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ertificate Data/산업안전 116

사업장 위험성평가의 절차 및 생략할 수 있는 항목

개요 위험성평가란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위험요인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 가능성(빈도)과 중대성(강도)을 추정·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위험성평가의 절차 1. 평가대상의 선정 등 사전준비 2. 근로자의 작업과 관계되는 유해·위험요인의 파악 3. 파악된 유해·위험요인별 위험성의 추정 4. 추정한 위험성이 허용 가능한 위험성인지 여부의 결정 5. 위험성 감소대책의 수립 및 실행 6. 위험성평가 실시내용 및 결과에 관한 기록 생략 가능 항목 상시근로자수 20명 미만 사업장, 총 공사금액 20억원 미만의 건설공사인 경우에는 파악된 유해·위험요인별 위험성의 추정을 생략할 수 있다. 관련 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위험성평가의 실시) ① 사업주는 건설물..

자율검사프로그램 안전 검사원의 자격

개요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ㆍ기구ㆍ설비를 사용하는 사업주는 안전 검사대상 기계 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 '안전 검사'를 받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전검사를 받아야 하는 사업주가 근로자 대표와 협의하여 충족하는 자율검사 프로그램을 정하고 고용노동부 장관의 인정을 받아 '검사원'으로부터 자율안전검사를 받으면 안전검사를 받은 것으로 본다. 검사원의 자격 1.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계ㆍ전기ㆍ전자ㆍ화공 또는 산업안전 분야에서 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2.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계ㆍ전기ㆍ전자ㆍ화공 또는 산업안전 분야에서 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이 5년 이상인 사람 3.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계ㆍ전기ㆍ전자ㆍ화공 또는 산..

공기 중 연소범위 폭발범위

개요 1. 공기 중에 점화원이 주어진 경우 2. 가연성 가스나 증기가 일정한 농도 범위 내에 있을 때 3. 연소 또는 화재, 폭발을 일으킨다. 4. 이 범위를 연소범위 또는 폭발 범위라고 한다. 농도는 일정공간내의 부피 중 가스나 증기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말하며, 하한계와 상한계의 범위가 넓을수록 폭발 등에 더 위험해진다. 연소범위 가연성 가스 영문 분자식 하한계 상한계 범위 수소 Hydrogen H2 4 75 71 일산화탄소 Carbon Monoxide CO 12.5 74 61.5 아세틸렌 Acetylene C2H2 2.5 81 78.5 에틸렌 Ethylene C2H4 2.7 36 33.3 벤젠 Benzene C6H6 1.3 7.9 6.6 메탄 Methane CH4 5 15 10 에탄 Etha..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

개요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개념상 중요한 용어이거나 일반적으로 쓰는 용어의 의미와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법령 자체에서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할 목적으로 제2조를 두었다. 용어 다음과 같이 13개의 용어를 정의했다. 1. 산업재해 2. 중대재해 3. 근로자 4. 사업주 5. 근로자대표 6. 도급 7. 도급인 8. 수급인 9. 관계수급인 10. 건설공사발주자 11. 건설공사 12. 안전보건진단 13. 작업환경측정 정의 용어 정의 산업재해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ㆍ설비ㆍ원재료ㆍ가스ㆍ증기ㆍ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 중대재해 산업재해 중 사망 등 재해 정도가 심하거나 다수의 재해자가 발생한 경우로서 1..

음압 레벨에 따른 소음 크기

sound pressure level 음압 레벨은 실생활에서 소음 공해의 정도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문제 예시 문제 전투기로부터 거리가 30m 떨어진 곳에서의 음압 레벨이 140 dB이라면, 300m 떨어진 곳에서는 몇 데시벨? 계산 140 - 20log(300/30) = 120[dB] 답 120[dB] *음압1 - 상수20 * log( 거리2 / 거리1 ) = 음압2 *log10=1 문제 철로변에서 거리가 20m 일 때 sound pressure level이 100 db이다. 200m 일 때 sound pressure level은? 계산 100 - 20log(200/20) = 80[dB] 답 80[dB] 음압 레벨에 따른 소음크기 소음크기 음원의 예 20 나뭇잎 부딪히는 소리 30 조용한 농촌, 심야..

사업주의 의무 사항

의무 사항 1.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기준 2. 쾌적한 작업환경의 조성 및 근로조건 개선 3. 해당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정보를 근로자에게 제공 관련 법령 산업안전보건법 제5조(사업주 등의 의무) ① 사업주(제77조에 따른 특수형태근로종사자로부터 노무를 제공받는 자와 제78조에 따른 물건의 수거ㆍ배달 등을 중개하는 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 및 제6조에서 같다)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이행함으로써 근로자(제77조에 따른 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제78조에 따른 물건의 수거ㆍ배달 등을 하는 사람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 및 제6조에서 같다)의 안전 및 건강을 유지ㆍ증진시키고 국가의 산업재해 예방정책을 따라야 한다. 1. 이 법과 이 법에 따른 명령으로 정하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재해상황 사고유형, 기인물, 가해물

재해 형태의 분류 변경 후 변경 전 설명 떨어짐 추락 높이가 있는 곳에서 사람이 떨어짐 끼임 협착 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 넘어짐 전도 사람이 미끄러지거나 넘어짐 깔림 전도 물체의 쓰러짐이나 뒤집힘 부딪힘 충돌 물체에 부딪힘 맞음 낙하.비래 날아오거나 떨어진 물체에 맞음 무너짐 붕괴.도괴 건축물이나 쌓인 물체가 무너짐 기인물 직접적으로 재해를 일으키거나 영향을 전한 에너지원을 지닌 기계·장치, 구조물, 물체·물질, 사람 또는 환경 등을 뜻한다. (에너지원: 운동, 위치, 전기, 열 등) 기인물별1 기인물별2 일반동력기계 원동기, 동력전도장치, 프레스 및 전단기, 롤러기, 사출성형기, 연삭기, 선반, 드릴머신, 혼합기 및 분석기, 절곡기 등 건설용기계 불도저, 스크레이프도우저, 파워쇼벨, 드래글라인, 크램..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야 하는 사항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야 하는 사항 1. 사업장의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2.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에 관한 사항 3.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4. 작업환경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 5.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6.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에 관한 사항 7. 산업재해의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 중 중대재해에 관한 사항 8.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ㆍ기구ㆍ설비를 도입한 경우 안전 및 보건 관련 조치에 관한 사항 9. 그 밖에 해당 사업장 근로자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ㆍ증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 관련 법령 산업안전보건법 제24조(산업안전보건위원회) ②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해서는 제1..

안전모의 시험성능기준

안전모의 시험성능기준 안전모의 성능기준은 【별표 1】추락 및 감전 위험방지용 안전모의 성능기준에 따른다. 항 목 시 험 성 능 기 준 내관통성 AE, ABE종 안전모는 관통거리가 9.5㎜ 이하이고, AB종 안전모는 관통거리가 11.1㎜ 이하이어야 한다. 충격흡수성 최고전달충격력이 4,450N을 초과해서는 안되며, 모체와 착장체의 기능이 상실되지 않아야 한다. 내전압성 AE, ABE종 안전모는 교류 20㎸ 에서 1분간 절연파괴 없이 견뎌야 하고, 이때 누설되는 충전전류는 10㎃ 이하이어야 한다. 내수성 AE, ABE종 안전모는 질량증가율이 1% 미만이어야 한다. 난연성 모체가 불꽃을 내며 5초 이상 연소되지 않아야 한다. 턱끈풀림 150N 이상 250N 이하에서 턱끈이 풀려야 한다. 관련 행정규칙 보호구 ..

산업재해발생건수 공표대상 사업장

산업재해발생건수 공표대상 사업장 1. 사망재해자가 연간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2. 사망만인율이 규모별 같은 업종의 평균 사망만인율 이상인 사업장 3.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중대산업사고가 발생한 사업장 4.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산업재해 발생 사실을 은폐한 사업장 5.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산업재해의 발생에 관한 보고를 최근 3년 이내 2회 이상 하지 않은 사업장 관련 법령 산업안전보건법 제10조(공표대상 사업장) ① 법 제10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장”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장을 말한다. 1.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이하 “사망재해자”라 한다)가 연간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2. 사망만인율이 규모별 같은 업종의 평균 사망만인율 이상인 사업장 3. 법 제44조제1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