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10 36

[인간공학기사 실기] 작업 중 산소소비량 (에너지)

문제 : 작업 중 1) 산소소비량과 2) 에너지를 계산조건 : 분당 배기량 18L/min, 호기가스 안에 산소 16%, 이산화탄소 4% 함유결과 : 1) 산소소비량 = 0.95 L/min 2) 에너지 = 4.75 kcal/min문제흐름결과산소소비량분당배기량 -> 분당흡기량 -> 산소소비량0.95 L/min에너지산소소비량 * 5 kcal/min4.75 kcal/min 1. 분당배기량 예를 들어 5분동안 배기량이 90L라면, 분당배기량은 90L / 5min = 18 L/min 이다. 2. 분당흡기량 흡기량과 배기량(호기량)은 다르다.이산화탄소 생성과 산소 소모가 일어나기 때문이다.그래서 질소 보존(할데인 변환)을 써야 한다. 분당흡기량 = 18.23 L/min ★ 흡기 시 질소%는 79%, ..

[인간공학기사 실기] 표준시간 계산 (내경법)

"관측시간에 정미(레이팅 보정) 후, 표준(여유 반영)"평가 결과, 작업자 A의 레이팅 계수는 110%로 판정되었다.회사 규정상 8시간 근무 시 여유시간 30분을 부여한다.이때, 표준시간을 구하시오.(평균 관측시간은 0.5분)정미시간 = 0.5 × (110/100) = 0.55 분여유율 = 30 / 480 = 0.0625 (6.25%)표준시간 = 0.55 ÷ (1 − 0.0625) = 0.5867 ≈ 0.59 분 1. 레이팅 계수 110% ? 110%는 작업자가 표준속도보다 10% 빠르다는 뜻.그래서 정미시간 = 관측시간 X ( 110/100 )으로 길어져야 한다. 2. 여유가 "근무시간" 기준인지, "정미시간" 기준인지. 문제는 근무 중 30분으로, 근무시간 고정(= 일정고정)이다. 내경법(분모) 사용..

급락장은 시장이 공짜로 주는 복리의 시점

지난 주말 미 증시의 폭락은 트럼프 발언, 관세 변수, 환율 불안 등 뉴스성 충격에 의한 단기 급락으로 볼 수 있다.기업 실적, 고용지표, 소비 데이터 등 기초 체력은 그대로이다.즉, 이번 하락은 구조적 하락이 아닌 가격 리셋 구간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스탠스를 취해야 할까? 우선 패닉 매도를 자제한다. 매도는 감정적 해소일 뿐이라는 생각을 갖고, 시장의 일시적 변동을 소음으로 간주하고 포지션을 유지한다.규칙적으로 지수추종 ETF의 분할매수 루틴을 유지한다.단, 하락폭이 정해진 매매루틴(예를 들어 하락폭이 -5% 이상)을 벗어난다면 추가 매수진행환율이 1,400원 이상이면 환전 속도는 늦추되, 매수 자산은 유지미국발 관세 뉴스는 정치 이벤트로, 일시적 충격은 있었지만 장기적으로는 증시가 회..

Investment&Action 2025.10.13

미 증시 '와르르', 무언가를 하지 않으려는 인내심이 필요했다.

미 증시 '와르르'... 트럼프 한마디에 가상화폐도 폭락"희토류 통제""중국 관세 인상 검토" 장중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테슬라 등 주요 기업 주가가 하락하며10월 11일 토요일... 아침 8시가 애프터마켓이 끝났다.그날 새벽, 돌아올 불확실성을 보았고 일부 매도를 하였다.하지만 이 선택은 주말 내내 아쉬움을 남겼다. '월요일 시장이 폭락하진 않을까?'이 공포에 매매 시스템을 멈추고 규칙을 무시했기 때문이다. S&P500 6,552.51 ▼ 182.60(2.71%)VOO $619.60 -> $594.31 -> $600.51 찰리멍거라면 어떤 메시지를 던졌을까?"당신이 VOO를 샀다는 건,미국의 생산성과 자본주의의 복리 구조를 산 것이다.그 구조가 하루아침에 무너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Investment&Action 2025.10.12

[인간공학기사 실기] 신호 탐지 이론 SDT

신호탐지이론은 신호의 탐지가 신호에 대한 관찰자의 민감도와 반응 기준에 달려 있다는 이론이다. 신호탐지이론에는상태 :신호(Signal), 잡음(Noise)반응 : 예(Yes), 아니오(No)가 존재한다. 신호탐지이론에서 소음은 정규분포를 따른다.이제 신호가 나타나면 신호는 소음의 강도에 추가된다.소음 자극의 분포와 신호+소음이 합쳐진 자극이 겹쳐 소음과 신호를 구별해 내기 어렵다.이때, 신호판정기준(Response Criterion)을 기준으로 신호판정기준을 넘어서게 되면 신호가 있다고 판단한다. ■ 신호검출이론 4가지 반응 대안 SIGNALNOISEYESHitFalse AlarmNOMissCorrect Rejection 1. Hit = P(S/S) : 신호가 나타났을 때, 이를 탐지하면 "적중"2. ..

[인간공학기사 실기] 표준시간 산출방법

"표준시간은 생산하는데 소요된 시간이다." 표준시간은 표준화된 작업조건 하에서 요구되는 숙련도와 적성을 지닌 작업자가 그 기업에서 정상이라고 인정하는 작업속도로 1단위의 작업량을 생산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말한다. 표준 시간은 작업요소를 규정하고 여유율을 반영한 합리적 기준 시간으로서, 생산성·품질·안전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필수 인프라이다. 작업 시간/공정마다 데이터 가용성, 작업특성, 정확도, 비용, 시간, 표준화 수준 등 제약과 목표에 따른 표준시간 산정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 표준시간 산출방법 5가지 1. 실적자료법(historical/actual data)▶ 과거 실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위 작업시간을 추정해 표준으로 삼는 방법.2. 시간연구법(time study method)▶ 스톱워치/영..

추석 연휴 끝, 투자 방향 점검

"환율 1,400원 돌파 속주식 시장 개장 후....... 삼성전자 5.84% 상승 출발" 환율이 1,400원대를 돌파했다. 
돈의 흐름도 빨라졌다.삼성전자는 다시 ‘십만 전자’에 근접했다.이는 반도체 슈퍼사이클 뿐 아니라, 국장에 대한 훈풍으로도 보인다. '서양 개미'들도 웃고 있다.달러 강세 속에서 원화 환차익과 지수 상승이라는 이중 수익 구조를 챙기고 있다. 
서울부동산 호가도 꾸준히 상승 중이다.21억 마포 아파트가 23.5억을 달성했다. 
정부의 정책적 노이즈가 많지만, 
서울 아파트의 호가 흐름은 여전히 상승 쪽이다.유동성이 줄어드는 국면에서도 고가 실수요 시장은 살아 있다.이 흐름은 경기 남부와 인천의 실수요 단지 시세로 뻗어나가는 듯 하다. 서울의 상승이 구조적 신호라면, 
가격은 점진적..

Investment&Action 2025.10.10

[인간공학기사 실기] 서블릭(Therbligs) 동작분석

"서블릭 Therbligs"서블릭은 작업을 수행하는 데 관련된 동작들을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한다. 공정 내에서 개별 동작뿐만 아니라 지연의 순간을 식별하여 불필요하거나 비효율적인 동작을 찾아내고, 찰나의 낭비되는 시간까지 활용하거나 제거하도록 고안되었다.피로와 부상을 유발하는 동작을 줄이는 것이 주요 목표인 인간 공학(Ergonomics) 분야에서 서블릭 시스템은 매우 중요효율적 서블릭은 공정 산출물에 형상·위치·결합·사용 등 실질 변화를 만든 동작을 말하며, 비효율적 서블릭은 결과물에 변화가 없거나, 탐색·판단·대기·재배치처럼 없애거나 줄일 수 있는 동작을 말한다. ■ 서블릭(Therbligs) 내용명칭(English)내용효율성Search물건이 어디에 있는지 눈이나 손으로 찾는 것비효율적Find..

내게 메타포란 무엇인가?

메타포(metaphor)는 생각·감정·가치를 한 점으로 응축해 행동을 시작시키는 표식이다. 
길게 설명하지 않아도, 그 한 점이 방향과 리듬을 켠다. 
오늘의 결정을 어제와 연결해 준다.메타포를 정하면
 앞으로의 삶을 어떤 속도로 살지 선택할 수 있다. 
‘나는 무엇을 지키며 살 것인가?’
‘오늘 반드시 남길 한 걸음은 무엇인가?’그 질문을 붙드는 순간, 하고 싶은 일과 하지 않을 일이 갈린다. 지금 가진 자원과 비워야 할 짐이 보인다.
멈춰 있던 실행력이 지면을 딛는다.왜 지금 시작해야 하는지, 
나는 스스로에게 짧고 분명한 이유로 대답할 수 있다.
완벽 대신 한 걸음을 선택하면 된다. 
작지만 꾸준한 리듬이 나를 다시 중심으로 데려온다. 
방향이 흐려질 때마다, 나는 그 기준선으로 돌아와 다시 시작한..

Thinking&Making 2025.10.08

[인간공학기사 실기] 의자 조절식 설계 (앉은오금높이)

좌면이 너무 높으면 오금 부위에 압박이 가해지기 때문에 인간공학적 설계가 필요하다.좌면의 높이는 바른 자세로 앉았을 때, 발이 바닥에 자연스럽게 닿도록 앉은오금높이를 기준으로 설계한다. (이때, 신발의 높이와 여유량을 고려한다.) 좌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라면, 조절식 좌면높이는, 5%ile ~ 95%ile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5%ile = 평균 - (표준편차 X %ile계수) + 신발의 높이 + 여유량95%ile = = 평균 - (표준편차 X %ile계수) + 신발의 높이 + 여유량 문제. 의자의 좌면높이를 결정하는데 앉은오금높이를 기준으로 설계하려고 한다.아래 조건을 응용하여 남녀의 조절식 설계 범위를 구하시오. 조건남자 평균 앉은오금높이 및 표준편차 : 392mm, 20..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