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선통신보조설비 5

소방전기 증폭기 설치기준(무선통신보조설비)

증폭기란? 전압ㆍ전류의 진폭을 늘려 감도 등을 개선하는 장치를 말한다. 증폭기 및 무선중계기의 설치 기준 1) 증폭기 전원의 종류 및 배선? - 상용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설비, 전기저장장치(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 또는 교류전압의 옥내 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할 것 2)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 회로 전원의 정상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등 및 전압계를 설치할 것 3) 증폭기에는 비상전원이 부착된 것으로 하고 해당 비상전원 용량은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유효하게 3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4) 증폭기 및 무선중계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전파법」 제58조의2에 따른 적합성평가를 받은 제품으로 설치하고 임의로 변경하지..

누설동축케이블 기호(무선통신보조설비)

누설동축케이블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에 가느다란 홈을 만들어서 전파가 외부로 새어나 갈 수 있도록 한 케이블을 말함. 기호 LCX - FR - SS - 20D - 146 LCX 누설동축케이블 Leaky Cozxial Cable FR 난연성 Flame Retardancy SS 자기 지지 Self Supporting 20 절연체의 외경 20[mm]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ulator D 특성임피던스 50[Ω] Characteristic Impedance 14 사용주파수 145,400[MHz] Frequency of use 6 결합손실 표시 관련 법령 ■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 NFTC 505 이 기준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소방전기 505 무선통신보조설비(용어의 정의)

무선통신보조설비 용어의 정의 ① 누설동축케이블 :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에 가느다란 홈을 만들어서 전파가 외부로 새어나 갈 수 있도록 한 케이블 ② 분배기 : 신호의 전송로가 분기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으로 임피던스 매칭(Matching)과 신호 균등분배를 위해 사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③ 분파기 :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합성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 ④ 혼합기 : 2 이상의 입력신호를 원하는 비율로 조합한 출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⑤ 증폭기 : 전압ㆍ전류의 진폭을 늘려 감도 등을 개선하는 장치 ⑥ 무선중계기 :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무전기 신호를 증폭한 후 음영지역에 재방사하여 무전기 상호 간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⑦ 옥외안테나 : 감시제어반 등에 설치된 무선중계기의..

소방전기 무선통신보조설비(누설동축케이블, 증폭기 기술기준)

무선통신보조설비에서 용어 누설동축케이블 분배기 분파기 혼합기 증포기 무선중계기 옥외안테나 임피던스 누설동축케이블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에 가느다란 홈을 만들어서 전파가 외부로 새어나 갈 수 있도록 한 케이블 ★ 기술기준 1) 누설동축케이블의 끝부분에는 무반사 종단저항을 견고하게 설치할 것 2) 누설동축케이블 및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50 Ω으로 하고, 이에 접속하는 안테나ㆍ분배기 기타의 장치는 해당 임피던스에 적합한 것으로 해야 한다. 3) 누설동축케이블 및 안테나는 고압의 전로로부터 1.5 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 다만, 해당 전로에 정전기 차폐장치를 유효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4) 누설동축케이블 및 동축케이블은 화재에 따라 해당 케이블의 피복이 소실된 경우에 케이블 본체가 떨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