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738

소음의 거리 감쇠 법칙 이용, 소음수준 계산

어느 공장에서 발생한 기계 소음이 20m 거리에서 130 dB(A)로 측정되었다. 이 소음원을 기준으로 100m 떨어진 거리에서의소음 수준은약 얼마인가? 130 - 20 * log10(100/20) = 116dB(A)풀이 소음의 거리 감쇠 법칙을 이용하여 해석하면 되는데, 거리와 소음 수준의 관계는 음압 레벨의 로그 감쇠 법칙에 따라 정해진다. 기준거리 : 20m기준소음 : 130dB(A)바뀐거리: 100m 계산 : 기준소음 - 20*log10(바뀐거리 / 기준거리)계산 : 130 - 20*log10(100/20) = 160dB(A)소음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하므로 거리가 5배 증가 -> 약 14dB(A) 감소되었다. ★ log10(2) = 0.301★ log10(5) = 0.699

인체측정학에서 정적 인체 치수 계측 장비

인체 각 부위에 대한 Static Anthropometric Measuring Tools에는 마틴식 측정기, 캘리퍼스, 줄자, 신장계, 체중계 등이 있다. 1) 마틴식 인체측정기 (Martin Anthropometer): 여러 개의 금속 막대가 연결된 장치이다. 키, 팔 길이, 어깨너비등 인체의 선형 치수(길이·너비·높이 등)를 측정하여, 신체치수 기반 설계(의자, 책상, 장비 높이 등)에 데이터를 제공한다. 2) 캘리퍼스 (Calipers): Sliding Calipers와 Spreading Calipers를 사용한다. Sliding Calipers은 슬라이딩 구조로, 뼈의 폭 또는 짧은 거리(예: 손목 너비, 팔꿈치 폭 등)를 정밀하게 측정한다. Spreading Calipers은 곡면이나 넓은 부위..

올바른 조작판단 환경 조성을 위한 시력 개념 알기

작업자는 시각을 통해 정보를 얻으며, 대부분의 조작 판단도 시각 정보에 기반한다. 이러한 시각 정보의 인지와 해석은 시력(visual acuity)에 의해 좌우된다. 근무자가 장비 상태, 경고 신호, 수치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읽지 못하면 판단 오류와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밀 부품 조립, 의료영상 판독, 교통신호 식별 등의 작업에서는 높은 중심 시력이 필수적이다. 1. 여러 유형의 시력은 주로 망막 위에 초점이 맞추어지도록 모양체 근육(ciliary muscle)에 의한 눈의 조절능력에 달려있다.2. 눈의 조절능력이 불충분한 경우, 초점이 망막(Retina) 앞(근시)이나 뒤(원시)에 맺히게 된다.3. 시력은 세부적인 내용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시세포가 얼마나 세밀하게..

시각적 식별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가장 적은 요소는?

시력, 물체 크기, 밝기, 조도, 휘도비, 대비, 반사율, 노출시간 및 과녁의 이동과 같은 요소들은 물체가 '눈에 보이는지' 즉, '가시성(Visibility)'을 결정하는 근본적이고 선행적인 요소다. 이들 중 어느 하나라도 심각하게 결여되면 물체 자체가 눈에 들어오지 않거나, 충분한 정보가 망막에 형성되지 않아 식별 과정으로 아예 넘어갈 수 없다. 반면, 표적의 형태는 '물체가 보인다'는 전제하에 가시성 확보 후 그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구별하고 인식하는 역할이다. 시식별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가장 적은 요소이다.

결함 원인별 발생 확률에 따른 평균 정보량 계산

한 자동차 제조사에서 최근 출시한 자율주행차의 기능 이상 사례를 분석한 결과, 결함의 주요 원인이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 1) 센서 오류(Sensor failure): 발생 확률 0.62) AI 판단 오류(Algorithm failure): 발생 확률 0.33) 기계적 결함(Mechanical issue): 발생 확률 0.1 이 결함 원인에 대해 기대할 수 있는 평균 정보량은 얼마인가?풀이 평균 정보량은 확률 분포에서 얻을 수 있는 평균적인 정보의 양이다. 예측난이도, 데이터 압축, 리스크 분석, AI 의사결정 등에 지표로 사용되며, 비트 단위로 표현한다. 평균 정보량이 높다는 것은 모르는 것이 많다는 것으로, 추가 정보 수집 및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반대로 정보량이 낮을수록 불확실성이 적고..

출퇴근 3시간... 단순 비용만 651,200원, 노화는 덤

서울로 출근하는 경기도민의 평균 출근 시간이 1시간 7분이라는 조사결과가 기억난다. 출근 시 교통수단은 자동차가 50% 이상을 차지했었다. 그렇다면 매일 왕복 3시간, 약 80km 출퇴근길을 반복하면 한 달간 시간적 가치는 얼마일까? 1. 교통비우선 연비 11km/l를 내는 자동차로 출근할 경우, 휘발유 1,650원 기준, 통행료와 주유비는 약 25만 원이다. 2. 시급 환산30분 거리 직장을 다닐 경우, 하루 2시간을 출퇴근에 더 사용한다고 가정해 봤다. 최저시급만 적용해도 매일 20,060원이며, 한 달 401,200원이다. 3. 건강가장 중요한 요소다. 출퇴근 시간이 길어지면, 스트레스 호르몬의 유의미한 증가를 보인다고 한다. 스트레스는 텔로미어 길이가 짧아지는 원인 중 하나이며, 세포의 수명이 줄..

Thinking&Making 2025.07.13

바쁜 업무 속에서 직장인이 수익률 40%를 달성한 방법

S&P 500 지수 추종 ETF는 시장 전체의 성장을 따라갈 수 있어, 바쁜 일상 속에서 투자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어려운 직장인에게 매력적인 투자 대안이다. 개별 종목 발굴, 기업 분석, 시황 판단 등 투자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매매가 가능하여 환금성이 높기 때문이다. 2023년부터 약 2년 반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 S&P 500 지수는 꾸준한 우상향 추세를 보였다. 어느 직장인이 2023년부터 초기 투자 원금 3,000만 원에 매달 2주씩 비중을 늘렸다면, 어바웃 수익금은 약 2,600만 원, 수익률은 약 40%이다. 추가로 업무에 시간을 할애하여 얻어낸 연봉 상승분은 추가 투자금으로 활용가능하다. 특히, 시장 하락 시기(2023년 초)에 초기 투자가 이루어졌..

Investment&Action 2025.07.13

좋은 감각을 가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일의 감각

감각은 세상을 이해하여 대뇌에게 전달하는 능력이다. 이것은 남에게 보이기 위한 능력이 아니라, 내 중심을 잡기 위한 태도에서 시작된다. 본질적인 질문을 던질 수 있는 태도, 세상의 흐름을 읽기 위한 학습의 지속성 그리고 사소한 일을 결코 가볍게 여기지 않는 집중을 다하는 사람에게 감각은 따라온다. 이러한 감각은 단순히 똑똑함이나 정보의 양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오히려 자신을 향한 성찰, 세계를 향한 질문, 그리고 현재의 일상을 성실히 대하는 습관이 감각의 진짜 재료다. 본질을 탐색하고, 흐름을 배우며, 작은 일에도 무게를 두는 삶을 살아가다 보면, 어느 순간 우리는 감각 있는 사람이 되어 있을 것이다. "어떤 일이 성공하려면 나만의 취향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야 합니다.나의 선호와 타인에 대한 공감이 만..

Reading&Organizing 2025.07.12

근골격계부담작업 5호, 6호 판단 예시

★ 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위 및 유해요인조사 방법에 관한 고시에 규정된 근골격계부담작업 11가지 중 5호, 6호에 대한 설명1.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쪼그리고 앉거나 무릎을 굽힌 자세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근로자가 무릎을 굽힌 상태로 작업하거나 쪼그려 앉아서 하루 누적 2시간 이상 반복·지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경우, 이는 슬관절(무릎 관절), 대퇴사두근, 종아리 근육 등에 과도한 물리적 부담을 주게 된다. 특히 무릎에 체중이 집중되는 자세는 슬개골에 압박력을 증가시키며, 무릎 연골 마모, 활액막염, 점액낭염, 슬개건염 등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작업 중 작업물을 보기 위해 상체를 굽히거나 틀 경우, 요추 및 척추 주변 근육에도 누적 피로가 발생하여 허리통증이나 요추 디스크 손상..

공기정화설비 청소, 개·보수 작업 시 주지사항

사무실과 같은 실내 업무 공간에서 발생한 가스, 증기, 분진은 물론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유해물질은 공기 중에 떠다니며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공기정화설비 등을 갖춰 가동하며, 주기적으로 청소, 개·보수 작업을 하는 게 중요하다.1. 바깥으로 내보내거나 바깥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끌어들이는 급기ㆍ배기 장치2.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줄이는 여과제나 온도ㆍ습도ㆍ기류 등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냉난방장치3. 그 밖에 이에 상응하는 장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1장 사무실에서의 건강장해 예방에 관한 내용 중, 근로자가 공기정화설비등의 청소, 개·보수 작업을 하는 경우 사업주는 유해성 등을 근로자에게 알려야 한다. ■ 주지사항 1. 발생하는 사무실 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