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tificate Data/인간공학

심혈관질환 예방 가이드라인 작성 연구절차 방법

까비노 2025. 7. 1. 07:43
728x90

 

 직장인은 하루 8시간 이상 다양한 형태로 일한다. 그중 사무실 근로자는 대부분 앉아서 근무한다. 한 보고서에 의하면 하루 2시간 이상 의자에 앉아있는 것만으로도 통증, 상지 장애, 당뇨, 심혈관 질환, 비만 등을 유발한다고 경고했다. 이때 사무실 근로자의 근무형태가 심혈관계 생리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싶다면 어떻게 할까?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s)는 연구자가 조작하거나 구분해서 영향을 주는 요인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s)는 독립변수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 측정 대상으로 결과를 말한다.

 

 가설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앉아서 작업하는 시간, 업무 스트레스 수준, 카페인 섭취량 등이 심혈관 생리지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귀무가설(Ho) &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대립가설(H1)을 세운다. 그리고 참여자 수, 기간, 분석도구를 정하고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를 포함한 실험설계를 한다.

 

 이때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설정이 필요하다. 독립변수는 앉아 있는 시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이상 / 중간에 1시간마다 10분을 걷거나 휴식 없음 / 일은 데드라인 설정이 없거나 의사결정이 불필요한 일반 업무와 중대한 사안을 포함한 스트레스 부하가 큰 업무 / 카페인 섭취량으로 정한다. 종속변수는 혈압 측정값[mmHg], 심박수[bpm], 공복 혈당과 2시간 혈당[mg/dL], 콜레스테롤 수치, 심박변이도 값이다.

 

 통제변수로 성별, 연령, 심혈관 질환 유무, 식사, 측정 시간, 가족관계를 동일하게 하여,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고 기록 데이터를 남긴다.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앉아서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심혈관질환 예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게 된다.

728x90
반응형