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방설비기사 6

소방관계법규 중요기출 #2 (소방설비)

● 위험물제조소의 환기설비 기준 1) 환기는 자연배기방식으로 할 것 2) 급기구는 당해 급기구가 설치된 실의 바닥면적 150m²마다 1개 이상으로 하되, 급기구의 크기는 800cm² 이상으로 할 것. 다만 바닥면적이 150m² 미만인 경우에는 다음의 크기로 하여야 한다. 바닥면적 급기구의 면적 60m² 미만 150cm² 이상 60m² 이상 90m² 미만 300cm² 이상 90m² 이상 120m² 미만 450cm² 이상 120m² 이상 150m² 미만 600cm² 이상 3) 급기구는 낮은 곳에 설치하고 가는 눈의 구리망 등으로 인화방지망을 설치할 것 4) 환기구는 지붕위 또는 지상 2m 이상의 높이에 회전식 고정벤티레이 터 또는 루프팬 방식(roof fan: 지붕에 설치하는 배기장치)으로 설치할 것 ● 위..

소방관계법규 중요기출 #1 (소방설비)

○ 예방규정을 정하여야 할 제조소 등 지정수량의 위험물을 취급(저장)하는 10배 이상 제조소, 일반취급소 100배 이상 옥외저장소 150배 이상 옥내저장소 200배 이상 옥외탱크저장소 모두 해당 이송취급소, 암반탱크저장소 ★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2023. 6. 27.] ( 2005. 5.25. // 2005. 5. 25.) 지정수량의 10배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일반취급소. 다만, 제4류 위험물(특수인화물을 제외한다)만을 지정수량의 50배 이하로 취급하는 일반취급소(제1석유류ㆍ알코올류의 취급량이 지정수량의 10배 이하인 경우에 한한다)로서 다음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제외한다. 가. 보일러ㆍ버너 또는 이와 비슷한 것으로서 위험물을 소비하는 장치로 이루어진 일반취급소 나. 위험물을 용기..

비상전원 작동시간(유도등 및 유도표지)

비상전원 비상전원은 유도등을 20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의 축전지로 설치해야 한다. ★ 다만, 다음의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에는 그 부분에서 피난층에 이르는 부분의 유도등을 60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 ①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의 층 ②지하층 또는 무창층으로서 용도가 도매시장·소매시장·여객자동차터미널·지하역사 또는 지하상가 ★화재안전성능기준 무창층의 경우에는 그 부분에서 피난층에 이르는 부분의 유도등 -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용도가 도매시장ㆍ소매시장ㆍ여객자동차터미널ㆍ지하역사 또는 지하상가 관련 법령 ■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술기준 NFTC 303 [2022. 12. 1.] 이 기준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

소방 축전지 설비 (예비전원)

부동충전방식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사용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고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하게 하는 방식의 충전방식을 말한다. 회복충전방식 축전지의 과방전이나 방치상태, 가벼운 설페이션 현상이 생겼을 때 기능회복을 위해 실시하는 충전방식을 말한다. ★ 설페이션(Sulfation) 현상 : 축전지를 방전상태로 장기간 방치하면 극판이 회백색의 불활성 물질로 덮이는 현상 충전기 2차 충전전류 연축전지의 정격용량 250Ah 상시 부하가 8kW 표준전압이 100V 축전지의 방전율은 10시간율 인 경우, 충전기 2차 충전전류는 105[A]이다. ( 250 / 10 ) + ( 8 × 10^3 / 100 ) = 105

소방전기 비상방송설비(비상경보설비, 단독형경보기)

화재안전성능기준 및 기술기준 비상방송설비의 조작스위치 조작부는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스위치, 지시계, 표시등 등을 집결시킨 부분을 말하며, 조작부의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단독경보형 감지기 설치 개수 바닥면적이 15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50 ㎡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즉, 바닥면적이 600 ㎡ 인 경우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4개 이상 설치할 것. ★ 600 ÷ 150 = 4 증폭기란? 전압전류의 진폭을 늘려 감도를 좋게 하고 미약한 음성전류를 커다란 음성전류로 변화시켜 소리를 크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비상방송설비 작동 지하 2층에서 지상 6층까지의 특정소방대상물에서 4층이 단선되었다. 일제경보방식인 경우, 비상방송설비는 하나의 층에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