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tificate Data/인간공학

[인간공학기사 실기] 의자 조절식 설계 (앉은오금높이)

까비노 2025. 10. 8. 10:30
반응형

 

좌면이 너무 높으면 오금 부위에 압박이 가해지기 때문에 인간공학적 설계가 필요하다.

좌면의 높이는 바른 자세로 앉았을 때, 발이 바닥에 자연스럽게 닿도록 앉은오금높이를 기준으로 설계한다. 

(이때, 신발의 높이와 여유량을 고려한다.)

 

좌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라면, 조절식 좌면높이는, 5%ile ~ 95%ile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5%ile = 평균 - (표준편차 X %ile계수) + 신발의 높이 + 여유량

95%ile = = 평균 - (표준편차 X %ile계수) + 신발의 높이 + 여유량

 

앉은오금높이

문제. 의자의 좌면높이를 결정하는데 앉은오금높이를 기준으로 설계하려고 한다.

아래 조건을 응용하여 남녀의 조절식 설계 범위를  구하시오.

 

조건

남자 평균 앉은오금높이 및 표준편차 : 392mm, 20.6

여자 평균 앉은오금높이 및 표준편차 : 363mm, 19.5

Z0.95 = 1.65

신발의 높이 및 여유량 : 25mm, 10mm

 

남자의 조절식 설계 범위 : 393.01mm ~ 460.99mm

여자의 조절식 설계 범위 : 365.83mm ~ 430.18mm

 

해설

 

Z0.95는 표준정규분포에서 누적확률이 0.95가 되는 z값을 말한다.(Z0.95 = 1.645)

즉, 정규분포(평균0, 표준편차 1)에서 오른쪽으로 5%만 남기고 왼쪽 95%가 누적되는 위치가 z = 1.645이다.

5퍼센타일은 빼기, 95퍼센타일은 더하기

 

신발의 높이 25mm + 여유량 10mm = 35mm

 

1) 남자의 조절식 설계 범위

5%ile = 392 - (1.65 × 20.6) + 35 = 393.01mm

95%ile = 392 + (1.65 × 20.6) +35 = 460.99mm

 

2) 여자의 조절식 설계 범위

5%ile = 363 - (1.65 × 19.5) + 35 = 365.83mm

95%ile = 363 + (1.65 × 19.5) + 35 = 430.18mm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