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ertificate Data/산업안전 116

특수ㆍ배치 전ㆍ수시ㆍ임시 건강진단 결과표의 작성 사항

개요 건강진단기관은 특수건강진단ㆍ배치전건강진단ㆍ수시건강진단 및 임시건강진단을 실시한 경우 별지 제85호서식의 특수ㆍ배치전ㆍ수시ㆍ임시건강진단 결과표를 송부해야 한다. 특수ㆍ배치 전ㆍ수시ㆍ임시 건강진단 결과표의 작성 사항 유해인자별 근로자 현황 야간작업, 소음, 이상기압, 분진, 유기화합물, 금속, 산.알칼리.가스, 진동, 유해광선, 기타 질병유소견자 현황 질병코드, 남, 여 질병별 조치 현황 근로금지 및 제한, 작업전환, 근로시간단축, 근무중치료, 추적검사, 보호구착용, 직업병확진의뢰안내, 그 밖의 사항 진단표 작성일, 송부일, 검진기관명 년 월 일 관련 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209조(건강진단 결과의 보고 등) ③ 건강진단기관은 건강진단을 실시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

사용자위원 제외할 수 있는 대상

개요 사용자 위원은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ㆍ의결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위원 1. 해당 사업의 대표자 같은 사업으로서 다른 지역에 사업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 2. 안전관리자 1명 제16조제1항에 따라 안전관리자를 두어야 하는 사업장으로 한정하되, 안전관리자의 업무를 안전관리전문기관에 위탁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그 안전관리전문기관의 해당 사업장 담당자를 말한다 3. 보건관리자 1명 제20조제1항에 따라 보건관리자를 두어야 하는 사업장으로 한정하되,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보건관리전문기관에 위탁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그 보건관리전문기관의 해당 사업장 담당자를 말한다 4. 산업보건의 해당 사업장에 선임되어 있는 경우로 한정한다 5. 해당 ..

공정안전보고서 포함내용

개요 사업주는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공정안전보고서 내용 1. 공정안전자료 2. 공정위험성 평가서 3. 안전운전계획 4. 비상조치계획 관련 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 제44조(공정안전보고서의 작성ㆍ제출) ① 사업주는 사업장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가 있는 경우 그 설비로부터의 위험물질 누출, 화재 및 폭발 등으로 인하여 사업장 내의 근로자에게 즉시 피해를 주거나 사업장 인근 지역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사고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고(이하 “중대산업사고”라 한다)를 예방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하고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하여 심사를 받아야 한다. 이 경우 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이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적합..

산업재해통계 재해율&도수율 & 강도율

개요 산업재해에 관한 조사 및 통계의 유지ㆍ관리를 이행하기 위해 재해율, 도수율, 강도율을 정의한다. 재해율(천인율) 1. 근로자수 100(1,000)인당 발생하는 재해자수의 비율 2. 도수율(또는 빈도율) 1. 100만 근로시간당 재해발생 건수 2. 강도율 1. 근로시간 합계 1,000시간당 재해로 인한 근로손실일수 2. 용어 1. 근로자수라 함은 일용·상용 구분없이 사업장에 종사하는 모든 근로자의 수를 말한다. 2. 재해자수라 함은 사망 및 근로복지공단에 최초 요양신청서(재진 요양신청이나 전원 요양신청시를 제외한다)를 제출한 재해자중 요양승인을 받은 자와 지방노동관서에 산업재해조사표가 제출된 재해자를 합산한 수를 말한다. 관련 자료 1. 행정규칙, 산업재해통계업무 처리규정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건강진단

개요 사업주는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일반건강진단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만,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건강진단인 경우에는 일반건강진단을 실시한 것으로 본다.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건강진단 1.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건강검진 2. 선원법에 따른 건강진단 3. 진폐의 예방과 진폐근로자의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정기 건강진단 4. 학교보건법에 따른 건강검사 5. 항공안전법에 따른 신체검사 관련 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 제129조(일반건강진단) ① 사업주는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건강진단(이하 “일반건강진단”이라 한다)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만, 사업주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건강진단을 실시한 경우에는 그 건강진단을 받은 근로자에 대하여 일반건강진단을 실시한 것으로 본다. ② 사업주..

관리 격자 이론 managerial grid theory

개요 관리 격자 이론은 생산 및 인간에 대한 관심 2가지 축을 결합하여 리더십 유형을 설명한다. managerial grid theory (생산.인간)형 구분 1.1형 무관심형 impoverished 과업달성 및 인간관계유지에 모두 관심을 보이지 않는 유형 1.9형 인기형 country club 생산에 대한 관심은 낮으나 인간관계에 대해서는 지대한 관심을 보이는 유형 9.1형 과업형 taskor authority-obedience 인간관계유지에는 낮은 관심을 보이지만 생산에 대해서는 지대한 관심을 보이는 유형 9.9형 이상형, 팀형 team 생산과 인간관계의 유지에 모두 지대한 관심을 보이는 유형 5.5형 중용형 middle 생산과 인간관계의 유지에 모두 적당한 정도의 관심을 보이는 유형

안전보건표지에 사용되는 색채의 색도 기준 및 용도

개요 사업주는 안전보건 표지에 사용되는 색채의 색도 기준 및 용도가 유지되도록 관리해야 한다. 색도기준 및 용도 색채 색도기준 용도 사용례 빨간색 7.5R 4/14 금지 정지신호, 소화설비 및 그 장소, 유해행위의 금지 경고 화학물질 취급장소에서의 유해ㆍ위험 경고 노란색 5Y 8.5/12 경고 화학물질 취급장소에서의 유해ㆍ위험경고 이외의 위험경고, 주의표지 또는 기계방호물 파란색 2.5PB 4/10 지시 특정 행위의 지시 및 사실의 고지 녹색 2.5G 4/10 안내 비상구 및 피난소,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표지 흰색 N9.5 파란색 또는 녹색에 대한 보조색 검은색 N0.5 문자 및 빨간색 또는 노란색에 대한 보조색 관련 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38조(안전보건표지의 종류ㆍ형태ㆍ색채 및 용도 등..

사람의 최소가분시력

개요 인간은 표적을 식별하는 시감각 체계를 갖추고 있다. 최소가분시력 1. Minimal Separable Acuity 2. 눈이 식별할 수 있는 표적에 대한 최소공간을 말한다. 3. 최소가분시력 = 1/시각 시각 1. Visual Angle = ` 2. 57.3 * 60 * D * L (D: 물체의 크기, L: 물체와 눈 사이의 거리) 3. 1 radian = 57.3˚ 4. 1˚ = 60` 예시 문제 Q. 5m 떨어진 곳에서 2mm 틈을 구분할 수 있는 사람의 시력은? A. 시각 = 57.3 * 60 * 0.002/5 = 1.3752 시력 = 1 / 1.3752 = 0.7271

작업환경측정기관에 관한 지정 요건

개요 사업주는 유해인자로부터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자격을 가진 자로 하여금 작업환경측정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기관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소속기관 2. 의료법에 따른 종합병원 또는 병원 3.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 또는 그 부속기관 4. 작업환경측정 업무를 하려는 법인 5. 작업환경측정 대상 사업장의 부속기관 (해당 부속기관이 소속된 사업장 등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범위로 한정하여 지정받으려는 경우로 한정한다) 관련 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 제126조(작업환경측정기관) ① 작업환경측정기관이 되려는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인력ㆍ시설 및 장비 등의 요건을 갖추어 고용노동부장관의 지정을 받아야 한다. 2.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95조(작업환경측정기관의 지정 요..

시감도 어긋나는 푸르키녜 효과

개요 생리학자 푸르키녜는 밝은 장소에서는 빨간색이 선명하고 어두워질수록 파란색에 민감해지는 시감도가 어긋나는 현상을 발견했다. 추상체와 간상체 추상체 적색 계열에 반응, 밝은 곳에서 활동 색상을 주로 느낌 간상체 녹색 계열에 반응, 어두운 곳에서 활동 명암을 주로 느낌 명순응과 암순응 구분 눈의 최대비시감도 명순응 약 555 nm 암순응 약 510 n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