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843

연구실 안전관리의 정보화, 연구실안전정보시스템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및 연구실사고 예방을 위하여 연구실사고에 관한 통계, 연구실 안전 정책, 연구실 내 유해인자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연구실 안전관리의 정보화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하여야 한다. 2. 지정된 권역별연구안전지원센터가 운영하여야 한다.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연구실안전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대학ㆍ연구기관등의 연구실안전정보를 매년 1회 이상 공표할 수 있다.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연구실안전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연구주체의 장에게 필요한 자료의 제출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연구주체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이에 따라야 한다. 연구실안전정보시..

연구실안전심의위원회 심의사항, 구성, 운영

심의사항 1. 기본계획 수립ㆍ시행에 관한 사항 2.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주요정책의 총괄ㆍ조정에 관한 사항 3. 연구실사고 예방 및 대응에 관한 사항 4. 연구실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지침에 관한 사항 5. 그 밖에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하여 위원장이 회의에 부치는 사항 구성 1. 위원장 1명을 포함한 1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 2. 위원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차관 위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위촉하는 사람 1. 연구실 안전 또는 그 밖의 안전 분야를 전공한 사람으로서 대학ㆍ연구기관등 또는 공공기관에서 부교수 또는 책임연구원 이상으로 재직하고 있거나 재직했던 사람 2.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및 고용노동부의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공무원 중 소속 기관의 장이 지명하는 사람 3...

누출 감지 및 경보 장치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를 독성가스 및 가연성가스의 저장, 사용 설비에는 가스가 누출될 경우를 신속 감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한다. 경보농도 가연성가스 폭발 하한계의 1/4이하 독성가스는 TLV-TWA(8시간 시간가중노출기준) 기준농도 이하 가연성 가스의 가스누출경보장치 방폭성능을 갖는 것(암모니아 제외) 경보 램프의 점등 또는 점멸과 동시에 경보를 울리는 것 가스 누출 시 연구활동종사자가 상주하는 장소에 가스누출감지경보기를 설치 설치장소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의 경우 바닥면에서 30 cm 이내 설치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의 경우 천장면에서 30 cm 이내 설치 설치개수 건물 안에 설치되어 있는 사용설비에는 누출한 가스가 체류하기 쉬운 장소에 이들 설비군의 둘레 10 m 마다 1개 ..

가스시설 방폭구조 구분, 표시방법

방폭 구조 내압 방폭구조 : 용기 내부에서 가연성가스의 폭발이 발생할 경우 그 용기가 폭발압력에 견디고, 접합면, 개구부 등을 통해 외부의 가연성가스에 인화되지 않도록 한 구조 유입 방폭구조 : 용기 내부에 절연유를 주입하여 불꽃 ․ 아아크 또는 고온발생부분이 기름 속에 잠기게 함으로써 기름면 위에 존재하는 가연성가스에 인화되지 않도록 한 구조 압력 방폭구조 : 용기내부에 보호가스(신선한 공기 또는 불활성가스)를 압입하여 내부압력을 유지 함으로써 가연성가스가 용기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구조 안전증방폭구조 : 정상운전 중에 가연성가스의 점화원이 될 전기불꽃 ․ 아아크 또는 고온 부분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기계적 ․ 전기적 구조상 또는 온도상승에 대해 특히 안전도를 증가시킨 구조 본질안전방폭구조 :..

가스 폭발 형태 중 BLEVE & UVCE 방지 대책

BLEVE? 1. 비등액체팽창증기폭발 2. Boiling Liquid Expanding Vapor Explosion 3. 저장탱크 내의 가연성 액체가 끓으면서 기화한 증기가 팽창한 압력에 의해 폭발하는 현상 BLEVE 방지 대책 □ 탱크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한다. (1) 가장 좋은 방법은 가연성 액화가스가 들어있는 저장탱크는 보유 공지를 기준보다 넓게 유지하는 것이다. 그래서 저장탱크 주변에 아무것도 없도록 하거나, 인접 탱크로부터의 화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2) 벽면이 가열되지 않도록 탱크 외벽을 식혀주는 방법이다. 다만, 물분무 장치의 수원이 고갈되면 소방차량의 급수를 통해 방사할 수 있지만, 효용성을 장담할 수 없으므로 보유 공지를 넓게 유지하는 것이 더 효과가 좋다..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에 포함 사항

개요 정부는 연구실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연구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5년마다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기본 계획 포함 사항 1.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을 위한 발전목표 및 정책의 기본방향 2. 연구실 안전관리 기술 고도화 및 연구실사고 예방을 위한 연구개발 3. 연구실 유형별 안전관리 표준화 모델 개발 4. 연구실 안전교육 교재의 개발ㆍ보급 및 안전교육 실시 5. 연구실 안전관리의 정보화 추진 6.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 운영 7. 연구실의 안전환경 조성 및 개선을 위한 사업 추진 8. 연구안전 지원체계 구축ㆍ개선 9. 연구활동종사자의 안전 및 건강 증진 10. 그 밖에 연구실사고 예방 및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중요사항 기타 1. 기본계획은 연구실안전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

연구실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을 실시해야 하는 화학물질 종류

□ 연구실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을 실시해야 하는 화학물질 종류 1. 「화학물질관리법」 제2조 제7호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또는 금지물질, 사고대비물질, 그 밖에 유해성 또는 위해성이 있거나 그러할 우려가 있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2. 「산업안전보건법」 제104조에 따른 유해인자 근로자에게 건강장해를 일으키는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 등 3.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2조제1항제2호에 따른 독성가스 공기 중에 일정량 이상 존재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독성을 가진 가스로서 허용농도(해당 가스를 성숙한 흰쥐 집단에게 대기 중에서 1시간 동안 계속하여 노출시킨 경우 14일 이내에 그 흰쥐의 2분의 1 이상이 죽게 되는 가스의 농도를 말한다. 이하 같다)가 100만분의 5000 ..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