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계산문제 6

[인간공학기사 실기] 소음원의 소음레벨(dB)

기계설비 #1, #2, #3 작동 중 90dB, 80dB, 65dB의 소음이 발생한다.3대의 설비를 동시에 가동시킬 때, 총 소음레벨(dB)은 얼마일까? (= 소음원의 레벨을 로그로 합산한 결과는?) 소음레벨은 강도 or 압력기준으로 계산하는데, 위상에 따라 상쇄와 증폭이 생기므로 일반 소음의 합산엔 압력보단 강도 합을 쓴다. 강도 기준 소음레벨의 계산은 동시에 작동하는 서로 독립 소음원의 에너지를 선형으로 합산하고, 각 소음원의 레벨을 선형값으로 변환해 합한 뒤 다시 데시벨로 환산한다. dB은 로그단위라 그대로 사용하면 안되고, 먼저 선형값으로 바꿔야 한다. 즉, 항상 10에 90db/10으로 선형화 한 후, 이 값들을 합하고, 10log( 선형화 후 값 합산)으로 소음레벨을 구하면, 소음합산레벨은..

[인간공학기사 실기] 작업 중 산소소비량 (에너지)

문제 : 작업 중 1) 산소소비량과 2) 에너지를 계산조건 : 분당 배기량 18L/min, 호기가스 안에 산소 16%, 이산화탄소 4% 함유결과 : 1) 산소소비량 = 0.95 L/min 2) 에너지 = 4.75 kcal/min문제흐름결과산소소비량분당배기량 -> 분당흡기량 -> 산소소비량0.95 L/min에너지산소소비량 * 5 kcal/min4.75 kcal/min 1. 분당배기량 예를 들어 5분동안 배기량이 90L라면, 분당배기량은 90L / 5min = 18 L/min 이다. 2. 분당흡기량 흡기량과 배기량(호기량)은 다르다.이산화탄소 생성과 산소 소모가 일어나기 때문이다.그래서 질소 보존(할데인 변환)을 써야 한다. 분당흡기량 = 18.23 L/min ★ 흡기 시 질소%는 79%, ..

[인간공학기사 실기] 동전던지기 정보량 계산

동전을 세 번 던져 앞뒤뒤, 뒤앞뒤, 뒤뒤앞 중 하나가 나왔다.“이 상황이 내게 주는 정보의 양은 몇 비트일까?” "동전을 세번 던져 뒷면이 2번 나오는 경우 정보량 계산"동전을 3번 던져 가능한 모든 순서(표본공간)은 8개이다. 앞앞앞앞앞뒤앞뒤앞앞뒤뒤뒤앞앞뒤앞뒤뒤뒤앞뒤뒤뒤 여기서 뒷면이 2번 나오는 경우는 3가지이다. 앞뒤뒤뒤앞뒤뒤뒤앞 각 순서의 확률은 모두 (1/2)^3 = 1/8 = 0.125 bit동전을 세 번 던지니, 0.125 * 3 = 0.375 bit뒷면이 2번인 경우는 3가지로 0.375 * 3  =  1.125bit답 : 1.125bit 평균정보량 1. 1/8 동전을 3번 던지면 가능한 결과는 8가지 = 각 결과 p = 1/8 2. log2(1 / 1/8) 그 순서 하나가 주는 정보, ..

[인간공학기사] 최소가분시력과 식별거리 계산

문제)작업자의 시력은 0.5다. 작업대에 놓인 링스톤 1.5mm를 식별할 수 있는 거리는? (단, 소수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시오) 인간은 표적을 식별하는 시감각 체계를 갖고 있다.최소가분시력 Minimal Separable Acuity은 눈이 식별할 수 있는 표적에 대한 최소 공간을 말한다.시력은 " 1 / 시각 " 이다. 시력 = 1에 대한 시각의 비로,주어진 작업자의 시력 0.5를 대입하면'0.5 = 1 / 시각' 이다. 시각으로 표현하면 '시각 = 1 / 0.5' 로 나타낼 수 있다. 57.3 x 60 의 의미는? 라디안을 각분(arcminute)으로 바꾸는 상수 1. 57.3 ≈ 180/π : 라디안(rad)을 도(°) 로 바꾸는 환산값2. 60 : 도(°) → 분(′) 로 바꾸는 환산값(1..

[인간공학기사] 소음 노출기준 문제, TWA 및 소음노출지수 계산

'전날 작업 배치표에 기록된 구간별 소음레벨과 체류시간은 이랬죠.' ◻ 90 dB 구간 4시간◻ 95 dB 구간 3시간◻ 100 dB 구간 1시간 총 8시간 작업을 했고, 위와 같이 소음에 노출되었을 때,소음 수준의 평가를 위해 소음노출지수와 TWA를 알아야 한다.1. 소음노출지수 D(%) 계산소음 노출지수 D(%) – “허용시간을 얼마나 넘겼는가/덜 썼는가”로 생각할 수 있다. 음압 수준이 전체 작업교대 시간동안 일정하다면, 다음 공식으로 산출한다.전체 작업시간 동안 서로 다른 소음수준으로 노출될 때 총 소음노출량(D)는 규칙(국내 기준)기준치: 90 dB – 8시간→ 95 dB 허용시간 4시간, 100 dB 허용시간 2시간 D(%) = (C1/T1 + C2/T2 + C3/T3) × 100= (4/8..

[인간공학기사 실기] 표준시간 계산할 때 외경법? 내경법?

표준시간을 사용한 문제가 주어졌을 때, 내경법과 외경법이 헷갈린다면, 이렇게 해보자. ▷ 근무시간 중에 여유시간이 있을 때는 내경법을(= 근무여유율 10%, 근무시간의 10%를 근무여유율로) ▷ 근무시간 외에 여유시간이 있다면 외경법을 사용한다.(= 정미시간의 10%를 여유로)표준시간을 이용한 문제 : 어느 공정의 정미 시간이 0.9 분이다. 1일 근무시간 8시간 중 근무 여유율 10%를 적용하여(=내경법 기준으로), 하루 기준 생산 가능 수량(개)을 구하라. (1일 총 근로시간=8시간) ★ 근무시간 중 여유시간을 -> 내경법, 아래는 내경법을 사용한 표준시간 구하기 공식이번 문항은 내경법(근무시간 대비 여유율)을 쓰는지, 외경법을 사용하는지, 문제에 제시된 내경법 기준이라는 문구를 확인.수식은, 표준..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