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2 16

고소작업대 작업중 떨어져... 5.1m 높이 사망

지난달 31일 도로 공사 현장에서 항타기 전도방지 3톤 철판이 인양고리에서 탈락되어 작업자가 깔려 사망하자마자, 또다시 추락사고가 발생했다. 3일 경기 평택시 공연장 신축공사 현장에서 일어난 일이다. 5.1m 높이에서 고소작업대 작업을 하던 작업자가 바닥으로 떨어져 사망했다. 현장에서 떨어지는 가속을 줄여줄 적절한 안전대 고리 걸이대가 있었는지, 하부 신호수가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관찰했는지, 작업 전 위험성평가가 제대로 이뤄졌다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을 것이다.

아파트 에너지 자립률 20% 이상 인증 필수되나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은 건물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 생산, 총 에너지 사용량 'ZERO'를 목표로 하는 인증 업무다. 태양광 모듈, 신재생 에너지, 에너지 부하 저감 같은 친환경 건축 기술을 보유한 건설사가 인증등급을 높여, 여러 가지 인센티브를 통해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인증등급ZEB 1ZEB 2ZEB 3ZEB 4ZEB 5에너지 자립률100%80% ~60% ~40% ~20% ~ 1.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 범위와 대가기준 제11조, 건축사 설계업무 대가 최대 대가의 10% 추가 산정2.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공고, 신재생에너지 설치 보조금 지원3. 주택도시기금 운용계획, 주택도시기금 대출한도 최대 10%, 20% 상향4. 지방세특례제한법 제47조의 2, 취득세 감면 등5. 주택건설사..

Investment&Action 2025.02.03

2024년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 24년 전국 지가는 2.15% 상승하였다. 지가변동률은 용인처인구 5.87%, 서울 강남구 5.23%, 성남수정구 4.92% 등 252개 시군구 중 54개 시군구가 전국 평균을 상회하였다. 분기별 지가변동률 추이다. ■ 24년 전체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187.6만 필지(1,236.3㎢)이다. 23년 대비 2.7% 증가, 22년 대비 15.1% 감소로 나타났다. 24년 전체토지 거래량은 23년 대비 울산 18.4%, 서울 12.3% 등 9개 시·도 증가, 8개 시·도는 감소하였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서울 22.1%, 대전 11.0% 등 4개 시·도 증가, 13개 시·도는 감소하였다.

Investment&Action 2025.02.02

공동안전관리자, 소규모사업장 안전보건관리체계구축 사업

공동안전관리자 지원사업 2차 공고  산업안전보건법 제4조(정부의 책무) 및 중대재해처벌법 제16조(정부의 사업주 등에 대한 지원 및 보고)를 근거로 5~49인 소규모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을 위한 공동안전관리자를 채용 지원사업이 진행 중이다.  지원내용은 채용인원 당 매월 250만 원 한도로 공동안전관리를 위해 채용하는 공동안전관리자에 대한 운영비 지원이다. 사업예산은 120억 원이며, 아래와 같은 안전보건관리체계구축을 지원하게 된다. 공동안전관리자 업무내용 1. 안전관리체계 구축 : 사업장 직접 방문 및 위험성 평가를 통해 사고발생 요인을 점검하여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지원1.1 공동안전관리자 1인당 최소 사업장 수는 10개소 이상으로 지정되어야 하며, 공동안전관리자는 사업장당 월 1회 이상,..

엔터테크 기업은 어떻게 세계로 나아갈까

2024 MAMA 무대에 선 핑크 의상 G-dragon의 무대영상 썸네일을 보며 스타성의 위력을 새삼 느꼈다. 영상을 클릭하기 전부터 기대감에 지난 커리어가 떠오르니 말이다. 그 무대 이후 지드래곤은 지난 23일 프랑스 영부인 브리지트 마크롱의 초대로 Le Gala des Pieces Jaunes에 초청되어 마지막 스테이지를 장식했다. 파워, 홈 스위트 홈 그리고 굿보이를 선보이며 지난날 영상을 다시 찾아보게 만들었다. 지금 카페에도 지드래곤의 '파워'가 흘러나오고 잇다. 가사는 잘 모르지만 특유의 바운스를 느끼며 '지드래곤 노래'임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지드래곤은 갤럭시코퍼레이션 소속 가수다. 2019년 설립된 엔터테크 비즈니스 기업이다. IP, AI, 메타버스 키워드가 회사 소개에 쓰인다. 중기부,..

Investment&Action 2025.02.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