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tificate Data/인간공학

[인간공학기사 실기] 정미시간 계산 (객관적 평가법)

까비노 2025. 10. 27. 10:15
반응형

작업측정 시 작업자의 실제 속도와 표준 속도 간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계수가 필요하다.
관측시간만으로는 작업자의 숙련도·피로도·방법 차이 반영이 어렵기 때문이다.


정미 시간은 실제 측정된 시간에 
작업자의 속도를 표준 대비 비율로 환산한 1차 조정계수와 
작업의 추가 난이도, 환경요인 보정을 적용한 2차 조정계수를 적용한다.


정미 시간을 바탕으로 작업 동작을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준비, 대기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생산계획, 인력 배치, 설비투자, 원가관리에 근거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경우 정미시간은 '0.18분'이다.

관측시간의 평균값이 0.1분

1차 조정계수는 120%

2차 조정계수는 50%

1차 속도 평가는 비율로 보정하며, "이 작업자는 기준보다 빨랐나, 느렸나?"

2차 조건 보정은 시간을 가산( 1 + 0.5 ) 하는데, "이 작업이 기준보다 더 어렵나?"로 생각하여 적용한다.

★ 정미시간은 여유율을 미포함!!!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