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설주 4

건설섹터 관전 포인트 "비주택사업 확대", "한남4구역도 래미안"

16일 대저건설이 부산회생법원에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대저건설은 2024년 종합건설업 - 토목건축공사업 103위로 평가액은 2,648억 원이며, 경남 지역 시공능력평가 2위로 사원수는 약 200명(국민연금 기준)에 달한다. 정화영 대표는 '대저건설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에 대한 공식 입장문'에서 기업회생 신청 배경에 대해 말을 꺼냈다. PF 사업장 대규모 미분양과 미수금 증가, 공동이행업체의 보증채무 현실화, 부채 구조 조정 등의 키워드를 표현했다.  대저건설은 창원 현동 A-2블록 공공주택 건립공사 참여 시공사(주관사 남양건설)로, 이 현장은 경남개발공사가 발주한 12개 동 1,159세대 공공주택이다. 사업비 4조 2000억 원을 투입해 서울 마곡지구에 컨벤션 센터, 호텔 등 복합단지를 개발..

Investment&Action 2025.01.18

1Q22 건설 레포트 "유안타증권"

원가 부담이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원가 관리에 성공한 기업의 실적이 좋을 것으로 보임. 건설주 check point. 원가 관리 원가 영향 요인 중 하나인 철근/시멘트 가격추이. 18년 ~ 21년 초까지는 변동 요인이 아니었다. 주요 원자재인 철근/시멘트 등 비용이 전체 매출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 사별 분류 기준에 대한 편차는 존재하나, 약 10~20% 수준으로 파악되고 있다 □ 주요 건설사 TITLE & ESG 평가 1)GS건설 원가 부담 상존, 전년동기대비 실적 개선 유효 2)현대건설 실적 개선은 하반기에 보다 확대될 전망 3)DL이앤씨 실적 기저 부담, 신사업 구체화는 지속 4)대우건설 시장 예상치 부합, 전년동기 실적 기저 부담 5)삼성엔지니어링 대형 해외 Project 실적..

Investment&Action 2022.04.20

한숲정신을 경영철학으로 삼는 DL이앤씨(대림)

결론 건설사 주가 예측 기준은 시공 능력과 상품성보다는 수주 능력과 원가 절감에 치우친다. 많이 짓고, 많이 남겨야 돈 잘 버는 기업이니까. 재무제표상 숫자들도 보기 좋고. 디엘이앤씨도 겉보기에는 원가 절감 노력이 상당하다. 단, 원가 절감 노력이라는 말을 들으며, 질을 높여야지 들어가는 양을 줄이지는 않았으면 하는 우려가 섞이는 게 조금은 씁쓸하다. 사방이 벽과 창문으로 둘러싸인 네모 박스들의 집합체. 아파트는 한층 한층으로는 별 것 없다. 층간소음, 협소한 공간, 수직적 구조 등의 문제도 여전하다. 그럼에도 가계 자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상품 자체의 품질보다는 주변 입지에 붙은 프리미엄 때문이다. 7호선, GTX, 초품아, 스타필드, 스타벅스 등등. 부동산은 자산의 가치를 보존, 증가시켜 ..

Investment&Action 2021.06.01

210111_건설업 리포트 데이터로 공부

○이베스트 투자증권 김세련 analyst 상반기 슈팅을 향해 -4분기 실적보다는 가이던스에 주목 -기대감이 가시화되는 구간, 섹터 의견 Overweight으로 상향 *가이던스 :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 실적에 대한 기업의 예상 전망치로, 기업의 한 해 사업계획 수립 여부를 보여주는 자료다. 1. 4분기 실적이 예상(E)보다 하회하는 요인 1) 해외 공사 활발히 진행x -> 원가율 상승 2) 환율 하락 -> 해외 미수채권 리스크 상승 2. 실수요자의 주택 구매심리 증가 -> 청약 열풍 -> 2022년 까지 매출 성장 3. 올 상반기 유가 방향성에 따른 건설사 시가총액 추이 4. 각 건설주 수혜 근거 대우건설 : 2020년 3만 세대 이상 주택공급 -> 매출 턴어라운드 기대 HDC 현대산업개발 :..

Investment&Action 2021.01.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