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843

나는 왜 이 일을 하는가, 사이먼 사이넥

"누군가는 성공하는데 누군가는 그러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는 이러한 현실의 근거를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그저 추정만 하는 것일까?" 의사결정은 변연계에서 일어난다. 언어를 관할하는 영역이 아니다. "직감이지~", "그냥 그런 거 같던데~", 즉 '그냥 이거야!' 하던 느낌이다. 머릿속을 복잡하게 만들지도, 행동을 주저하게 만들지도 않는다. 그 영역은 희망, 꿈, 가슴, 직감을 안겨준다. 안정된 직장에 머물지 않고 돈 몇 푼 없이 뛰쳐나와 회사를 시작하는 걸 설명한다. 이제 회사를 뛰쳐나왔다고 가정하자. 앞으로 우리는 판단과 결정을 한다. 여기에는 근거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정보를 찾아 나서야 한다. 단기적 결과를 비슷할 것이다. 이제 시간이 더 흘렀다. 쌓이고 쌓인 의사결정의 결과..

Reading&Organizing 2022.07.05

누전차단기

누전이 발생하면 그 이상현상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원 차단시킨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04조(누전차단기에 의한 감전방지) 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전기 기계ㆍ기구에 대하여 누전에 의한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전로의 정격에 적합하고 감도(전류 등에 반응하는 정도)가 양호하며 확실하게 작동하는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한다. 1. 대지전압이 150볼트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ㆍ기구 2.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에서 사용하는 저압(1.5천볼트 이하 직류전압이나 1천볼트 이하의 교류전압을 말한다)용 전기기계ㆍ기구 3. 철판ㆍ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ㆍ기구 4. 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2022년 6월 사망사고통계, 떨어짐 사고 예방 점검 필요

2022년 6월 사망사고는 건설업에서 절반 가까이 발생했다. 그 중 떨어짐 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021년 산업재해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사고사망자 중 떨어짐 유형은 351명으로 42.4%를 차지했다. (건설업 248명) 떨어짐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검이 필요하다. 1. 떨어짐 위험 장소에 작업발판 설치 2. 계단 안전난간 설치 3. 안전 시설 강도 체크 4. 위 조치가 어렵다면, 안전대 부착설비&추락방호망 5. 근로자 개인 보호구 착용(안전대, 안전모, 안전화) 6. 달비계 작업 시 로프 파손, 작업용 로프 결속, 수직 구명줄 설치 등.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