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tificate Data/인간공학

[인간공학기사 실기] 기초대사량(BMR)이란?

까비노 2025. 9. 18. 17:00
반응형

“기초대사량은 무엇인가요?”

기초대사량(BMR)은 사람이 가만히 누워 있어도 호흡과 심장박동, 체온 유지에 쓰는 최소 에너지양을 말한다. 인간공학 기사 실기에서 “생체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 에너지 소비량은?”이라고 물으면 정답은 기초대사량(BMR, Basal Metabolic Rate)이다. 현장에서는 작업 강도, 휴식 설계, 열 환경 기준을 정할 때 개인의 BMR을 기준점으로 삼아 총 에너지 요구량을 추정한다.

 

BMR은 경험식으로 빠르게 구한다. Mifflin – St Jeor, Harris – Benedict, Katch – McArdle가 대표적이다. 제지방량까지 고려한 Katch – McArdle 식, 체중·신장·연령을 기반으로 한 Harris – Benedict 식, 실무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Mifflin-St Jeor 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이 중 무엇을 쓰느냐에 따라 ±50~100kcal 차이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41세 남, 64kg은 약 1,510–1,550 kcal/day, 41세 여, 47kg은 약 1,100–1,200 kcal/day 범위가 나온다. 값이 조금씩 다른 이유는 사용한 식과 신체구성 차이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중요 포인트는 절댓값 자체보다 “기준선 확보 → 작업강도와의 합성 → 휴식·섭취·배치 결정”이라는 의사결정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다.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