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상표시장치(VDT)를 사용할 때 작업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가장 먼저 확인할 것은 화면과 눈의 관계이다. 작업자의 시선은 수평선보다 아래로 10~15도, 시거리는 40cm 이상이 이상적이다. 그래야 눈의 조절근 피로와 초점 전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화면은 회전 및 경사 조절 가능해야 하며, 문자·도형과 배경 간 휘도비(Contrast)는 작업자가 직접 조절 가능해야 한다. 단색 화면에서는 어두운 배경 + 밝은 황색, 녹색, 백색 글자가 권장되며, 청색·적색 글자는 눈 피로 유발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키보드의 경사는 5도 이상 15도 이하로 조절하고, 작업대 끝면과 키보드 사이는 15센티미터 이상을 확보한다.
□ 영상표시단말기 화면은 회전 및 경사조절이 가능할 것
□ 화면에 나타나는 문자·도형과 배경의 휘도비(Contrast)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
□ 단색화면일 경우 색상은 일반적으로 어두운 배경에 밝은 황·녹색 또는 백색문자를 사용하고 적색 또는 청색의 문자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을 것
□ 키보드의 경사는 5도 이상 15도 이하, 두께는 3센티미터 이하로 할 것
□ 키보드와 키 윗부분의 표면은 무광택으로 할 것
□ 작업대 끝면과 키보드의 사이는 15센티미터 이상을 확보
□ 작업대의 높이는 조정되지 않는 작업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닥면에서 작업대 높이가 60센티미터 이상 70센티미터 이하 범위의 것을 선택하고, 높이 조정이 가능한 작업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닥면에서 작업대 표면까지의 높이가 65센티미터 전후에서 작업자의 체형에 알맞도록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을 것
□ 바닥 면에서 앉는 면까지의 높이는 눈과 손가락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35센티미터 이상 45센티미터 이하의 범위에서 조정이 가능할 것
□ 작업자의 시선은 수평선상으로부터 아래로 10∼15° 이내일 것
□ 눈으로부터 화면까지의 시거리는 40cm 이상을 유지할 것
□ 윗팔(Upper Arm)은 자연스럽게 늘어뜨리고, 작업자의 어깨가 들리지 않아야 하며, 팔꿈치의 내각은 90도 이상
* 자료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영상표시장치(VDT) 취급근로자 작업관리지침[시행 2020. 1. 16.]
320x100
반응형
'Certificate Data > 인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공학기사 실기] 기초대사량(BMR)이란? (0) | 2025.09.18 |
---|---|
[인간공학기사 실기] GOMS모델 및 구성요소 (0) | 2025.09.18 |
작업영역(Work Area), 사용자의 운동범위에 따른 구분 (0) | 2025.09.15 |
반응 시간 Reaction Time, 인간 친화적 설계를 위한 지표 (2) | 2025.08.15 |
조직에 의한 스트레스 요인 (2) | 2025.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