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afety News 863

반복되는 중대재해, 4월 떨어지고 부딪혔다.

1. 25년 4월 18일 서울 관악구 '떨어짐( 8m )' 사고 서울 관악구 소재 건물 기계식 주차장에서 18일 14:56경, CCTV 설치 작업 중이던 재해자가 리프트가 작동되며 바닥 틈새로 떨어져 사망했다. 예방대책 : 작업 시 전원을 차단하고 2인 1조로 LCP 등 조작을 못하도록 조치 후 작업한다. 2. 25년 4월 21일 대구 중구 '떨어짐( 14m )' 사고 대구 중구의 건물 신축공사 현장 10:58경 에서 작업 중이던 재해자가 엘리베이터 피트 낙하물 방지망 설치 작업 중 떨어져 사망했다. 예방대책 :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 시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및 착용 후 작업하도록 한다. 3. 25년 4월 21일 강원 횡성군 '부딪힘' 사고 강원 횡성군 골프장 경사로에..

3일간 5건의 사망사고 발생... 지게차, 살수차에 깔리고 부딪혀

1. 25년 4월 10일 경기 고양시 '깔림' 사고 08:43경 폐기물 처리 사업장에서 지게차 충격으로 상부 적재물이 재해자를 덮쳐 깔려 사망 2. 25년 4월 10일 서울 중랑구 '부딪힘' 사고 09:20경 자전거 도로에서 재해자가 주변 통제 유도 작업 중 후진하는 살수차에 부딪혀 사망 3. 25년 4월 10일 경기 시흥시 '맞음' 사고 09:30경 폐기물 처리 사업장에서 재해자가 컨베이어 회전부에 끼인 청소도구에 맞아 사망 4. 25년 4월 11일 경남 김해시 '끼임' 사고 11:30경 식료품 제조업체에서 재해자가 리프트 내부 청소 작업 중 작동된 리프트에 끼여 사망 5. 25년 4월 12일 경남 김해시 '맞음' 사고 08:58경 재활용 사업장에서 지게차 점검 중 지게발(포크)가 상승 상태에서 아래로..

시흥 폐기물 처리장 컨베이어 '맞음' 사망사고 발생

25년 4월 10일 09:30경, 경기 시흥시 소재 폐기물 처리 사업장에서 재해자가 컨베이어 회전부에 끼인 청소도구에 맞아 사망했다. 컨베이어 가동 중 물체가 팅겨져 나와 신체를 가격한 것으로 보인다.  작업장 청소는 주기적으로 이뤄지는 반복작업이므로 메뉴얼이 필요하다. 작동력전달 부분에는 컨베이어의 덮개 또는 울 설치가 이뤄져야 하며, 작업 시 운전을 정지시키고 다른 작업자가 작동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조치 등이 취해져야 한다.

[3/25] 사다리와 적재화물 작업 중 중대재해 발생

25년 3월 27일, 사다리 추락과 적재 화물에 깔리는 두 건의 산업 중대재해가 발생했다.  □ 중대재해1) 11:19경 서울 동작구 소재 빌딩 입구에서 사다리 작업 중 재해자가 3m 아래로 떨어져 사망했다. 2)19:55경 경기도 양주시 소재 창고에서 재해자가 하단의 찢어진 원료 포대의 포수 작업 중 적재된 원료 더미가 무너지며 깔려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사망했다. □ 예방대책1) 사다리 높이가 2m 이상인 경우 안전대를 착용하여 떨어짐 방지조치를 하여야 한다.2) 화물 적재는 높거나,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쌓아야 하며, 작업 시 상부의 화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진행해야 한다.

공장 유지관리 작업 중 기계 사이에 끼여 사망

25년 3월 21일 경북 포항 소재 냉연공장에서 maintenance를 위한 작업 중 설비에 끼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재해자는 철판을 감는 기계 사이에 끼여 사망했다.    기계 설비에 끼이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작동 중 커버를 열 수 없는 인터록 장치, 광센서 및 안전바로 접근 시 작동 정지, 비상정지 버튼 안전교육, 기계 점검 시 전원 차단 등이 이뤄져야 한다.

전기공사 중 인양중인 변압기 추락... 사망사고 발생

25년 3월 13일 14시 18분경, 전기공사 중 인양 중인 변압기가 추락하며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경북 경산시의 한 전기공사 현장에서 체인블럭을 이용해 변압기를 인양하는 과정에서 천장 고정볼트가 파손되면서 변압기가 추락했다. 이 사고로 인해 재해자가 변압기에 맞아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  사고 예방을 위해 중량물 취급 시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추락·낙하 등의 위험 예방대책을 포함한 안전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체인블럭은 인양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장소에 고정하여 중량물 이동 경로에는 작업자가 출입하지 못하도록 조치해야 한다.

고소작업대 작업 중 사다리 사용 금지하는 이유

나무 가지치기 작업 중 떨어져 사망한 사고가 발생했다. 작업자는 고소작업대를 탑승하고 나무 가지치기 작업 중이었다. 이 과정에서 작업 거리가 나오지 않아 사다리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소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는 추락방지조치를 해야 하는데, 사다리를 놓고 작업하는 부분, 안전고치 미체결 등 사고예방을 위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아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고소작업대 위에서 추가 발판, 사다리 등 다른 장비 사용을 금지하고, 안전벨트 고리를 안전대에 체결 후 작업하도록 관리·감독이 이뤄져 고소작업대 상부에서 작업 시 추락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주택 창호 설치 현장 고소작업대 추락 사고

2025년 3월 7일 14시경, 부산 동구의 한 주택 창호 설치 현장에서 작업자가 고소작업대에 올라가 작업 중 약 10m 아래로 추락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사고는 작업자의 안전 확보 미비 및 추락 방지 조치 미흡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소작업 중 안전장비 미착용 및 안전시설 미비로 인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사업주는 고소작업 시 안전시설 강화, 개인 보호구 착용 의무화, 철저한 안전 교육 및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을 준수하여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작업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 사고 예방대책 작업 전 안전점검 강화고소작업대의 점검 및 유지보수 강화작업자 개인 보호구(안전대, 안전모 등) 착용 의무화 및 점..

리모델링 작업 중 지붕 무너져, 작업 전 작업계획서 수립의 중요성

거창군 리모델링 현장에서 무너진 지붕에 깔려 작업자가 숨졌다. 1일 11:34경 개인주택 철거 및 리모델링 현장에서 내부 기둥 보강작업 중 발생한 사고다. 작업 전 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작업 중 계획이 준수되어야 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4]의 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 내용 중 건물 등의 해체작업 전 다음의 내용이 수립되어야 한다. 가. 해체의 방법 및 해체 순서도면나. 가설설비·방호설비·환기설비 및 살수·방화설비 등의 방법다. 사업장 내 연락방법라. 해체물의 처분계획마. 해체작업용 기계·기구 등의 작업계획서바. 해체작업용 화약류 등의 사용계획서사. 그 밖에 안전·보건에 관련된 사항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