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tificate Data/인간공학

[인간공학기사 실기] 표준시간 계산할 때 외경법? 내경법?

까비노 2025. 9. 29. 10:19
반응형

표준시간을 사용한 문제가 주어졌을 때, 내경법과 외경법이 헷갈린다면, 이렇게 해보자.

 

▷ 근무시간 중에 여유시간이 있을 때는 내경법을

(= 근무여유율 10%, 근무시간의 10%를 근무여유율로)

 

▷ 근무시간 외에 여유시간이 있다면 외경법을 사용한다.

(= 정미시간의 10%를 여유로)

표준시간을 이용한 문제 :

어느 공정의 정미 시간이 0.9 분이다.

1일 근무시간 8시간 중 근무 여유율 10%를 적용하여(=내경법 기준으로),  

하루 기준 생산 가능 수량(개)을 구하라. (1일 총 근로시간=8시간)

 

★ 근무시간 중 여유시간을

-> 내경법, 아래는 내경법을 사용한 표준시간 구하기 공식

이번 문항은 내경법(근무시간 대비 여유율)을 쓰는지,

외경법을 사용하는지,

문제에 제시된 내경법 기준이라는 문구를 확인.

수식은, 표준 시간 = 정미 시간 × 1 / (1–여유율)

이 공식을 정확히 쓰면

그다음은 8시간=480분만 기억하면 계산하면 아래와 같은 값이 나온다.

표준시간 = 1.0분/개

1일 표준생산량 = 480개

 

 

 

용어 정리
정미시간(=순수 작업시간, Normal/Net Time): 순동작만 반영한 시간
여유율(Allowance): 피로·지연·휴식 등을 보정하는 비율
내경법: 근무시간에 대한 비율을 여유율로 사용 → 표준시간 = 정미시간 × 1/(1–여유율)

 

그렇다면 외경법을 적용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외경법)표준시간 계산

= 정미시간 x ( 1 + 여유율 )

= 0.9 x (1 + 0.1)  = 0.99분

 

1일 표준생산량

= 480 / 0.99 = 484개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