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간공학 기사 실기를 준비하면서
‘작업장 상황 조사, 작업조건 조사, 증상 조사’
이렇게 세 가지 항목을 외우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그런데, 실제 조사에서 딱 하나만 물어본다면?
그리고 그 하나가,
“작업 조건이냐? 작업 상황이냐?” 처럼 헷갈리게 나오면요?
법적 기준이기도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조사를 시작할 때 어떤 관점으로 나눠 조사하는지
구조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1) 작업장 상황조사
작업장 상황조사 포함항목은 '환경중심'
작업설비
작업량
작업속도
업무변화
2) 작업조건 조사
작업조건 조사 포함항목 '신체부담중심'
반복성
부자연스런 자세
무리한 힘
접촉스트레스 진동 등
3)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 포함항목 '작업자 상태 중심'
증상과 징후
현작업(전작업) 작업력
근무형태
규칙적인 여가 및 취미생활
가사노동시간
과거질병력 등
* 자료출처
1. 안전보건공단, 유해요인조사서식(방법)
2. 안전보건공단,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방법, 2010
320x100
반응형
'Certificate Data > 인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공학기사 실기] JSI 점수 계산 및 결과 평가 (0) | 2025.09.23 |
---|---|
[인간공학기사 실기] 비행기 엔진시스템의 신뢰도 구하기 (0) | 2025.09.22 |
[인간공학기사 실기] 인체 움직임 유형을 설명하는 용어들 (0) | 2025.09.21 |
[인간공학기사 실기] Barnes의 작업장(작업역) 배치의 원칙 (0) | 2025.09.20 |
[인간공학기사 실기] 양립성 정리 - 정의, 종류, 예시 (0) | 2025.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