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ertificate Data 403

소방 가스누설경보기

가스누설경보기 가스시설이 설치된 장소에서 액화석유가스(LPG), 액화천연가스(LNG), 일산화탄소 또는 기타 가스(이소부탄, 메탄, 수소)를 탐지하여 경보하는 것을 말한다. [다만, 탐지소자 외의 방법에 의하여 가스가 새는 것을 탐지하는 것, 점검용으로 만들어진 휴대용검지기 또는 연동기기에 의하여 경보를 발하는 것은 제외한다.] ★가스누설신호 수신 → 황색 표시등 설치 장소 1)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노유자 시설 2) 수련시설, 운동시설, 숙박시설, 창고시설 중 물류터미널, 장례시설 경보기의 구조에 따른 구분 1) 단독형 : 탐지부와 수신부가 일체로 되어 있는 형태의 경보기 2) 분리형 : 탐지부와 수신부가 분리되어 있는 형태의 경보기 용어의 정의 ▶ 탐지부 : ..

소방 축전지 설비 (비상용 전원설비)

축전지설비 축전지설비는 정전. 비상시 전기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비상용 전원설비로 사용한다. 축전지용량[Ah] 1) 방전전류가 일정한 경우 = 1 / 보수율 * 용량환상 시간계수 * 방전전류 = 1 / L *KI 2) 방전전류가 증가하는 경우 = 1 / 보수율 * [ 용량환산 시간계수1 * 방전전류1 + K2(I2 - I1) + K3(I3 - I2) ] 3) 방전전류가 감소하는 경우 (1) 1 / L *KI (2) 1 / 보수율 * [ 용량환산 시간계수1 * 방전전류1 + K2(I2 - I1) ] (3) 1 / 보수율 * [ 용량환산 시간계수1 * 방전전류1 + K2(I2 - I1) + K3(I3 - I2) ] 에서 제일 큰 용량을 산정 보수율 보수율은 여유 계수다. 축전지의..

전기안전관리자 직무고시, 안전관리규정에 필요한 기록표는?

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는 전기안전관리법 제22조 6항에 근거한다. 전기안전관리자에 관한 사항을 산업통상부자원부령으로 정하는 내용이다. 전기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30조 2항에서는 직무 범위를 정했다. 이어 세부적인 직무를 행정규칙 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에 관해 고시한다. 제1조 목적이다. 이 고시는 「전기안전관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2조제6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이라 한다) 제30조제3항의 규정에 따른 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 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안전관리규정은 다음을 점검하고 기록표를 작성한다. 전기설비 점검결과 저압 전기설비 점검 고압 전기설비 점검 변압기 점검 계전기 및 차단기 동작시험 발전설비 점검 적외선 열화상분포 측정 전원품질 측정 계측장비는? (..

전기화재의 원인 중 발화 경과별 화재

개요 발화 경과별 화재 유형에는 단락, 누전, 접촉 불량, 과부하, 혼촉 등이 있다. 유형 1. 단락: 합선 또는 쇼트라고 한다. 절연피복 손상이나 금속 매개체로 전선이 어이진 경우, 대전류가 흐르고, 고열이 발생할 때 화재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2. 누전: 누전차단기 미작동하여 저항이 큰 곳에서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3. 접촉 불량: 접촉저항이 증가하면 발열을 초래한다. 접촉부의 온도가 높아지며 가연물을 발화시킬 수 있다. 4. 과부하: 사용부하가 전선 허용전류를 초과. 전기설비의 과부하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자율안전확인 보호구 표시사항

표시사항 자율안전확인 제품에는 다음의 사항을 표시해야 한다. - 형식 또는 모델명 - 규격 또는 등급 등 - 제조자명 - 제조번호 및 제조연월 - 자율안전확인 번호 관련 법령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21조(자율안전확인의 표시) 법 제90조제1항에 따른 자율안전확인의 표시 및 표시방법은 별표 14와 같다. □ 보호구 자율안전확인 고시 제11조(자율안전확인 제품표시의 붙임) 자율안전확인 제품에는 규칙 제121조에 따른 표시 외에 다음 각 목의 사항을 표시한다.

안전보건관리규정 작성 시 포함사항

개요 산업안전보건법 25조 제1항, 사업주는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해야 한다. 안전보건관리규정 작성 시 포함 사항 1.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관리조직과 그 직무에 관한 사항 2.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3. 작업장의 안전 및 보건 관리에 관한 사항 4. 사고 조사 및 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 5. 그 밖에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

사업장의 강도율 구하기

개요 강도율은 근로시간 합계 1,000시간당 재해로 인한 근로손실일수를 말한다. 공식 (총근로손실일수 / 연근로시간수) x 1,000 근로손실일수산정요령 구분 사망 신 체 장 해 자 등 급 1~3 4 5 6 7 8 9 10 11 12 13 14 근로 손실 일수 7,500일 7,500 5,500 4,000 3,000 2,200 1,500 1,000 600 400 200 100 50 예시 근로자수가 1,000명인 사업장의 연근로시간수는 2,400시간이다. 이 사업장에서는 신체장애등급 5급 4명, 13급 10명이 발생했으며 의사 진단에 의한 휴업일수는 1,000일이다. 이 사업장의 강도율은 얼마인가? *일시 전노동 불능상해(휴업, 요양...)는 휴업일수 1,000일에 300/365를 곱한다. *연근로시간수는 ..

컨테이너 사무실 누전차단기

공사현장 컨테이너에 설치한 누전차단기 명판을 살펴보면, 1Φ2W는 단상 2선식 배전방식을 말한다. 50AF은 암페어 프레임 규격으로 차단기가 정격전류 이상 전류가 흐를 때 프레임이 견디는 크기를 뜻함. 2P2E는 극수 및 소자수를 말한다. 차단기에 접속하는 단자 수를 극, 차단기에서 실제로 차단이 가능한 단자의 수는 소자수. 정격전압 AC 460V는 주 제어전압을 뜻한다. 위 차단기는 교류 460V까지 사용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정격차단전류 5kA는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최대전류가 5000A라는 의미다. 정격감도전류 30mA는 누전차단기가 완전히 작동하는 값이다. 영상변류기 1차측 검출지락전류값이며, 차단기가 누전이라고 판단하는 값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정격부동작전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 공포(10.18.)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및 굴착기 안전기준 신설 등 -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10월 18일(화) 공포했다. 이번 개정은 서울 금천구 작업현장에서 발생한 소화설비의 이산화탄소 방출 질식사고(’21.10.23. 사망 4명, 부상 17명)등의 유사 사고의 재발 예방을 위한 안전기준 신설 및 사망사고 다발 건설기계인 굴착기의 안전기준 정비 등 그간의 제도 운용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하고 보완하기 위함이다. 10월 18일 공포된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요약 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질식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기준 신설 ② 화염방지기능이 있는 통기밸브만 화염방지기 설치의 예외로 인정 ③ 화재감시자 지급용 방연마스크의 기준 명확화 ④ 굴착기 관련 안전 규정..

연구실안전관리사 2차 시험 예시문항

연구실 안전관리 실무 1. 「연구실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에 관한 지침」에 따라 연구실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할 때 포함되어야 할 사항 중 빈칸에 들어갈 각 항목을 순서대로 적으시오.(6점) 1) ( ) 실시 내용 2) 유해인자별 ( )의 적정성 3) 유해인자별 ( )의 적정성 4) 연구실 ( )의 적정성 1) 정기점검 2) 노출도평가 3) 취급 및 관리 4) 사전유해인자 위험분석 2. 병원체 등 감염성 물질을 다루는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생물안전작업대(Class Ⅰ~Ⅲ) 종류별 특성에 대해 서술 하시오.(12점) 3. 세계조화시스템(GHS)에 따른 그림문자 중 1~3번 그림 문자가 나타내는 위험성을 각각 한 가지씩 쓰고, 미국 방협회(NFPA) 704에 따라 4번의 가, 나, 다는 각 어떠한 위험성(Haz..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