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표준시간은 생산하는데 소요된 시간이다."
표준시간은 표준화된 작업조건 하에서 요구되는 숙련도와 적성을 지닌 작업자가 그 기업에서 정상이라고 인정하는 작업속도로 1단위의 작업량을 생산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말한다.
표준 시간은 작업요소를 규정하고 여유율을 반영한 합리적 기준 시간으로서,
생산성·품질·안전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필수 인프라이다.
작업 시간/공정마다 데이터 가용성, 작업특성, 정확도, 비용, 시간, 표준화 수준 등
제약과 목표에 따른 표준시간 산정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 표준시간 산출방법 5가지
1. 실적자료법(historical/actual data)
▶ 과거 실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위 작업시간을 추정해 표준으로 삼는 방법.
2. 시간연구법(time study method)
▶ 스톱워치/영상으로 요소시간을 직접 관측하고 속도평가·여유율을 적용해 표준시간을 산출.
3. 표준자료법(standard data system)
▶ 과거 측정기록을 함수·표·그래프로 DB화하여 요소시간을 예측·합산.
4. 워크샘플링(work sampling)
▶ 무작위 순간관찰로 활동비율을 추정하여 유효작업률을 바탕으로 표준시간을 계산.
5. PTS법(predetermine time standard system)
▶ 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MTM/MOST 등 사전 결정 시간치를 적용하여 표준시간을 구함.
320x100
반응형
'Certificate Data > 인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공학기사 실기] 서블릭(Therbligs) 동작분석 (0) | 2025.10.09 |
---|---|
[인간공학기사 실기] 의자 조절식 설계 (앉은오금높이) (0) | 2025.10.08 |
[인간공학기사 실기] 동전던지기 정보량 계산 (0) | 2025.10.04 |
[인간공학기사] 최소가분시력과 식별거리 계산 (0) | 2025.10.03 |
[인간공학기사] 소음 노출기준 문제, TWA 및 소음노출지수 계산 (0)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