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간공학기사실기 13

[인간공학기사 실기] RWL과 LI지수 + 인체 움직임 용어

인간공학기사 실기를 준비하며 RLW 계산과 인체 움직임 용어 2가지 문제에서 요구하는 부분을 점검해 봤다. 첫 번째 RWL 계산문제는 시점에서의 계산을 요구하는 문제로, 시점이라는 문제 요구를 넘어갔었다...수평계수(HM)와 수직계수(VM)의 대입값은 시작점인 (선반 1의 수평, 수직 cm)를 대입하고, 물체의 이동거리는 시작점의 높이(선반 1)에서 도착점의 높이(선반 2)까지의 거리를 대입한다. 두 번째 인체 움직임 용어는 각 용어의 동작부문을 눈으로 확인해 보고, 짝지어 암기하는 게 업무에도 도움이 되어 보인다.(인체 해부학적 위치와 움직임으로 검색해 보면 자료 많다... 영상, 논문, 자료, 페이퍼, 강의, 사진 등등~) 1) RWL과 LI지수 개정된 NIOSH 리프팅 방정식은 양손 리프팅 작업으..

[인간공학기사 실기] 의자 조절식 설계 (앉은오금높이)

좌면이 너무 높으면 오금 부위에 압박이 가해지기 때문에 인간공학적 설계가 필요하다.좌면의 높이는 바른 자세로 앉았을 때, 발이 바닥에 자연스럽게 닿도록 앉은오금높이를 기준으로 설계한다. (이때, 신발의 높이와 여유량을 고려한다.) 좌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라면, 조절식 좌면높이는, 5%ile ~ 95%ile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5%ile = 평균 - (표준편차 X %ile계수) + 신발의 높이 + 여유량95%ile = = 평균 - (표준편차 X %ile계수) + 신발의 높이 + 여유량 문제. 의자의 좌면높이를 결정하는데 앉은오금높이를 기준으로 설계하려고 한다.아래 조건을 응용하여 남녀의 조절식 설계 범위를 구하시오. 조건남자 평균 앉은오금높이 및 표준편차 : 392mm, 20..

[인간공학기사] 정보전달량 구하는 방법 및 의미파악(전달=입력+출력-결합)

전달정보량을 구하고, 그 의미를 알 수 있다.1. 정보전달량은 어떻게 구할까? 1-1. 입력(자극)정보량 H(x) 구하기 1-2. 출력(반응)정보량 H(y) 구하기 1-3. 결합정보량 H(x,y) 구하기 1-4. 정보전달량 T(x,y) 구하기 다음은 신호처리기가 입력 x(빨강, 파랑)을 받아 출력 y(통과, 정지)로 판단한 10회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구 분통과정지합계빨강325파랑505합계8210 이 표를 보고,전달정보량은 0.23bit 임을 알 수 있는데, 출력 y를 보면 입력 x에 대한 불확실성이 0.23비트만큼 감소함을 의미한다.실험에서 주어진 입력정보량이 1bit 였으니, 입력에 담긴 정보의 23%만 유효하게 전달된 셈이다. 출력정보량은 0.72bit 이다.출력의 최대는 1bit(50:50)..

[인간공학기사 실기]유해요인조사 언제 해야 하나?

"유해요인조사는 3년에 한 번!"이 한 문장만 외우고 시험장에 간다면, 실제로는 절반만 맞춘 셈입니다.인간공학기사 실기에서는 ‘정기조사’뿐 아니라 ‘수시조사’까지 묻는 문제가 매년 반복됩니다.신설 사업장 최초 1년, 수시조사 1개월 내 검토·실시 정리하면, "산업안전보건법상 유해요인조사"를 하여야 하는 경우는1) 사업주는 근로자 대표 또는 해당 작업근로자를 참여시켜, 매 3년 이내에 정기적으로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한다.2) 신설 사업장은 신설일부터 최초 1년 이내에 실시한다.3) 사업주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경우에는 1개월 이내에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한다.가.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임시건강진단 등에서 근골격계질환자가 발생하였거나 근로자가 근골격계질환으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받은..

[인간공학기사 실기] 유해요인조사 (작업장 상황, 작업조건, 근골격계 질환증상 조사)

인간공학 기사 실기를 준비하면서
‘작업장 상황 조사, 작업조건 조사, 증상 조사’
이렇게 세 가지 항목을 외우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그런데, 실제 조사에서 딱 하나만 물어본다면? 
그리고 그 하나가, “작업 조건이냐? 작업 상황이냐?” 처럼 
헷갈리게 나오면요? 법적 기준이기도 하지만,실제 현장에서 조사를 시작할 때 어떤 관점으로 나눠 조사하는지구조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1) 작업장 상황조사작업장 상황조사 포함항목은 '환경중심'작업설비작업량작업속도업무변화 2) 작업조건 조사작업조건 조사 포함항목 '신체부담중심'반복성부자연스런 자세무리한 힘접촉스트레스 진동 등 3)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 포함항목 '작업자 상태 중심'증상과 징후 현작업(전작업) 작업력 근무형태규칙적인 여가 및..

[인간공학기사 실기] JSI 점수 계산 및 결과 평가

JSI (Job Strain Index) 란?상지의 말단(손, 손목, 팔꿈치) 작업 시 근골격계질환 위험을 평가하는 작업성 질환 위험도 평가 도구특히 손·손목에 무리가 가는 작업에 사용됨 다만, 이 방법은 상지 말단의 근골격계 부담에 대한 작업부하 평가를 정량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반면, 전체적인 자세를 평가할 수는 없다. JSI 점수 계산은?힘의 강도계수 × 힘의 지속 정도계수× 분당 힘의 빈도계수× 손/손목의 자세계수 × 작업 속도계수 × 작업 시간계수 점수 계산 및 결과 평가구분힘의 강도힘의 지속 정도분당 힘의 빈도손/손목 자세작업 속도작업 시간계수311.5221 점수 계산JSI score = 3 x 1 x 1.5 x 2 x 2 x 1 = 18 JSI 결과 평가 = 위 작업은 매우 위험..

[인간공학기사 실기] 비행기 엔진시스템의 신뢰도 구하기

시스템 신뢰도(System Reliability) 구하기 ▶ 비행기의 양쪽 엔진이 모두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이 실패하여 추락하는 경우, 병렬 시스템 구조로 해석한다. 오른쪽 엔진의 신뢰도 R1 = 0.7왼쪽 엔진의 신뢰도 R2 = 0.8양쪽의 엔진이 고장나야 에러 발생하여 비행기가 추락 = 병렬 구조(fail-safe 구조) 병렬 시스템의 신뢰도 계산 공식R = 1 - [ ( 1 - R1 ) X ( 1 - R2 ) ] 해설R = 1 - [ ( 1 - 0.7 ) X ( 1 - 0.8 ) ] = 1 - (0.3 x 0.2) = 1 - 0.06 = 0.94 답 : 신뢰도 94%

[인간공학기사 실기] 인체 움직임 유형을 설명하는 용어들

1. 외전 - abduction - 인체 중심선, 즉 몸통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관절을 운동시키는 동작 ↔ 내전 - adduction 2. 굴곡 - flexion - 관절을 굽히는 동작, 즉 관절에서의 각도가 감소하는 인체부분의 움직임 ↔ 신전 - extension. 3. 내선(내부 회전) - medial rotation(=internal rotation, intorsion) - 인체의 중심선을 향하여 안쪽으로 회전하는 움직임 ↔ 외선(외부회전) - lateral rotation(=external rotation, extorsion)

[인간공학기사 실기] Barnes의 작업장(작업역) 배치의 원칙

Barnes의 동작경제 원칙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자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인간공학적 관점에서 작업 동작과 작업환경을 체계적으로 최적화한 기준이다. → 이 원칙은 크게 인체 사용 원칙, 작업장 배치 원칙, 공구 및 설비 설계 원칙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되며, 반복작업과 표준 동작 설계에 활용된다. 바인즈의 동작경제 원칙 중 작업장(작업역) 배치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Arrangement of the Work Place① There should be a definite and fixed place for all tools and materials.→ 모든 공구와 자재는 정해진 고정 위치에 항상 동일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② Tools, materials, and controls should b..

[인간공학기사 실기] 양립성 정리 - 정의, 종류, 예시

인간공학 기사 실기를 준비하다 보면, 이런 문제가 꼭 나온다.“양립성의 정의와 각 종류에 대해 설명하시오.”딱 보면 암기 문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많은 수험자들이 개념 간 차이를 헷갈려 틀린다.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문제의 정답만이 아니라, 왜 중요한지를 함께 설명한다. 양립성이란, 자극–반응 간 관계가 인간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는 정도를 말한다.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자극들 간의, 반응들 간의, 혹은 자극-반응 조합의 공간적·운동적·개념적 관계가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 것”이다.즉, 기계를 조작할 때 우리가 ‘이렇게 되겠지’ 하고 기대한 대로 실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이 바로 양립성이다. 양립성이 낮으면 사용자는 혼란을 느끼고, 결국 실수하거나 더 느리게 반응하게 된다.작업 효율이 떨어질 뿐 아니..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