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공학기사 실기를 준비하며 RLW 계산과 인체 움직임 용어 2가지 문제에서 요구하는 부분을 점검해 봤다.
첫 번째 RWL 계산문제는 시점에서의 계산을 요구하는 문제로, 시점이라는 문제 요구를 넘어갔었다...
수평계수(HM)와 수직계수(VM)의 대입값은 시작점인 (선반 1의 수평, 수직 cm)를 대입하고, 물체의 이동거리는 시작점의 높이(선반 1)에서 도착점의 높이(선반 2)까지의 거리를 대입한다.
두 번째 인체 움직임 용어는 각 용어의 동작부문을 눈으로 확인해 보고, 짝지어 암기하는 게 업무에도 도움이 되어 보인다.
(인체 해부학적 위치와 움직임으로 검색해 보면 자료 많다... 영상, 논문, 자료, 페이퍼, 강의, 사진 등등~)
1) RWL과 LI지수

개정된 NIOSH 리프팅 방정식은 양손 리프팅 작업으로 인한 허리 부상의 위험을 계산하는데,

0) 기준하중 LC
23kg
1) 수평계수 HM
HM = 25/H에서
하완의 길이 25cm 이하면 모두 1이다.
63cm를 초과하면 모두 0이다.
2) 수직계수 VM
VM = 1 - 0.003 [V-75]
75cm는 키가 165cm인 사람이 들기 작업에서 가장 적합한 높이의 팔을 편안하게 늘어뜨렸을 때의 손의 높이
75cm일 때 최대 1이다.
그보다 높거나 낮으면 수직계수는 작아짐
최대파악 한계는 175cm 이상이면 0이다.
3) 거리계수 DM
DM = 0.82 + 4.5/D
물체를 수직으로 이동시킨 거리로, 선반 1의 높이 30cm와 선반 2의 높이가 140cm라면 두 높이의 차가 이동시킨 거리다.
25cm 이하는 1
175cm 이상은 0
4) 비대칭계수 AM
AM = 1 - 0.0032A
A는 신체중심에서 물건중심까지 비틀린 각도
비틀림이 135도를 넘으면 0
비틀림이 없다면 1
5) 빈도계수 FM
FM은 1 반복한 횟수로,
빈도수(회/분)와 작업시간 테이블을 사용하며, 테이블 없이 문제가 나오면 주어진 값이 있다.
6) 결합계수 CM
잡기 들기 편한 손잡이의 유무를 반영한다
Good, Fair, Bad로 커플링상태를 나타낸다.

2) 인체 움직임 용어
굴곡
관절 각도 감소, 한쪽 다리를 앞으로 내디딜 때 발생
신전
관절 각도 증가, 발을 땅에 디디고 몸을 앞으로 밀어낼 때 발생
외전
신체의 중앙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팔다리를 움직임
내전
신체의 중앙선 쪽으로 가까이 움직이는 동작
회내
발이 내측으로 약간 기울어지며 발바닥이 아래를 향하도록 회전하는 동작
발이 땅에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하고 발의 아치가 지면에 적응하는데 도움
회외
발이 외측으로 회전하여 발바닥이 위를 향하게 하는 동작
발이 땅을 밀어낼 때, 발이 강하게 지면을 밀어낼 수 있도록 도와줌
'Certificate Data > 인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간공학기사 실기] 조종-반응비율 C/R비 (민감도) (0) | 2025.10.28 | 
|---|---|
| [인간공학기사 실기] 정미시간 계산 (객관적 평가법) (0) | 2025.10.27 | 
| [인간공학] 사무실 작업공간의 조도 관리 (조도계산, 기준) (1) | 2025.10.25 | 
| [인간공학] 점멸융합주파수 (정신적 피로 평가) (0) | 2025.10.24 | 
| [인간공학기사 실기] 감성공학 요인분석 (0) | 2025.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