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축설비 7

증기보일러 연결된 가열코일의 공급증기유량 구하기

증기 보일러 증기배관에 연결된 가열코일의 공급 증기 유량[kg/h]는 얼마일까?  1) 분자는 가열코일 부하로, 가열코일 부하 70[kW]는 1초에 70[kJ]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1시간은 3600초(1[h] = 3600[s])이므로 아래와 같이 변환할 수 있다. 2) 분모는 증기가 기체에서 액체로 변화(응축)할 때 방출되는 열량, 응축잠열[kJ/kg]이다. 1[kg]의 증기가 응축될 때 발생하는 열을 코일, 교환기 등에 전달하는 역할이다. 응축잠열이 2400[kJ/kg] 인 경우 코일의 공급증기유량은 105[kg/h] 이다.

냉방 공조 설비의 냉각코일용량[kW] 구하기

냉방 공조 설비의 냉각코일용량이 필요하다. 냉방 송풍량 = 6428[m3/h]공기밀도 = 1.2[kg/m3]실내 엔탈피(h) = 60[kJ/kg]외기 엔탈피(h) = 86.5[kJ/kg]취출공기 엔탈피(h) = 53[kJ/kg]환기량과 외기량의 비는 3:1 이때 냉각코일용량은 밀도, 냉방 송풍량, 엔탈피 차로 구한다 혼합공기 엔탈피는 외기 엔탈피 86.5[kJ/kg] 와 실내공기 엔탈피 60[kJ/kg] 를 환기량과 외기량의 비로 계산하면 약 66.6[kJ/kg] 이다. 냉각코일용량은 [kJ/h] 이며, 국제적으로 에너지 소비와 관련된 설비의 에너지 전력(일률)을 나타내는 SI단위인 [kW]로 변환은 다음과 같다. 이 냉방공조설비의 냉각코일용량은 { 1.2 * 6428 * ( 66.6 - 53 ) } =..

[건축설비]냉방공조 혼합공기의 건구온도

■ 냉방 공조 설비에서 환기와 외기의 혼합공기 온도(건구온도)를 계산하는 방법 1) 환기량과 외기량의 비율에 따라 혼합공기의 온도를 구할 수 있다.2) 환기량이 750 [㎥/h], 외기량이 150 [㎥/h]이라면 환기와 외기의 비는 3:1이다.3) 실내온도 : 28도, 외기온도 : 36도4) 위 조건을 사용하여 혼합공기 온도를 계산한다.

냉방 공조 설비의 송풍량 구하기(현열부하 사용)

냉방 공조 설비의 송풍량 구하기  1) 공기를 낮추는 데 필요한 현열부하와 공기의 물리적 특성과 열 교환 효율성을 기준으로 계산할 수 있다.  2) 현열부하, 공기밀도, 공기비열, 취출공기 온도차를 대입한다. 3) 현열부하를 기준으로 송풍량[㎥/h]을 계산할 때, 현열부하[Wh]에 3.6 [kJ/h]을 곱하여 [kJ/h] 단위로 바꿔줄 수 있다.1 [Wh] = 3.6 [kJ/h] 4)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조건이 주어진 경우 냉방 공조 설비의 송풍량은 약 6428 [㎥/h] 임을 알 수 있다.현열부하 30000 [Wh]실내온도 28 [℃] = 301.15 [K]취출공기온도 14 [℃] = 287.15 [K]공기비열 = 1 [kJ/(kg·K)]밀도 = 1.2 [kg/㎥] (30000*3.6) / (1.2..

냉방 공조 프로세스 실내현열비(SHF)

실내현열비는 냉방 공조 프로세스에서 전체 냉방 부하 중 현열 부하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1) 실내현열비 = SHF = Sensible Heat Factor2) Sensible Heat Load, 현열부하는 공기를 낮추는 데 필요한 열량3) Latent Heat Load, 잠열부하는 습도 조절에 필요한 부하  4) 냉방 현열부하가 30000[Wh]이고 잠열부하가 7000[Wh]인 냉방 공조 설비의 실내 현열비는 0.815) SHF는 전체 열량 중 실제 실내 온도 증감에 사용한 열량비를 의미하는데, 1에 가까울수록 효율이 좋다고 볼 수 있다.

관경표에서 단위 압력손실[mmAq/m] 찾는 법

관경표에서 유체가 배관 내부를 흐를 때 길이 1m당 발생하는 압력손실 [mmAq/m]을 구해보자.  단위 압력손실 값을 활용하면 배관의 직경[mm], 유량[kg/h] 및 압력강하[mmAq/m] 값을 미리 계산하여 정리한 관경표를 참조하여 2관식 온수난방설비에서 구간별 유량과 배관의 직경을 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조건)순환펌프의 양정[m] = 2 [m]가장 멀리 있는 배관의 직관 길이 = 100 [m]국부저항 = 직관저항의 100%(방열기 포함) ★국부저항=직관저항 1m 수두는 1000 mmAq이다. ★총 압력손실을 활용한 방법 펌프의 양정이 배관의 총 압력 손실(저항)과 같아야 하므로, 배관의 총저항은 (직관+국부) 저항 값이다. 이때 조건에 따르면 국부저항이 직관저항의 100%이기 때문에 총저항은 ..

증기 공급 계통의 부속설비 중 감압밸브 설치위치

증기 공급 계통의 부속설비 중 감압밸브는 어디에 설치해야 할까? 증기를 생산하여 전달하는 데 보일러, 스팀헤더, 배관, 압력제어장치, 콘덴서, 복수기, 장비, 계측기 등 각 구성 요소를 효율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이 중 압력제어장치인 감압밸브(Pressure Reducing Valve, PRV)는 증기의 압력을 조정하여 정압 유지, 필요한 압력과 유량 조정, 공급 계통이 장기간 작동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에 부담을 줄여준다. 감압밸브는 보일러에서 생성된 고압 증기를 방열기와 가습기 등 장비로 공급하기 전 위치에 설치하여 필요한 저압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보일러 증기압 500 kPa을 200 kPa 감압하여 헤더로 공급하거나, 헤더 증기압 200kPa 을 35 kPa로 감압하여 방열기와 가습기에 공급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