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SI (Job Strain Index) 란?
상지의 말단(손, 손목, 팔꿈치) 작업 시 근골격계질환 위험을 평가하는 작업성 질환 위험도 평가 도구
특히 손·손목에 무리가 가는 작업에 사용됨
다만, 이 방법은 상지 말단의 근골격계 부담에 대한 작업부하 평가를 정량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반면, 전체적인 자세를 평가할 수는 없다.
JSI 점수 계산은?
힘의 강도계수 × 힘의 지속 정도계수× 분당 힘의 빈도계수× 손/손목의 자세계수 × 작업 속도계수 × 작업 시간계수
점수 계산 및 결과 평가
구분 | 힘의 강도 | 힘의 지속 정도 | 분당 힘의 빈도 | 손/손목 자세 | 작업 속도 | 작업 시간 |
계수 | 3 | 1 | 1.5 | 2 | 2 | 1 |
점수 계산
JSI score = 3 x 1 x 1.5 x 2 x 2 x 1 = 18
JSI 결과 평가 = 위 작업은 매우 위험한 수준으로 빠른 기간 내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JSI score < 3 : 안전(probably safe)
3 ≤ JSI score < 7 : 질환과 관련 있다
7 ≤ JSI score : 위험하다(probably hazardous)
* 자료출처
1.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고속도로 요금소 요금 수납원 근로환경 실태조사 연구, 2015
2. 한경대학교 안전공학과 박재희, 작업평가방법론 및 현장 적용 고찰, 2010
320x100
반응형
'Certificate Data > 인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공학기사 실기] 비행기 엔진시스템의 신뢰도 구하기 (0) | 2025.09.22 |
---|---|
[인간공학기사 실기] 인체 움직임 유형을 설명하는 용어들 (0) | 2025.09.21 |
[인간공학기사 실기] Barnes의 작업장(작업역) 배치의 원칙 (0) | 2025.09.20 |
[인간공학기사 실기] 양립성 정리 - 정의, 종류, 예시 (0) | 2025.09.20 |
[인간공학기사 실기] 영상표시장치(VDT) 취급근로자 작업관리지침 (0)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