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 기사 실기를 준비하다 보면, 이런 문제가 꼭 나온다.
“양립성의 정의와 각 종류에 대해 설명하시오.”
딱 보면 암기 문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많은 수험자들이 개념 간 차이를 헷갈려 틀린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문제의 정답만이 아니라, 왜 중요한지를 함께 설명한다.
양립성이란, 자극–반응 간 관계가 인간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는 정도를 말한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자극들 간의, 반응들 간의, 혹은 자극-반응 조합의 공간적·운동적·개념적 관계가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 것”이다.
즉, 기계를 조작할 때 우리가 ‘이렇게 되겠지’ 하고 기대한 대로 실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이 바로 양립성이다.
양립성이 낮으면 사용자는 혼란을 느끼고, 결국 실수하거나 더 느리게 반응하게 된다.
작업 효율이 떨어질 뿐 아니라, 산업안전 측면에서도 큰 리스크가 된다.
그래서 인간공학에서는 설계 초기에 반드시 사용자의 기대 방향과 양립성을 고려한 설계를 요구한다.
양립성의 종류
① 개념적 양립성 (Conceptual Compatibility)
심벌이나 기능의 의미가 인간의 개념과 일치하는가에 대한 여부다.
예: 휴지통 아이콘을 클릭하면 파일이 삭제되는 것처럼, 직관적인 상징일수록 개념 양립성이 높다.
② 운동적 양립성 (Movement Compatibility)
조작 장치를 움직였을 때 표시기나 결과물의 움직임 방향이 기대와 같은가를 따진다.
예: 볼륨 다이얼을 오른쪽으로 돌리면 소리가 커지는 경우는 운동 양립성이 높다.
반대로 조종간을 왼쪽으로 당겼는데 화면이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헷갈린다.
③ 공간적 양립성 (Spatial Compatibility)
조작기와 반응 요소가 공간적으로 일치하는가를 의미한다.
예: 왼쪽 스위치를 누르면 왼쪽 불이 켜지는 것.
버튼과 표시등이 엇갈려 있다면 공간 양립성이 낮아진다.
⓸ 양식 양립성 (Modality Compatibility)
소리로 제시된 정보는 말로 반응케 하는 것이, 시각적으로 제시된 정보는 손으로 반응하는 것이 양립성이 높다.
* 참고자료
1. 안전보건공단
2. 네이버 지식백과, 산업안전대사전, 양립성
'Certificate Data > 인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공학기사 실기] 영상표시장치(VDT) 취급근로자 작업관리지침 (0) | 2025.09.19 |
---|---|
[인간공학기사 실기] 기초대사량(BMR)이란? (0) | 2025.09.18 |
[인간공학기사 실기] GOMS모델 및 구성요소 (0) | 2025.09.18 |
작업영역(Work Area), 사용자의 운동범위에 따른 구분 (0) | 2025.09.15 |
반응 시간 Reaction Time, 인간 친화적 설계를 위한 지표 (2) | 2025.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