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근골격계질환예방 3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MSD(근골격계) 개선 단계

안전·보건 업무를 하다 보니, 근골격계 질환을 막으려면 정확한 절차와 방법이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되었다.작업환경이 제대로 개선되면, 일상에서 약해진 허리도 작업과 맞물려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어깨·허리 통증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공학을 배우는 지금, 파일럿(측정) → 고쳐보기(수정) → 다시 적용(개선)의 개선 단계를 시뮬레이션해 봤다.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MSD 개선 단계(가설)Step구 분내용1스크리닝OWAS / RULA / REBA로 자세 위험 급히 분류2정량화수동 취급 위험: NIOSH 개정 리프팅 방정식(RNLE)로 리프트당 허용중량·LI 산출.정적 자세 : ISO 11226*정적자세 한계)로 허리·목·상지 각도/시간 허용치 점검.수작업 일반: ISO 11228(Part 1/..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솔루션, 상자 손잡이

1. 대상: 마트 노동자 2019년 마트 노동자 대상 근골격계 질환 실태조사 결과 근골격계 질환을 경험한 노동자가 69.3%로 조사되었다. 2. 상자 손잡이 마트 노동자가 작업 시 상자 손잡이를 사용하면 약 10%의 무게 감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인간공학적 상자 손잡이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 마트 근무자 49명을 대상으로 선호도 조사에 활용된 손잡이의 종류이다. 4. 설계 범위 도출 5. 결과 상자의 최대 허용 중량은 30kg이 적당(5~30kg) 크기: 200mm 이상 600mm 이하 너비: 200mm 이상 600mm 이하 높이: 100mm 이상 600mm 이하 손잡이의 형태는 타원형, 손잡이의 윗면을 상자 안쪽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합. 또한 손잡이의 위치는 상자 측면의 중..

수공구 설계원칙

개요 올바른 수공구 설계 원칙을 통해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공구 설계 원칙 1. 인간의 상지에 적합하도록 함 2. 손목을 꺾지 말고 손잡이를 꺾어야 함 3. 수공구가 무겁지 않도록 설계 4. 양손잡이를 모두 고려한 설계 5. 가능한 한 수동 공구 대신 동력 공구를 사용 6. 손잡이 길이는 95% 남성의 손과 폭을 기준 7. 손바닥 부위에 압박을 주는 형태 지양 8. 손잡이의 직경은 사용 용도에 맞춤 9. 손에 맞는 장갑 착용 10. 손잡이 재질은 미끄러지지 않는 비전도성으로 열과 땀에 강해야 함 공구 설계 □ 무게, 모양, 사용자와 직무에 적합 □ 인간공학적 관점 1. 공구 무게: 작업자가 한 손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하며, 반복되어 사용 시 1kg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2. ..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