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기기출문제 7

[인간공학기사] 휴식시간 R (Murrell`s law, 머렐의 법칙)

" 작업자에게 필요한 휴식시간 R은 얼마일까?"모터 조립라인에서 8시간 교대 동안 남성 작업자의 대사량을 측정했다.
평균 산소소비량은 1.1 L/min 이었다.
휴식 시 대사량은 1.5 kcal/min으로 본다.(남성 권장 에너지소비량 : 5kcal/min)
 R : 필요한 휴식시간(분)T : 총 작업시간(분) - 보통 8h = 480분E : 실제 작업의 에너지소비량(kcal/min) = 평균 산소소비량 * 권장 에너지소비량S : 권장 에너지소비량(kcal/min) = 남성 5kcal/min1.5 : 휴식 시 대사량 1.5kcal/min ★ 작업이 권장 가능 에너지 수준(S)보다 세면 그 초과분(E−S)을 휴식 구간에서 1.5 kcal/min으로 “갚아야” 하므로, 그만큼의 휴식시간 R이 필요하다는 뜻이..

[인간공학기사 실기] 표준시간 계산 (내경법)

"관측시간에 정미(레이팅 보정) 후, 표준(여유 반영)"평가 결과, 작업자 A의 레이팅 계수는 110%로 판정되었다.회사 규정상 8시간 근무 시 여유시간 30분을 부여한다.이때, 표준시간을 구하시오.(평균 관측시간은 0.5분)정미시간 = 0.5 × (110/100) = 0.55 분여유율 = 30 / 480 = 0.0625 (6.25%)표준시간 = 0.55 ÷ (1 − 0.0625) = 0.5867 ≈ 0.59 분 1. 레이팅 계수 110% ? 110%는 작업자가 표준속도보다 10% 빠르다는 뜻.그래서 정미시간 = 관측시간 X ( 110/100 )으로 길어져야 한다. 2. 여유가 "근무시간" 기준인지, "정미시간" 기준인지. 문제는 근무 중 30분으로, 근무시간 고정(= 일정고정)이다. 내경법(분모) 사용..

[인간공학기사 실기] 서블릭(Therbligs) 동작분석

"서블릭 Therbligs"서블릭은 작업을 수행하는 데 관련된 동작들을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한다. 공정 내에서 개별 동작뿐만 아니라 지연의 순간을 식별하여 불필요하거나 비효율적인 동작을 찾아내고, 찰나의 낭비되는 시간까지 활용하거나 제거하도록 고안되었다.피로와 부상을 유발하는 동작을 줄이는 것이 주요 목표인 인간 공학(Ergonomics) 분야에서 서블릭 시스템은 매우 중요효율적 서블릭은 공정 산출물에 형상·위치·결합·사용 등 실질 변화를 만든 동작을 말하며, 비효율적 서블릭은 결과물에 변화가 없거나, 탐색·판단·대기·재배치처럼 없애거나 줄일 수 있는 동작을 말한다. ■ 서블릭(Therbligs) 내용명칭(English)내용효율성Search물건이 어디에 있는지 눈이나 손으로 찾는 것비효율적Find..

[인간공학기사 실기] 의자 조절식 설계 (앉은오금높이)

좌면이 너무 높으면 오금 부위에 압박이 가해지기 때문에 인간공학적 설계가 필요하다.좌면의 높이는 바른 자세로 앉았을 때, 발이 바닥에 자연스럽게 닿도록 앉은오금높이를 기준으로 설계한다. (이때, 신발의 높이와 여유량을 고려한다.) 좌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라면, 조절식 좌면높이는, 5%ile ~ 95%ile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5%ile = 평균 - (표준편차 X %ile계수) + 신발의 높이 + 여유량95%ile = = 평균 - (표준편차 X %ile계수) + 신발의 높이 + 여유량 문제. 의자의 좌면높이를 결정하는데 앉은오금높이를 기준으로 설계하려고 한다.아래 조건을 응용하여 남녀의 조절식 설계 범위를 구하시오. 조건남자 평균 앉은오금높이 및 표준편차 : 392mm, 20..

[인간공학기사 실기] 동전던지기 정보량 계산

동전을 세 번 던져 앞뒤뒤, 뒤앞뒤, 뒤뒤앞 중 하나가 나왔다.“이 상황이 내게 주는 정보의 양은 몇 비트일까?” "동전을 세번 던져 뒷면이 2번 나오는 경우 정보량 계산"동전을 3번 던져 가능한 모든 순서(표본공간)은 8개이다. 앞앞앞앞앞뒤앞뒤앞앞뒤뒤뒤앞앞뒤앞뒤뒤뒤앞뒤뒤뒤 여기서 뒷면이 2번 나오는 경우는 3가지이다. 앞뒤뒤뒤앞뒤뒤뒤앞 각 순서의 확률은 모두 (1/2)^3 = 1/8 = 0.125 bit동전을 세 번 던지니, 0.125 * 3 = 0.375 bit뒷면이 2번인 경우는 3가지로 0.375 * 3  =  1.125bit답 : 1.125bit 평균정보량 1. 1/8 동전을 3번 던지면 가능한 결과는 8가지 = 각 결과 p = 1/8 2. log2(1 / 1/8) 그 순서 하나가 주는 정보, ..

[인간공학기사] 최소가분시력과 식별거리 계산

문제)작업자의 시력은 0.5다. 작업대에 놓인 링스톤 1.5mm를 식별할 수 있는 거리는? (단, 소수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시오) 인간은 표적을 식별하는 시감각 체계를 갖고 있다.최소가분시력 Minimal Separable Acuity은 눈이 식별할 수 있는 표적에 대한 최소 공간을 말한다.시력은 " 1 / 시각 " 이다. 시력 = 1에 대한 시각의 비로,주어진 작업자의 시력 0.5를 대입하면'0.5 = 1 / 시각' 이다. 시각으로 표현하면 '시각 = 1 / 0.5' 로 나타낼 수 있다. 57.3 x 60 의 의미는? 라디안을 각분(arcminute)으로 바꾸는 상수 1. 57.3 ≈ 180/π : 라디안(rad)을 도(°) 로 바꾸는 환산값2. 60 : 도(°) → 분(′) 로 바꾸는 환산값(1..

[인간공학기사] 소음 노출기준 문제, TWA 및 소음노출지수 계산

'전날 작업 배치표에 기록된 구간별 소음레벨과 체류시간은 이랬죠.' ◻ 90 dB 구간 4시간◻ 95 dB 구간 3시간◻ 100 dB 구간 1시간 총 8시간 작업을 했고, 위와 같이 소음에 노출되었을 때,소음 수준의 평가를 위해 소음노출지수와 TWA를 알아야 한다.1. 소음노출지수 D(%) 계산소음 노출지수 D(%) – “허용시간을 얼마나 넘겼는가/덜 썼는가”로 생각할 수 있다. 음압 수준이 전체 작업교대 시간동안 일정하다면, 다음 공식으로 산출한다.전체 작업시간 동안 서로 다른 소음수준으로 노출될 때 총 소음노출량(D)는 규칙(국내 기준)기준치: 90 dB – 8시간→ 95 dB 허용시간 4시간, 100 dB 허용시간 2시간 D(%) = (C1/T1 + C2/T2 + C3/T3) × 100= (4/8..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