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기기출 7

[인간공학기사 실기] 조종-반응비율 C/R비 (민감도)

"왜 민감도를 높여야 하나?"조종속도가 중요한 작업은 C/R비를 낮춰 민감도를 높여야 한다. 반대로 정확성이 요구될 경우, C/R비를 높여 민감도를 줄인다.작은 떨림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원자로 제어판, 항공기 조종장치, 의료기기 다이얼과 같은 환경에서는민감도 기준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3cm 조종손잡이를 90도를 조작(control) 하니,표시지침(response)이 3cm 이동했다.이 경우 조종-반응비율(C/R비)은 1.57이다. 이 경우 민감도를 높여야 작업효율이 좋아진다는 판단을 했다.그렇다면 어떻게 민감도를 높일까? C/R비가 낮으면 민감도는 높아진다.이 경우, 작은 조작으로 큰 반응을 체감한다.미세조정이 어렵고, 실수나 피로도가 증가할 수도 있다.하지만 속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높은 민감도가..

[인간공학기사 실기] 정미시간 계산 (객관적 평가법)

작업측정 시 작업자의 실제 속도와 표준 속도 간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계수가 필요하다.관측시간만으로는 작업자의 숙련도·피로도·방법 차이 반영이 어렵기 때문이다.정미 시간은 실제 측정된 시간에 작업자의 속도를 표준 대비 비율로 환산한 1차 조정계수와 작업의 추가 난이도, 환경요인 보정을 적용한 2차 조정계수를 적용한다.정미 시간을 바탕으로 작업 동작을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준비, 대기 등을 제거할 수 있다.이는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생산계획, 인력 배치, 설비투자, 원가관리에 근거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경우 정미시간은 '0.18분'이다.관측시간의 평균값이 0.1분1차 조정계수는 120%2차 조정계수는 50%1차 속도 평가는 비율로 보정하며, "이 작업자는 기준보다 빨랐나, ..

[인간공학기사 실기] 감성공학 요인분석

요인분석의 원자료를 표준화해 "이 항목이 어떤 요인과 얼마나 강하게(크기) 어떤 방향(부호)으로 함께 움직이는가"를 보여주는 상관계수 형태의 결과표이다. 적재값의 부호는 Factor값이 커질수록 항목 점수가 어느 쪽으로 움직이는가를 뜻한다. 감성어휘FACTOR1FACTOR2FACTOR3우아한 - 촌스러운0.5160.029-0.675널찍한 - 좁은-0.865-0.273-0.123편안한 - 불편한0.890-0.1110.283참신한 - 진부한0.1190.7690.449강한 - 약한0.3670.0280.899요인적재값 = 항목과 요인 점수의 상관계수에 해당, 범위가 -1 ~ +1 - 적재 : 우아한, 널찍한, 편안한, 참신한, 강한+ 적재 : 촌스러운, 좁은, 불편한, 진부한, 약한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적재값|..

[인간공학기사 실기] 소음원의 소음레벨(dB)

기계설비 #1, #2, #3 작동 중 90dB, 80dB, 65dB의 소음이 발생한다.3대의 설비를 동시에 가동시킬 때, 총 소음레벨(dB)은 얼마일까? (= 소음원의 레벨을 로그로 합산한 결과는?) 소음레벨은 강도 or 압력기준으로 계산하는데, 위상에 따라 상쇄와 증폭이 생기므로 일반 소음의 합산엔 압력보단 강도 합을 쓴다. 강도 기준 소음레벨의 계산은 동시에 작동하는 서로 독립 소음원의 에너지를 선형으로 합산하고, 각 소음원의 레벨을 선형값으로 변환해 합한 뒤 다시 데시벨로 환산한다. dB은 로그단위라 그대로 사용하면 안되고, 먼저 선형값으로 바꿔야 한다. 즉, 항상 10에 90db/10으로 선형화 한 후, 이 값들을 합하고, 10log( 선형화 후 값 합산)으로 소음레벨을 구하면, 소음합산레벨은..

[인간공학기사 실기] FT도 계산형 문제 (신뢰도 %)

FT도는 고장(실패)논리를 쌓는다. 계산결과는 기본적으로 고장확률을 나타낸다. 신뢰도(정상확률)이 필요하면, 1 - P(고장) = 신뢰도 FT도에서 사용하는 도형1. 사각형은 분석 대상 사건2. 원은 더 이상 분해하지 않는 기본고장으로 숫자는 보통 고장확률 p3. 게이트는 논리 연산으로 원인과 결과를 연결한다.3-1. OR 게이트 : 입력 중 하나 이상 발생하면 출력 사건 발생계산 " 1-(1-0.15)(1-0.1) = 0.235 " 3-2. AND 게이트 : 모두 발생해야 출력 사건 발생계산 " 0.15 * 0.2 = 0.03 " T의 신뢰도(%)는?P(A) = 1-(1-0.1)(1-0.15) = 0.235P(B) = 0.15 * 0.2 = 0.03P(T) = 0.235 * 0.03 = 0.00705..

[인간공학기사 실기] 신호 탐지 이론 SDT

신호탐지이론은 신호의 탐지가 신호에 대한 관찰자의 민감도와 반응 기준에 달려 있다는 이론이다. 신호탐지이론에는상태 :신호(Signal), 잡음(Noise)반응 : 예(Yes), 아니오(No)가 존재한다. 신호탐지이론에서 소음은 정규분포를 따른다.이제 신호가 나타나면 신호는 소음의 강도에 추가된다.소음 자극의 분포와 신호+소음이 합쳐진 자극이 겹쳐 소음과 신호를 구별해 내기 어렵다.이때, 신호판정기준(Response Criterion)을 기준으로 신호판정기준을 넘어서게 되면 신호가 있다고 판단한다. ■ 신호검출이론 4가지 반응 대안 SIGNALNOISEYESHitFalse AlarmNOMissCorrect Rejection 1. Hit = P(S/S) : 신호가 나타났을 때, 이를 탐지하면 "적중"2. ..

[인간공학기사 실기] 표준시간 산출방법

"표준시간은 생산하는데 소요된 시간이다." 표준시간은 표준화된 작업조건 하에서 요구되는 숙련도와 적성을 지닌 작업자가 그 기업에서 정상이라고 인정하는 작업속도로 1단위의 작업량을 생산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말한다. 표준 시간은 작업요소를 규정하고 여유율을 반영한 합리적 기준 시간으로서, 생산성·품질·안전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필수 인프라이다. 작업 시간/공정마다 데이터 가용성, 작업특성, 정확도, 비용, 시간, 표준화 수준 등 제약과 목표에 따른 표준시간 산정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 표준시간 산출방법 5가지 1. 실적자료법(historical/actual data)▶ 과거 실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위 작업시간을 추정해 표준으로 삼는 방법.2. 시간연구법(time study method)▶ 스톱워치/영..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