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장인 3

출퇴근 3시간... 단순 비용만 651,200원, 노화는 덤

서울로 출근하는 경기도민의 평균 출근 시간이 1시간 7분이라는 조사결과가 기억난다. 출근 시 교통수단은 자동차가 50% 이상을 차지했었다. 그렇다면 매일 왕복 3시간, 약 80km 출퇴근길을 반복하면 한 달간 시간적 가치는 얼마일까? 1. 교통비우선 연비 11km/l를 내는 자동차로 출근할 경우, 휘발유 1,650원 기준, 통행료와 주유비는 약 25만 원이다. 2. 시급 환산30분 거리 직장을 다닐 경우, 하루 2시간을 출퇴근에 더 사용한다고 가정해 봤다. 최저시급만 적용해도 매일 20,060원이며, 한 달 401,200원이다. 3. 건강가장 중요한 요소다. 출퇴근 시간이 길어지면, 스트레스 호르몬의 유의미한 증가를 보인다고 한다. 스트레스는 텔로미어 길이가 짧아지는 원인 중 하나이며, 세포의 수명이 줄..

Thinking&Making 2025.07.13

근로에 관한 이야기 (1) 시간에 대한 통제권 상실

'시간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했구나' 12월 25일, 출근길에 떠오른 생각이다. 영하 14도의 추위 속에서 찬바람까지 귀를 에워쌌다. 전날 즐기던 저녁 식사에 찌뿌둥한 몸을 이불속에서 굴릴 시간이었다. 현실은 평소보다 텅 빈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있었다. 불평 어린 얼굴과 몸짓으로 반나절을 흘러 보내고 나서야 퇴근을 했다. 따듯한 집에 돌아와서 늦은 밤이 돼서야 흐릿해져 가던 처음 마음이 떠올랐다. 근로 소득을 통해서 '돈'의 새로운 면을 알아가리라 마음먹었었는데. 바쁜 일정 속에서 제값도 못 받고 결제되는 '내 시간에 대한 자유'라는 생각에 스스로 갇혀버렸었다. 근로라는 시스템은 투자에 관한 현실적인 공부 중이란 걸 스스로 까먹을 정도로 정교한 것 같다. 매달 정확하게 입금되는 근로소득만큼 미래 투자 소..

Thinking&Making 2021.12.26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