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안전관리자 2

전기안전관리자 직무고시 전기사고 대처요령

개요 전기안전관리자는 전기설비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유형을 확인하고 현장에서 다음 요령에 따라 대처를 해야 한다. 사고유형 별 대처 1. 정전사고 가. 정전이 확인되면 곧바로 비상용 예비전원이 공급되는지 확인한다. 나. 전기설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다. 전기설비점검 등을 통한 전기공급 재개에 대비한다.  2. 감전사고 가. 전원을 차단하고 피재자를 위험지역에서 대피시킨다. 나. 피재자의 의식ㆍ호흡ㆍ맥박ㆍ출혈상태 등을 확인한다. 다. 피재자의 기도를 확보하고, 인공호흡ㆍ심장마사지 등 응급조치를 실시한다.  3. 전기설비사고 가. 사고내용 청취 및 사고설비에 대하여 육안점검을 실시하여 차단기를 개방하고, 검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설비의 정전상태를 확인한다. 나. 사고가 발생한 설비를 중심으로 안전구역을 지정..

전기안전관리자 선임과 검사 시 설비용량

현재 변압기 1800 kVA 2대를 사용 중인 현장에서 TR#1(주) 1800 kVA +(ACB TIE(INTER LOCK))+ TR#2(예비) 1800kVA 설비용량은 3600 kVA이다. 이때 전기안전관리자 선임기준 설비용량은 어떻게 따질까? 변압기 한 대를 예비 or 교대설비로 두었다면 선임은 1800kW로 가능하다. 검사는 3600kW로 받으며, 전기안전공사 여기로 사이트에서 검사결과서를 출력 시 아래와 같이 설비용량이 확인된다.   *왜 ACB TIE는 INTER LOCK 사용?만약 1번 차단기 투입, 2번 차단기 투입인데 TIE를 투입시키면 1번과 2번 충돌사고남. 이중 전원을 투입방지함. 전기안전관리자 선임자격 및 인력기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