.집에 들어오면 의욕이 꺼진다.간식과 영상이 도파민을 다 가져간다.집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답은 환경 설계다. 경험상, 루틴은 의지가 아니라 설계에서 나왔다. 1. 스마트폰은 방에 두고, 비워둔 거실 식탁 위엔 맥북과 책만.2. 정해진 시간에 카페 가기, 헬스장 가기.3. 구글 캘린더로 하루를 시각화4. 노션에 하루를 짧게 기록하기

Thinking&Making 2025.10.21

홈런을 치려고 잔뜩 웅크린 내게 온 선물

요즘의 우리,무언가를 시작하기 전에 너무 많은 걸 준비한다.완벽한 타이밍, 완벽한 실력, 완벽한 결과.그래서 결국 아무것도 시작하지 못한다.그런데, 세상은 그렇게 돌아가지 않았다. 최재천 교수는 디지스트 졸업식 축사에서 이렇게 말했다."여러분은 첫 타석에서부터 홈런을 치려고 잔뜩 웅크리고 있는 건 아닌가요?, 아인슈타인은 모두가 인정하는 천재입니다.그는 몇 백년에 나타날까 말까 한 천재입니다.우리는 아인슈타인 말고, 피카소로 삽시다. 나에게 주어진 모든 일과 기회를 그냥 즐겁게, 성실하게 열심히 하다 보면어느 날 나에게도 운 좋게 홈런을 칠 수 있는 날이 올 수도 있습니다.그냥 저에게 주어지는 일을 신나게, 성실하게 하다 보니 영광스러운 자리까지 불려 왔습니다." 그러니 오늘,홈런을 기다리지 말고 그냥 ..

Thinking&Making 2025.10.20

초록색 비상구는 모두에게 보이지 않는다

모두를 위한 안전표지, '생존 UI' 비상구 표지, 소화기 표지, 유도선은 법정 구비물일 뿐만 아니라 위험 인지와 탈출 의사결정을 유도하는 생존 인터페이스(UI)이다. UI가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의미로 전달되지 않으면, 그 설계는 실패이다. 산업안전은 최소요건 준수가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 특성에서도 실패하지 않는 설계를 목표로 해야 한다. 대한민국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은 안전색을 명확히 규정한다. 금지를 뜻하는 색은 ‘빨간색(7.5R 4/14)’이고, 안내를 뜻하는 색은 ‘초록색(2.5G 4/10)’이다. 그러나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 관점에서 이는 심각한 설계 실패일 수 있다. 안전을 위해 법으로 지정된 시스템이 색약자, 고령자, 문맹자 등에게 고위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법이..

Thinking&Making 2025.10.19

[인간공학] 비행기 조종장치 코딩 (넷플릭스 굿뉴스)

2025년 넷플릭스 영화 '굿뉴스'에서 테러범들이 비행기 조종석을 점령했지만,복잡한 제어판을 보며, 연료 게이지를 찾지 못하는 장면이 나온다.평양으로 비행기를 납치하려면 계획이 실패한 첫 번째 이유가 복잡한 비행기 조종장치였다. 그래서 비행기 조종장치는 의미가 있는 단서를 붙여 조작을 헷갈리지 않게 코딩을 한다. 조종실, 제어판은 비슷하게 생긴 조작기가 많아, 조작자의 착오나 실수는 큰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그래서 찾기 쉽고, 틀리기 어렵게 코딩을 한다. 그러면 어떻게 코딩을 해야 할까?HFDS Ch6. Control and visual indicators 의 6.1.1.4 Coding MIL-STD-1472H, department of defense design criteria standard..

[인간공학기사 실기] 소음원의 소음레벨(dB)

기계설비 #1, #2, #3 작동 중 90dB, 80dB, 65dB의 소음이 발생한다.3대의 설비를 동시에 가동시킬 때, 총 소음레벨(dB)은 얼마일까? (= 소음원의 레벨을 로그로 합산한 결과는?) 소음레벨은 강도 or 압력기준으로 계산하는데, 위상에 따라 상쇄와 증폭이 생기므로 일반 소음의 합산엔 압력보단 강도 합을 쓴다. 강도 기준 소음레벨의 계산은 동시에 작동하는 서로 독립 소음원의 에너지를 선형으로 합산하고, 각 소음원의 레벨을 선형값으로 변환해 합한 뒤 다시 데시벨로 환산한다. dB은 로그단위라 그대로 사용하면 안되고, 먼저 선형값으로 바꿔야 한다. 즉, 항상 10에 90db/10으로 선형화 한 후, 이 값들을 합하고, 10log( 선형화 후 값 합산)으로 소음레벨을 구하면, 소음합산레벨은..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MSD(근골격계) 개선 단계

안전·보건 업무를 하다 보니, 근골격계 질환을 막으려면 정확한 절차와 방법이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되었다.작업환경이 제대로 개선되면, 일상에서 약해진 허리도 작업과 맞물려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어깨·허리 통증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공학을 배우는 지금, 파일럿(측정) → 고쳐보기(수정) → 다시 적용(개선)의 개선 단계를 시뮬레이션해 봤다.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MSD 개선 단계(가설)Step구 분내용1스크리닝OWAS / RULA / REBA로 자세 위험 급히 분류2정량화수동 취급 위험: NIOSH 개정 리프팅 방정식(RNLE)로 리프트당 허용중량·LI 산출.정적 자세 : ISO 11226*정적자세 한계)로 허리·목·상지 각도/시간 허용치 점검.수작업 일반: ISO 11228(Part 1/..

[인간공학기사 실기] FT도 계산형 문제 (신뢰도 %)

FT도는 고장(실패)논리를 쌓는다. 계산결과는 기본적으로 고장확률을 나타낸다. 신뢰도(정상확률)이 필요하면, 1 - P(고장) = 신뢰도 FT도에서 사용하는 도형1. 사각형은 분석 대상 사건2. 원은 더 이상 분해하지 않는 기본고장으로 숫자는 보통 고장확률 p3. 게이트는 논리 연산으로 원인과 결과를 연결한다.3-1. OR 게이트 : 입력 중 하나 이상 발생하면 출력 사건 발생계산 " 1-(1-0.15)(1-0.1) = 0.235 " 3-2. AND 게이트 : 모두 발생해야 출력 사건 발생계산 " 0.15 * 0.2 = 0.03 " T의 신뢰도(%)는?P(A) = 1-(1-0.1)(1-0.15) = 0.235P(B) = 0.15 * 0.2 = 0.03P(T) = 0.235 * 0.03 = 0.00705..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