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기경영노트 2

자기경영노트, 피터 드러커

조직은 목표를 가진다. 목표 달성을 위해 조직원에게 재화를 제공한다. 그 대가로 근로자는 조직 목표 달성에 기여한다. 이 과정에서 조직에 속한 노동자는 두 가지 목표를 만족시켜야 한다. 조직 목표와 개인 목표다. 피터드러커는 '자기경영노트'에서 그 두 가지를 통합시키는 유일한 해답은 자기 계발이라고 말한다. 지식노동자에게는 기회, 달성, 자기실현, 가치가 필요하고 스스로를 목표 달성 경영자로 만들 때에만 이런 만족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학습은 지식노동자의 가장 중요한 일이다. 즉, 생각하는 것이 곧 지식노동자의 일이다. 목표 달성 능력에는 필요한 지식 습득이 우선이다. 무엇을 완수해야 하는지, 무엇이 기업에 옳은 것인지를 모른다면 목표를 달성하는 실행으로 전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행계획 수립, 의..

Reading&Organizing 2022.05.23

획득해야 할 5가지 습관적인 능력

피터 드러커는 '자기경영노트'에서 '목표 달성 능력'에는 자신감이 필요하다고 한다. 더불어 획득해야 할 습관적인 능력 다섯 가지를 소개한다. 이 능력들은 매번 반복해서 겪고 있던 문제에 새롭게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능력과 노력에 비해 성과가 덜한 이들에게 미약하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 첫째, 자신의 시간이 어디에 사용되는지 안다. ■ 둘째, 외부 공헌에 초점을 맞춘다. 노력을 그 자체가 아니라 결과에 연결한다. '내가 만들어내야 하는 결과는 무엇인가?' ■ 셋째, 강점을 바탕으로 성과를 낸다. ■ 넷째, 업무의 우선순위를 스스로 결정하고 그것을 지킨다. ■ 마지막으로, 목표달성을 위한 의사결정을 내린다.

Thinking&Making 2022.03.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