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ertificate Data 403

연구실에 설치되어 있는 피난구조설비

개요 연구실 사고 피해를 최소하하기 위하여 피난구조설비를 알고 있어야 한다. 피난구조설비 종류 1. 피난기구 2. 인명구조기구 3. 유도등 4. 비상조명등 및 휴대용비상조명등 *피난기구 구조대, 완강기, 간이완강기, 피난사다리, 미끄럼대, 피난교, 피난용트랩, 공기안전매트, 다수인 피난장비, 승강식피난기 등

생물 연구활동별 보호구 종류

개요 개인보호구를 선택할 때에는 취급하는 미생물 및 위해물질의 감염경로 및 신체 노출부위를 고려한다. 생물 연구활동별 보호구 종류 연구활동 보호구 감염성 또는 잠재적 감염성이 있는 혈액, 세포, 조직 등 취급 보안경 또는 고글 일회용 장갑 수술용 마스크 또는 방진마스크 감염성 또는 잠재적 감염성이 있으며 물릴 우려가 있는 동물 취급 보안경 또는 고글 일회용 장갑 수술용 마스크 또는 방진마스크 잘림 방지 장갑 방진모(防塵帽: 먼지 방지 모자) 신발덮개 보건복지부장관이 「생명공학육성법」 제14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2조의2에 따라 작성 ․ 시행하는 실험지침(이하 “실험지침”이라 한다)에 따른 생물체의 위험군 분류 중 건강한 성인에게는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바이러스, 세균 등 감염성 물질 취..

고압증기멸균기 및 멸균 지표인자 종류

고압증기멸균기? 고압증기멸균기(autoclave)를 이용한 습열멸균법은 연구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멸균법으로, 일반적으로 121℃에서 15분간 처리하는 방식이다. 멸균 지표인자 종류 1. 화학적 지표인자: 멸균 수행여부는 확인할 수 있으나 실제 멸균시간 동안 사멸되었는지 증명하지 못하며, 그 종류는 아래와 같다. ① 화학적 색깔변화 지표인자 ② 테이프 지표인자 2. 생물학적 지표인자(biological indicator): 고압증기멸균기의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기능이 적절한지를 가늠하기 위해서 고안되었으며, 고압증기멸균기의 멸균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 대표적인 것은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아포(spore)가 있다.

생물안전작업대 구분 및 특성

개요 생물안전작업대(biosafety cabinet, BSC)는 병원성 미생물 및 감염성 물질을 다루는 연구실에서 취급물질, 연구활동종사자 및 연구 환경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1차적 밀폐장치로 물리적 밀폐능이 있는 대표적인 실험장비이다. 생물안전작업대 구분 및 특성 구 분 특 성 비 고 Class I 여과 배기, 작업대 전면부 개방 최소 유입풍속 유지, 연구활동종사자 보호 일반 미생물 실험 수행 단, 실험물질 오염의 가능성이 있음 Class II 여과 급 ․ 배기, 작업대 전면부 개방 최소 유입풍속 및 하방향풍속 유지 연구활동종사자 및 실험물질 보호 가능 구조, 기류 속도, 흐름 양상, 배기 시스템 등에 따라 Type A1, A2, B1, B2로 구분 Class III 최대 안전 밀폐환경 제..

생물학적 위해성 평가 5단계

개요 위해성 평가 결과는 발생 가능한 위해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위해 관리와 연계되어 적합한 연구시설 밀폐등급 결정 및 연구실 생물안전관리를 수립하는데 활용된다 생물학적 위해성 평가 5단계 1. 위험요소 확인(hazard identification) 2. 노출 평가(exposure assessment) 3. 용량반응 평가(dose-response assessment) 4. 위해 특성(risk characterization) 5. 위해성 판단(risk evaluation)

생물 연구실 책임자의 역할

개요 연구실 책임자는 생물안전관리규정을 숙지하고 생물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관련 지식 및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생물 연구(실) 책임자(principal investigator, PI)의 역할 1. 해당 유전자재조합실험 등 생물체 취급 실험의 위해성 평가 2. 해당 유전자재조합실험 등 생물체 취급 실험의 관리 ․ 감독 3. 시험 ․ 연구종사자(연구활동종사자)에 대한 생물안전 교육 ․ 훈련 4. 유전자변형생물체 등 생물체의 취급관리에 관한 사항의 준수 5. 기타 해당 실험의 생물안전 확보에 관한 사항

생물안전관리자의 역할

개요 기관생물안전관리책임자의 지정을 받아 기관 내 생물안전관리 실무 및 행정 사항을 담당하며 연 4시간 이상 생물안전관리에 관한 교육, 훈련을 받아야 한다. 생물안전관리자는 기관의 규모와 특성을 고려하여 기관 단위, 부서 단위 또는 연구실 단위로 1인을 지정할 수 있다. 생물안전관리자의 역할 1. 기관 또는 연구실 내 생물안전관리 실무 2. 기관 또는 연구실 내 생물안전 준수사항 이행 감독 실무 3. 기관 또는 연구실 내 생물안전 교육 ․ 훈련 이행 실무 4. 기관 또는 연구실 내 연구실 생물안전 사고 조사 및 보고 실무 5. 기관 또는 연구실 내 생물안전에 필요한 정보수집 및 제공 6. 기타 기관 또는 연구실 내 생물안전 확보에 관한 사항

저압전로의 절연성능

개요 전기사용 장소의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의 전선 상호간 및 전로와 대지 사이의 절연저항은 개폐기 또는 과전류차단기로 구분할 수 있는 전로마다 정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전로의 사용전압별 DC시험전압 및 절연저항 전로의 사용전압[V] DC사용전압[V] 절연저항[MΩ] SELV 및 PELV 250 0.5 FELV, 500V 이하 500 1.0 500V 초과 1,000 1.0 * 특별저압 ELV (extra low voltage : 2차 전압이 AC 50V, DC 120V 이하) -SELV(비접지회로 구성) 및 PELV(접지회로 구성)은 1차와 2차가 전기적으로 절연된 회로 -FELV는 1차와 2차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지 않은 회로 *KEC 제52조 (저압전로의 절연성능)

위험물의 분류, 제1류 ~ 제6류

개요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성질을 가지는 물질인 위험물의 구분, 혼재기준, 종류 등을 숙지하여 연구실 안전에 기여해야 한다. 위험물의 혼재기준 위험물의 구분 제1류 제2류 제3류 제4류 제5류 제6류 제1류 - X X X X O 제2류 X - X O O X 제3류 X X - O X X 제4류 X O O - O X 제5류 X O X O - X 제6류 O X X X X - "X"는 혼재할 수 없음. "O"는 혼재할 수 있음. 위험물의 구분 제1류 : 산화성 고체 제2류 : 가연성 고체 제3류 :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물질 제4류 : 인화성 액체 제5류 : 자기반응성 물질 제6류 : 산화성 액체 위험물의 종류 위험물의 구분 종 류 제1류 아염소산염류,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무기과산화물, 브롬산염류, 질..

연구실 안전관리의 정보화, 연구실안전정보시스템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및 연구실사고 예방을 위하여 연구실사고에 관한 통계, 연구실 안전 정책, 연구실 내 유해인자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연구실 안전관리의 정보화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하여야 한다. 2. 지정된 권역별연구안전지원센터가 운영하여야 한다.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연구실안전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대학ㆍ연구기관등의 연구실안전정보를 매년 1회 이상 공표할 수 있다.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연구실안전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연구주체의 장에게 필요한 자료의 제출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연구주체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이에 따라야 한다. 연구실안전정보시..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