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tificate Data/인간공학

반응 시간 Reaction Time, 인간 친화적 설계를 위한 지표

까비노 2025. 8. 15. 19:00
반응형

 

1. 반응시간(Reaction Time)

 

▶ 자극이 제시된 순간부터 반응이 개시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 정보처리 속도와 작업 특성 분석 지표로 활용

 

2. 유형별 비교

 

 단순반응시간은 단 하나의 자극에 대해 단 하나의 반응만 수행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청각 신호가 울리면 버튼을 누르는 작업이 이에 해당한다. 반응 속도는 자극의 양식(시각, 청각, 촉각), 자극의 강도나 대비, 자극의 위치, 연령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청각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시각 자극보다 짧게 나타나며, 세 가지 유형 중 가장 빠른 반응을 보인다.

 

 선택반응시간은 복수의 자극이 주어지고 각 자극마다 다른 반응을 수행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빨간불이 켜지면 좌측 버튼을, 파란불이 켜지면 우측 버튼을 누르는 과제가 해당한다. 선택반응시간은 자극의 수와 반응의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길어지며, 이는 Hick – Hyman 법칙에 따라 자극 수가 많아질수록 반응시간이 로그함수적으로 증가함을 보여준다.

 

 복합반응시간은 자극에 대한 단순 인식뿐 아니라 조건 판별과 의사결정을 거쳐 반응 여부나 방식을 결정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위험 표지가 나타날 때만 회피 동작을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기존 작업을 유지하는 상황이 해당한다. 복합반응시간은 판단 난이도, 경험, 인지 부하 등의 영향을 받으며 세 유형 중 가장 길게 나타난다.

 

3. 반응시간은 인간이 외부 자극에 대해 실제로 얼마나 빨리 대응할 수 있는지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사고 예방, 작업 효율 증가, 인간 친화적 설계를 위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