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고예방 6

[3/25] 사다리와 적재화물 작업 중 중대재해 발생

25년 3월 27일, 사다리 추락과 적재 화물에 깔리는 두 건의 산업 중대재해가 발생했다.  □ 중대재해1) 11:19경 서울 동작구 소재 빌딩 입구에서 사다리 작업 중 재해자가 3m 아래로 떨어져 사망했다. 2)19:55경 경기도 양주시 소재 창고에서 재해자가 하단의 찢어진 원료 포대의 포수 작업 중 적재된 원료 더미가 무너지며 깔려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사망했다. □ 예방대책1) 사다리 높이가 2m 이상인 경우 안전대를 착용하여 떨어짐 방지조치를 하여야 한다.2) 화물 적재는 높거나,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쌓아야 하며, 작업 시 상부의 화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진행해야 한다.

반응탑 내부 낙하물 맞음 사고 예방대책

2024년 3월 마지막주 사업장에서 발생한 사망사고가 8건이다. 3/25 대구 달서구 석재 맞음 사고 3/25 경남 양산시 낙하물 맞음 사고 3/26 경기 평택시 포장 설비에 끼임 사고 3/27 강원 삼척시 나무에 맞음 사고 3/27 충남 서천군 비계에서 떨어짐 사고 3/27 충남 홍성군 쇄석에 끼임 사고 3/28 충남 공주시 로더 버킷에 부딪힘 사고 3/29 강원 인제군 굴착기 버킷에 맞음 사고 □ 낙하물 맞음 예방대책 3월 25일 16:00경 경남 양산시 소재 제지공장에서 자원회수시설 반응탑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 제거 작업을 하던 재해자가 낙하물에 맞아 사망했다. -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여 낙하물이 떨어져 하부 작업자에게 위험을 유발하는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고, 상부에 낙하물 방지망 설치, 안전모 착..

여주 클럽하우스 추락 사고, 높이 3m 사다리 위에서 떨어져 중상

1. 사고 개요 2022년 2월 22일 13시 22분경, 여주 클럽하우스 내부 판넬 설치 현장에서 높이 3m 사다리 위에서 작업 중 재해자가 떨어져 중상을 입었다. 2. 떨어짐 사고 예방 준수 사항 평탄하고 견고한 미끄럼이 없는 바닥에 설치 경작업, 고소작업대·비계 등의 설치가 어려운 협소한 장소에서 사용

원인 미상의 엘리베이터 낙하, 재해자 70m 아래로 떨어져.

1. 사고 개요 2022년 2월 8일 10:01 경, 성남시 소재 공사현장 내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피트 내 케이지 상부에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권상기를 거치대에 안착시키기 위해 원치로 양중하던 중 케이지가 원인 미상의 이유로 낙하하여 약 70m 아래 지하 5층 피트 내부로 떨어져 케이지 위에 있던 작업자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2. 70m 높이... 롯데월드 자이로드롭: 최고 높이 70m, 하강속도 94km/h의 기구 3. '중대재해처벌 2호' 수사착수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339770_35744.html 판교 공사장 승강기 추락에 2명 사망‥'중대재해처벌 2호' 수사착수 경기도 양주 채석장에서 노동자 들이 매몰되는 사고가 발생..

커피가 탈수 유발한다는 것은 오해 물 대신 섭취해도 좋음

에너지는 산업안전에 중요하다. 기계·기구를 동작시키는 것은 물론, 조직 구성원 개개인이 적극적인 자세를 펼치는 데 '에너지'는 필수다. 작업 전 안전조회, 작업 중 안전수칙 상기, 작업 후 뒷정리에는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스트레스, 걱정, 짜증, 무기력 등의 문제는 소극적 참여를 일으킨다. 이는 예방 가능한 사고를 유발해 인적·물적 피해를 일으킨다. 그렇다면 개인 '에너지'를 고갈시키지 않고, 충분하게 유지시켜준다면 사고예방이 가능하지 않을까? 2020년 9월 16~17일, 영국 산업안전보건대회, IOSH 2019가 열렸다. 다음 7대 세션 주제 를 실시간 양방향 의사소통 기술(sli.do)을 활용해 대회를 진행했다. 대회에서 의학박사이면서 작가, 강사로 활동하는 Dr. John Briffa는 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