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안전 162

거더박스 하단부로 볼트와 너트가 떨어져 사망사고 발생

1. 사고 개요 2022년 1월 21일 20:35 경, 전라북도 군산시 소재 건설용 금속 제품 제조업 공장 내에서 건설자재를 가조립하는 공정에서 거더박스 하단부에 스플라이스(연결판)를 볼트 2개로 가고정하고 스플라이스를 받치고 있던 지게차가 이동하자 가고정되어 있던 볼트와 너트가 분리되어 떨어지며 재해자 1명이 사망했다.

2차전지 제조 사업장에서 화재 및 폭발 사망사고 발생

1. 사고 개요 2022년 1월 21일 15:18 경, 청주 소재 2차 전지 제조 사업장에서 열매유(추정)에서 화재 및 폭발 발생하여 고립되어있던 근로자 1명 사망, 구조 과정에서 부상자가 3명 발생했다. 2. 사고 뉴스 - 최초 발화지점은 4층 보일러실로 추정 - 사고 원인을 보일러실 내 유증기 폭발에 무게를 두고 조사 - 폭발음 2회 발생 - 24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충북경찰청, 충북소방본부, 고용노동부 등의 합동 감식 예정

용융압출기에 원료 투입 중 하부 스크류에 끼여 사망 사고 발생

1. 사고 개요 2021년 1월 19일 23:01 경, 경기도 양주시 소재 금속 합성 수지 제조업 공장 내에서 용융압출기 원료(폐비닐, 폐마대 등)를 투입하는 작업 중 재해자가 투입구 하부에 있는 회전 중인 스크류에 끼여 사망했다. 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87조(원동기ㆍ회전축 등의 위험 방지) ① 사업주는 기계의 원동기ㆍ회전축ㆍ기어ㆍ풀리ㆍ플라이휠ㆍ벨트 및 체인 등 근로자가 위험에 처할 우려가 있는 부위에 덮개ㆍ울ㆍ슬리브 및 건널다리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② 사업주는 회전축ㆍ기어ㆍ풀리 및 플라이휠 등에 부속되는 키ㆍ핀 등의 기계요소는 묻힘형으로 하거나 해당 부위에 덮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③ 사업주는 벨트의 이음 부분에 돌출된 고정구를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④ 사업주는 제1항의 건널다리에는..

플라스틱 제조 공장 내 배합실 냉각기 스크류에 끼여 사망

1. 사고 개요 2021년 1월 10일 18:36 경, 울산광역시 소재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공장 내에서 배합실의 냉각기를 상부 개구부에서 빗자루를 이용하여 냉각기 내부를 청소하던 중 정지되어 있던 냉각기가 가동되며 재해자가 가동 스크류에 말려들어가 끼여서 사망했다. 2. 만화로 보는 스크류 협착 사고 3. 관련 법령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88조 운전 시작 전 조치 ① 사업주는 기계의 운전을 시작할 때에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으면 근로자 배치 및 교육, 작업방법, 방호장치 등 필요한 사항을 미리 확인한 후 위험 방지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② 사업주는 제1항에 따라 기계의 운전을 시작하는 경우 일정한 신호방법과 해당 근로자에게 신호할 사람을 정하고, 신호방법에 ..

HDC현대산업개발, 또 다시 발생한 재해

□ 지난해 6월 광주 학동 철거 건물 붕괴 참사가 일어난 이후 8개월 만이다. HDC현대산업개발에서 시공 중인 건물이 또다시 붕괴되었다. □ 해당 건물은 지하 4층 ~ 지상 39층, 7개 동, 총 847세대, 아파트 705가구&오피스텔 142실로 계획되어 2019년 5월 분양하여 올해 22년 11월 완공 예정이었다. □ 붕괴 원인을 추정하면, 1. 슬라브 철근 정착 길이 부족 2. 타워크레인을 아파트 외벽에 고정하여 운영하던 중 횡력이 축적되며 임계치 초과 3. 거푸집 볼트 연결 불량 등으로 보인다. 공기를 맞추려고 품질&안전관리를 경시하는 풍토에서 비롯되지 않았을까. □ 이번 사고로 기업 이미지 실추는 분명해 보인다. 또한 직접적인 영향으로 1. 38층 건물 상부 5개 층 외벽 붕괴 2. 하부 차량 등..

Investment&Action 2022.01.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