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자가 '인간공학적' 시스템을 강조하면 참가자는 특정 배치가 불편하더라도 불편함을 덜 호소할 수 있다. 관리자가 관찰하거나 평가하는 경우, 작업자는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소극적인 퍼포먼스를 보인다. 위 사례와 같이 무의식적으로 업무의 목적을 판단하고, 그에 맞는 태도나 반응을 보이게 되는 현상이 요구특성효과이다. 요구특성효과(Demand Characteristic Effect)는 작업 환경에서 작업자가 관리자의 의도나 기대를 추론하여 그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행동(응답)하는 경향을 말한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와 사용자의 해석이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사용자의 실제 행동을 정직하게 유도하기 위한 설계·평가 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인간공학적 설계 시 요구특성효과는 단순한 방해요인이 아닌, 심리적 환경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