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유 2

자유로운 사람은 책을 읽는다.

'소비자는 영화를 보고, 생산자는 책을 읽는다' 정확한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경제적 자유를 얻는 방법으로 인용되는 말이다. 소비자는 수동적인 즐거움과 만족을 추구하여, 시청각 매체를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영화, 신제품, 사치품 등을 구매하며 즉각적인 만족을 얻기 위해 돈을 지출하는 소비 패턴을 보인다. 반면 생산자는 책을 읽고 지식과 통찰을 얻으려 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분야에서 더 나은 결과를 만든다. 독서를 통해 아이디어를 얻고, 투자 기회를 찾아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가 커지는 자산을 축적하려 한다. 영화와 책이라는 상품을 예시로 소비자와 생산자의 관점을 설명할 수 있다.(영화를 본다고 소비자인 건 아니지만...) 자유로워지고 싶다면 생산자 관점으로 소비를 멈추고 장기적인 가치를 만들어내야 한다.

Investment&Action 2024.09.18

근로에 관한 이야기 (1) 시간에 대한 통제권 상실

'시간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했구나' 12월 25일, 출근길에 떠오른 생각이다. 영하 14도의 추위 속에서 찬바람까지 귀를 에워쌌다. 전날 즐기던 저녁 식사에 찌뿌둥한 몸을 이불속에서 굴릴 시간이었다. 현실은 평소보다 텅 빈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있었다. 불평 어린 얼굴과 몸짓으로 반나절을 흘러 보내고 나서야 퇴근을 했다. 따듯한 집에 돌아와서 늦은 밤이 돼서야 흐릿해져 가던 처음 마음이 떠올랐다. 근로 소득을 통해서 '돈'의 새로운 면을 알아가리라 마음먹었었는데. 바쁜 일정 속에서 제값도 못 받고 결제되는 '내 시간에 대한 자유'라는 생각에 스스로 갇혀버렸었다. 근로라는 시스템은 투자에 관한 현실적인 공부 중이란 걸 스스로 까먹을 정도로 정교한 것 같다. 매달 정확하게 입금되는 근로소득만큼 미래 투자 소..

Thinking&Making 2021.12.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