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계산문제 3

[인간공학기사] 최소가분시력과 식별거리 계산

문제)작업자의 시력은 0.5다. 작업대에 놓인 링스톤 1.5mm를 식별할 수 있는 거리는? (단, 소수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시오) 인간은 표적을 식별하는 시감각 체계를 갖고 있다.최소가분시력 Minimal Separable Acuity은 눈이 식별할 수 있는 표적에 대한 최소 공간을 말한다.시력은 " 1 / 시각 " 이다. 시력 = 1에 대한 시각의 비로,주어진 작업자의 시력 0.5를 대입하면'0.5 = 1 / 시각' 이다. 시각으로 표현하면 '시각 = 1 / 0.5' 로 나타낼 수 있다. 57.3 x 60 의 의미는? 라디안을 각분(arcminute)으로 바꾸는 상수 1. 57.3 ≈ 180/π : 라디안(rad)을 도(°) 로 바꾸는 환산값2. 60 : 도(°) → 분(′) 로 바꾸는 환산값(1..

[인간공학기사] 소음 노출기준 문제, TWA 및 소음노출지수 계산

'전날 작업 배치표에 기록된 구간별 소음레벨과 체류시간은 이랬죠.' ◻ 90 dB 구간 4시간◻ 95 dB 구간 3시간◻ 100 dB 구간 1시간 총 8시간 작업을 했고, 위와 같이 소음에 노출되었을 때,소음 수준의 평가를 위해 소음노출지수와 TWA를 알아야 한다.1. 소음노출지수 D(%) 계산소음 노출지수 D(%) – “허용시간을 얼마나 넘겼는가/덜 썼는가”로 생각할 수 있다. 음압 수준이 전체 작업교대 시간동안 일정하다면, 다음 공식으로 산출한다.전체 작업시간 동안 서로 다른 소음수준으로 노출될 때 총 소음노출량(D)는 규칙(국내 기준)기준치: 90 dB – 8시간→ 95 dB 허용시간 4시간, 100 dB 허용시간 2시간 D(%) = (C1/T1 + C2/T2 + C3/T3) × 100= (4/8..

[인간공학기사 실기] 표준시간 계산할 때 외경법? 내경법?

표준시간을 사용한 문제가 주어졌을 때, 내경법과 외경법이 헷갈린다면, 이렇게 해보자. ▷ 근무시간 중에 여유시간이 있을 때는 내경법을(= 근무여유율 10%, 근무시간의 10%를 근무여유율로) ▷ 근무시간 외에 여유시간이 있다면 외경법을 사용한다.(= 정미시간의 10%를 여유로)표준시간을 이용한 문제 : 어느 공정의 정미 시간이 0.9 분이다. 1일 근무시간 8시간 중 근무 여유율 10%를 적용하여(=내경법 기준으로), 하루 기준 생산 가능 수량(개)을 구하라. (1일 총 근로시간=8시간) ★ 근무시간 중 여유시간을 -> 내경법, 아래는 내경법을 사용한 표준시간 구하기 공식이번 문항은 내경법(근무시간 대비 여유율)을 쓰는지, 외경법을 사용하는지, 문제에 제시된 내경법 기준이라는 문구를 확인.수식은, 표준..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