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투자자 2

섞지 않는 거였어...!

"동작 그만! 밑장빼기냐?", 영화 타짜에서 나오는 대사다. 고니가 윗패가 아닌 그다음 패를 꺼내는 밑짱빼기 기술을 구사한다. 아귀는 이를 눈치채고 제지한다. "동작 그만! 밑장빼기냐?". 하나 이는 밑장빼기 인척 페이크를 건 전략이었다. 승리자는 고니였다. 최근 코스피 주가 붕괴 소리가 심심찮게 들린다. '2,400포인트 지지가 무너졌다!' 흠. 긴축 정책에 주가가 떨어지는 게 이상한건가 싶었다. 작년은 돈이 풀리면서 세계적으로 주가가 오르고, 부동산이 올랐다. 강하게 올랐다. 돈의 가치 상승 속도가 더 빠르게 강해졌다. 이게 자산하방압력을 만들었다. 이는 주가에 선 반영되었다. 현재 강달러, 금리인상, 임금인상률 제한 등 긴축 정책이 강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업 본질은 그대로인데, 다른 패들만 움직인..

Investment&Action 2022.07.02

8개월 Hedge 일지: 지수하락 & 근로소득

□ Hedge: 지수 하락과 금리인상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안전장치 1. 튤립 파동 & 코스피 지수 코스피 지수[pt] 21년 06월 대비 변동률[%] 21년 06월 3.316 0 21년 10월 2,956 -10.85 22년 05월 2,670 -19.48 튤립 파동은 17세기 네덜란드에서 일어난 과열 투기 현상이다. 튤립 인기가 단기간에 늘어 사재기 현상이 발생했고,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품귀 현상이 일어났다. 이런 소문은 대중에게 흘러들어가 투기가 시작됐다. 결국 가격이 폭락하며 튤립 파동은 막을 내렸다. 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우리나라 증시도 과열되었다. 2020년 3월 1,439포인트까지 폭락했던 코스피 지수는 2021년 6월 3,316포인트까지 회복했다. 2배가 넘는 상승이었다. 미디어에..

Investment&Action 2022.06.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