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68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자에 관한 사항

개요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안전관리자를 정의하고 업무, 선임, 증원·교체 등에 관한 사항을 명시한다. 안전관리자 업무 안전관리자는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하여 사업주 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에게 지도ㆍ조언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선임 1. 상시근로자 300명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장 2. 건설업의 경우에는 공사금액이 120억원 이상 3. 토목공사업의 경우에는 150억원 이상 4. 선임하거나 위탁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고용노동부장관에게 그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 증원, 교체 1. 해당 사업장의 연간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평균재해율의 2배 이상인 경우 2. 중대재해가 연간 2건 이상 발생한 경우. 다만, 해당 사업장의 전년도 사망만인율이 같은 업종의 평균 사망만인율 이하인 ..

산업안전 재해조사분석

개요 산업재해조사는 재해발생의 진실 및 원인을 규명하여 동종·유사재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재해조사 시 유의사항 1) 책임추궁보다 재발방지를 우선하는 기본적 태도를 갖는다. 2) 목격자 등이 증언하는 사실 이외의 추측 등은 참고만 한다. 3) 조사자는 피해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동정적인 태도를 갖는다. 4) 인적, 물적 요인에 대한 조사를 병행한다. 5) 피해자에 대한 구급조치를 우선한다. 6) 조사는 신속하게 실시하며 2차 재해 방지를 위한 안전조치를 한다. 7) 2인 이상이 조사하며 객관성을 유지한다. 재해조사 순서 단계 내용 1 사실의 확인 2 직접원인(물적, 인적)과 문제점 발견 3 기본원인 4M 4 예방대책의 수립 재해조사 방법 1. 재해조사는 재해발생 직후에 실시(현장보존) 2. 현장의 물리..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 사항

개요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에게 해당 사업장의 업무를 총괄하여 관리하도록 하여야 한다. 업무 사항 1. 사업장의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2.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에 관한 사항 3.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4. 작업환경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 5.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6. 산업재해의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 7.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에 관한 사항 8.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입 시 적격품 여부 확인에 관한 사항 9. 그 밖에 근로자의 유해ㆍ위험 방지조치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관련 법령 제15조(안전보건관리책임자) ① 사업주는 사업장을 실질적으로 총괄하여 관리하는 사람에게 ..

재해조사의 4단계

개요 재해 조사를 통한 정확한 원인 분석은 동종 재해, 유사 재해 재발을 방지한다. 재해조사 4단계 단계 1 사실의 확인 사람에 관한 사항 작업에 관한 사항 설비에 관한 사항 작업 중 관리에 관한 사항 사고 또는 재해발생 시 조치 불안전 행동 유무에 관한 관계자 사실 청취 작업 중 지도ㆍ지휘의 조사 작업 환경ㆍ조건의 조사 2 직접 원인과 문제점의 확인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유를 명확하게 한다 3 기본 원인과 근본적 문제의 결정 직접.간접 원인 4M man machine media management 4 대책의 수립

생각하는 기계 vs 생각하지 않는 인간, 홍성원

1. 2005년에 개봉한 「아일랜드」는 '복제인간'을 관리하여 DNA 제공자에게 장기 이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을 다룬 영화다. 당시에는 멀지 않은 미래라 여겼는데, 그 배경 시기(2019년)가 이미 2년이 지났다. 기술 발전은 상상보다 느렸다. 기술의 발달에 대응하는 생명윤리에 관한 내용을 논의하기에 시간이 충분해 보인다. 인공지능 기술도 상상보다 느리게 발전하고 있다.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등장하는 인공지능 컴퓨터 HAL 9000이 소개된 지 이십 년이 넘었지만, 인간의 상상력을 기술력이 초월하지 못했다. 터미네이터나 매트릭스에서 표현된 절망적인 세계가 눈앞에 펼쳐지지도 않았다. 앞으로 수십 년은 'smart'하고 'sweet'한 인공지능 기술만이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해 줄 것 같다. '스마트 팩토리..

Reading&Organizing 2021.08.05

안전보건표지 종류ㆍ형태ㆍ색채 및 용도 등에 관한 사항

개요 사업주는 안전보건 표지를 각 사업장의 근로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게시하거나 갖추어 두어 근로자에게 널리 알려야 한다. 안전보건표지의 색채 등 1. 안전보건표지의 주위에 표시사항을 흰색 바탕에 검은색 한글 고딕체로 표기 2. 사업주는 사업장에 설치하거나 부착한 안전보건 표지의 색도 기준이 유지되도록 관리 3. 규정하지 않은 사항으로서 다른 법에서 규정한 사항이 있으면 그 부분에 대해서는 그 법을 적용 4.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장소ㆍ시설 또는 물체에 설치하거나 부착 5. 견고하게 설치하거나 부착 6. 설치하거나 부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해당 물체에 직접 도색 7. 빠르고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크기로 제작 8. 그림 또는 부호의 크기는 안전보건 표지의 크기와 비례해야 하며, 안전보건표지 전..

안전교육 3단계(지식교육, 기능교육, 태도교육)

개요 교육지도는 지식 변화 → 기능 변화 → 태도 변화 → 개인행동 변화 → 집단행동 변화를 목표로 한다. 지식교육 4단계 지식교육 기초지식 주입 광범위한 지식의 습득 및 전달 1단계: 도입 준비 마음의 안정 작업내용 설명 작업지식 확인 동기부여 정확한 위치 2단계: 제시 설명 단계적(논리적,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시범 급소 강조 확실히 빠짐없이 끈기있게 지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에 따라 교육(그 이상 강요x) 3단계: 적용 응용 작업을 시키고 잘못 교정 작업을 시키면서 설명 다시 시키고 설명 '알았음'을 확인 이해할 수 있는 능력에 따라 교육(그 이상 강요x) 4단계: 확인 평가 일에 임하도록 함 질문 분위기 조성 점차 지도 횟수를 줄임 기능교육 4단계 & 3원칙 기능교육 경험과 적응 전문적 기술기능 ..

고용노동부장관의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의 공표

개요 고용노동부 장관은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을 공표하여야 한다.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의 공표 1. 고용노동부 장관은 도급인의 사업장에서 관계 수급인 근로자가 작업을 하는 경우에 도급인의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에 관계 수급인의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을 포함하여 공표하여야 한다. 2. 고용노동부장관은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을 공표하기 위하여 도급인에게 관계 수급인에 관한 자료의 제출을 요청할 수 있다. 3.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의 공표의 절차 및 방법에 관한 사항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한다. 4. 고용노동부장관은 사망재해자가 연간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을 공표하여야 한다. 5. 고용노동부장관은 중대산업사고가 발생한 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을 공표하여..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협조 요청

개요 고용노동부 장관은 산업재해 예방에 관한 기본계획을 시행하기 위하여 공공기관의 장에게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협조 요청 1. 고용노동부장관은 산업재해 예방에 관한 기본계획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관계 행정기관의 장에게 필요한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2. 고용노동부를 제외한 행정기관의 장은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하여 규제를 하려면 미리 고용노동부 장관과 협의하여야 한다. 3. 행정기관의 장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규제에 대한 변경을 요구하면 이에 따라야 하며, 고용노동부장관은 필요한 경우 국무총리에게 협의ㆍ조정 사항을 보고하여 확정할 수 있다. 4. 고용노동부장관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사업주, 사업주단체, 그 밖의 관계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