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tificate Data/인간공학

[인간공학기사 실기] Barnes의 작업장(작업역) 배치의 원칙

까비노 2025. 9. 20. 12:00
반응형

 

Barnes의 동작경제 원칙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자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인간공학적 관점에서 작업 동작과 작업환경을 체계적으로 최적화한 기준이다.

 

→ 이 원칙은 크게 인체 사용 원칙, 작업장 배치 원칙, 공구 및 설비 설계 원칙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되며, 반복작업과 표준 동작 설계에 활용된다.

 

바인즈의 동작경제 원칙 중 작업장(작업역) 배치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 Arrangement of the Work Place

① There should be a definite and fixed place for all tools and materials.

→ 모든 공구와 자재는 정해진 고정 위치에 항상 동일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② Tools, materials, and controls should be located close in and directly in front of the operator.

공구, 자재, 제어장치는 작업자의 손이 쉽게 닿을 있도록 가까운 정면에 배치해야 한다.

 

③ Drop delivers should be used whenever possible.
→ 가능한 경우, 부품이나 자재는 낙하 방식(drop delivery)을 이용해 작업 위치로 자동 공급되도록 해야 한다. 


④ Materials and tools should be located to permit the best sequence of motions.
→ 도구와 자재는 작업 흐름에 맞게 동작 순서가 자연스럽도록 배열해야 한다. 


 

⑤ Arrange the height of the workplace and chair for alternate sitting and standing, when possible.
→ 작업대와 의자의 높이는 가능하면 앉은 자세와 선 자세를 번갈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해야 한다. 


 

⑥ Provide a chair of the type and height to permit good posture.
→ 작업자의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와 높이의 의자를 제공해야 한다.(바른 자세 유지를 위한 환경 조건)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